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법 자유형 평영 접영 배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자유형

1. 발차기

2,팔동작

3.호흡

4.연결동작

평 영

1. 발차기

2,팔동작

3.호흡

4.연결동작

접 영

1. 발차기

2,팔동작

3.호흡

4.연결동작

배 영

1. 발차기

2,팔동작

3.호흡

4.연결동작

본문내용

한다. 이렇게 되면 저항이 커지고 발끝의 스냅 동작에 방해가 되므로 의식적으로 아랫배가 수면에 나올 정도로 허리를 젖히도록 한다.
1. 발차기
크로올 보다 깊은 위치에서 동작하게 되며, 더 큰 추진력을 내는데 이 추진력은 크로올과 달리 차올리는 동작에서 주로 얻어 진다. 다리를 차올릴 때 무릎을 굽히는 정도는 추진력의 크기에 큰 영향을 준다
발차기 연습할 때 주의사항
1) 힘을 가하는 시기는 차올리는 순간뿐이다.
2) 다리로 물을 차올릴 때에 무릎은 어느 정도 굽혀지나 지나치게 굽혀서는 안 된다.
3) 발쪽에 수면 위로 지나치게 나와서 추진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한다.
4) 발목에 힘을 빼고 물을 차올리며 다리는 내 전하여 발끝이 자연히 내측을 향하게 한다. 처음에는 의식적으로 발끝을 내측으로 향하도록 다리를 내전 시켜 물을 찬다.
5) 허리를 항상 펴서 다리의 동작을 충분히 추진력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2. 팔동작
뒤로 누운 자세에서 팔을 움직이기 때문에 크로올에 비해 힘을 주기가 불편하다. 특히 젖기에서의 팔의 각도는 손이 마지막스냅과 더불어 추진력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손을 물에 넣은후 팔 동작의 리듬과 추진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계속적인 동작을 하도록 유념해야 한다.
1) 입수
공중을 돌아온 손은 어깨 앞에서 새끼 손가락을 밑으로 하여 입수한다.
이때 어깨는 수면 위에 얹어놓는 것 처럼하고 손끝부터 먼저 입수하는 느낌으로 한다.
입수때 손이 어깨의 안쪽으로 지나치게 들어가든가 바깥쪽으로 자나치게 나간다면 몸통의 선이 흐트러져서 추진력이 감소된다.
2) 캣취(물을 잡는 것)
입수한 손은 수면에서 먼저 손목을 굽이며 물결을 잡는다. 자유형과 마찬가지로 손바닥으로 몸의 압력을 느끼고 몸전체가 손바닥에 올라타 앉은 느낌으로 중심이 앞으로 이동한다.
이때 몸의 로오링(좌, 우 어깨의 상, 하 움직임)은 최대로 움직인 상태가 된다.
3) 풀(full)
기본적으로 자유형과 거의 같다.
즉 어깨를 축으로 해서 팔 전체로 물을 끌어 모은 다음 팔꿈치를 굽히기 시작한다. 팔은 아래쪽 향해서 뒤쪽을 향해 저어간다. 팔꿈치는 점차 굽혀져 어깨와 평행 위치에서 최대 90-105도 정도 구부러진다
4)푸쉬(Push)
이 상황에서 손목에 힘을 주어 단숨에 물을 뒷편으로 밀어낸다. 이때 속도는 최대로 가속된다. 밀어낸 손은 아래쪽을 향해 손목에 힘을 주어 누른다.(이 상태를 푸쉬다운이라고 한다.)
어깨의 선은 수평으로 되돌아온다
풀에서 푸쉬, 푸쉬다운의 이어진 동작은 야구공을 던졌을 때의 느낌과 닮은 점이 많다.
5) 리카바리 (손돌리기)
물 속을 젖고 난 다음 손을 어깨의 힘을 빼고 허벅지 옆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리카바리 한다. 이 때 몸통의 로오릴을 이용하므로서 어깨는 가급적 수면위에서 유지 되도록 하면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3. 호흡법
배영은 반듯이 뒤로 누운 자세로 헤엄치기 때문에 얼굴이 항상 수면 위로 나와 있으므로 호흡이 용이하다. 따라서 평상시와 마찬가지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면 된다.
그러나 초보자들은 대개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쉬게 되는데 이때 코로 물이 들어가서 기침과 함께 물을 먹게 되는 경우가 흔하다. 뿐만 아니라 초보자에 있어서는 팔의 되돌리기 동작 중위로 들어올린 팔에서 떨어져 내리는 물의 장막이 얼굴을 뒤덮기 때문에 호흡에 상당한 지장과 괴로움을 가져오기도 한다.
다른 영법에 비하여 호흡이 가장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특별한 연습은 필요 없으나, 입으로 숨을 들이 마시고 입과 코로 함께 숨을 내쉬는 요령을 익힌 다음 물 속에서 뒤로 누워 팔 동작과 함께 호흡을 연습한 후, 팔 다리 동작과 함께 호흡동작을 완성한다.
팔, 다리 호흡연결동작
왼손으로 물을 잡는 동시에 반대편의 오른쪽 다리의 킥은 시작된다.
오른손의 젖기가 끝나는 동시 왼쪽 다리로 윗쪽을 강하게 차올린다.
즉 6피트의 표준적인 연결 동작이다.
배영 발차기 힘과 더블어 손동작의 추진력에 큰 영향력을 받으므로 상반신의 절묘한 로올링을 이용한다.
로올링을 잘 이용하면 어깨에 오는 물의 저항을 방지하고 손의 입수와 캐취(잡는동작) 및 풀을 이상적으로 할 수있다.
그러나 로올링을 심하게 하면 허리가 불안전해져서 진행이 지그재그로 변화하므로 자연스러운 로올링으로 수영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영법 전체로 보면 손동작(Pull)과 발차기를 조화시켜서 수영을 하지만 자유형보다는 발차기의 역할이 크므로 전반적으로 손동작에 의존하는 것 같은 연결(Combanation)은 피하는 것이 좋다.

키워드

자유형,   배영,   접영,   평영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01.2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