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念을 明 하게 하는 方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觀念을 明 하게 하는 方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결과를 낳는다는데에 있다는 사실을 보면 된다.
따라서 제각기의 사고를 다른 사고와 구별하기 위한 객관적 기초는, 그 사고가 아무리 미묘하더라도,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것이라는데에 결국 귀착하고 만다. 실행상의 가능한 상원에는 있을 수 없을 만큼 미묘한 의미 구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
상술한 근본적 관점으로부터 어떤 결과가 생기는가를 살피기 위해서 그리스도敎의 신학에 있어서의 화체설
. 化體說이란 그리스도敎의 聖餐式(성찬식)에 관한 敎義로 성찬의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피와 살로 변한다는 敎義
을 이 관점에서 檢討해 보기로 하자.
프로테스탄트 敎會에서는 일반적으로 聖餐式에 쓰이는 포도주란 다만 比喩的(비유적) 의미로 그리스도의 피와 살일 뿐이라는 說을 取한다. 즉 피와 살이 우리의 신체를 살찌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리스도의 피와 살이라고 할 수 있는 빵과 포도주는 우리의 靈魂을 살찌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카톨릭 敎徒는 설사 성찬용의 빵과 희석화된 포도주가 모든 감각적 특질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문자 그대로 그리스도의 피와 살이라고 주장한다. ㄱ드러나 우리가 가지고 있는 포도주의 개념은
1. 이것이(저것이 또는 다른 어떤 것이) 포도주라는 신념이라든가, 또는
2. 포도주는 특정한 성질을 갖는다는 신념이든가, 둘 중의 어느 신념의 일부가 되는 것을 빼고는 우리는 포도주의 관념을 가질 수가 없다.
…… 우리가 어떤 것에 관해서 갖는 관념은 그 그것의 감지될 수 있는 영향에 관한 관념이며, 만일 우리가 그 이상의 것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자신을 속이고 있는 것이요, 사고에 부수하는 단순한 감각을 사고 자체의 구성부분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사고가 그 유일한 기능과 관계없는 어떤 의미를 갖는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따라서 만일 카톨릭계의 신자와 프로테스탄트계의 신자가 성찬식에 쓰이는 포도주나 빵의 모든 감지할 수 있는 영향에 관해서 의견이 일치한다면, 그들이 포도주와 빵에 관해서 의견을 일치시키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스꽝스럽다. ……
이상의 고찰로부터 이해의 제 삼 단계의 명석에 도달하기 위한 규칙은 다음과 같이 정식화 될 수 있다. : 어떤 대상의 개념을 명석하게 가질려면, 그 대상이 어떤 효과―이 효과는 행동과 관계가 있을는지도 모른다―를 미친다고 생각되는지를 잘 고찰해 보라. 그렇게 되면 이러한 효과에 관한 개념은 그 대상에 관한 개념과 일치한다.

키워드

논릭학,   관념,   명석,   난해,   주관적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1.23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