목차
1. 팔라디오의 개관
2. 팔라디오의 작품 세계
3. 팔라디오 양식 Palladianism
2. 팔라디오의 작품 세계
3. 팔라디오 양식 Palladianism
본문내용
sm
: 이탈리아 비첸차 출신의 건축가·이론가인 안드레아 팔라디오(1508∼80)의 저술과 작품에 기초를 둔 건축양식. 팔라디오는 16세기 후반의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건축가였다. 팔라디오는 BC 1세기 때 활동했던 건축가이며 이론가인 비트루비우스의 현존하는 건축물과 저술을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은 고대의 합리성과 원칙에 의해 지배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팔라디오 양식은 명확성·질서·대칭의 측면에서 합리성을 나타내는 한편, 고전적인 형태와 장식 모티브들을 사용하면서 고전시대에 경의를 표하기도 한다. 팔라디오의 직속제자인 빈첸초 스카모치(1552∼1616) 외에는 어떤 건축가도 팔라디오 작품의 가장 학문적인 측면, 즉 조화로운 비례를 탐구하는 데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리고 다음 2세기 동안에는 너무나 많은 추종자들의 손에서 이 양식이 팔라디오 작품의 힘차고 시적인 면이 빠진 채 무미건조한 학문적인 공식이 되어 버린 경향이 있었다. 그의 진정한 후계자로 꼽을 수 있는 건축가인 잔 로렌초 베르니니(1598∼1680)를 비롯해 현대 미국의 건축가 존 헤이두크에 이르는 건축가들은 그의 건축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을 다른 관점에서 재검토했다.
: 이탈리아 비첸차 출신의 건축가·이론가인 안드레아 팔라디오(1508∼80)의 저술과 작품에 기초를 둔 건축양식. 팔라디오는 16세기 후반의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건축가였다. 팔라디오는 BC 1세기 때 활동했던 건축가이며 이론가인 비트루비우스의 현존하는 건축물과 저술을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은 고대의 합리성과 원칙에 의해 지배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팔라디오 양식은 명확성·질서·대칭의 측면에서 합리성을 나타내는 한편, 고전적인 형태와 장식 모티브들을 사용하면서 고전시대에 경의를 표하기도 한다. 팔라디오의 직속제자인 빈첸초 스카모치(1552∼1616) 외에는 어떤 건축가도 팔라디오 작품의 가장 학문적인 측면, 즉 조화로운 비례를 탐구하는 데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리고 다음 2세기 동안에는 너무나 많은 추종자들의 손에서 이 양식이 팔라디오 작품의 힘차고 시적인 면이 빠진 채 무미건조한 학문적인 공식이 되어 버린 경향이 있었다. 그의 진정한 후계자로 꼽을 수 있는 건축가인 잔 로렌초 베르니니(1598∼1680)를 비롯해 현대 미국의 건축가 존 헤이두크에 이르는 건축가들은 그의 건축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을 다른 관점에서 재검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