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형 수영레포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유형 수영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영이란?

2. 자유형이란?

3. 자유형 기본자세
(각종 다양한 사진들 첨부)

본문내용

앞으로 내밀기 시작함에 따라 우측 다리의 아래로 밀어내기는 종료한다. 숨을 들여 마시기는 종료한다.
Motion 17. 왼손 풀
리커버리 팔이 앞으로 나감에 따라 머리는 몸 중심선을 향하여 뒤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Motion 18. 왼손 풀
얼굴이 거의 물에 닿으면 숨을 내쉬기 시작한다. 오른팔이 물에 들어가려고 하는 시점에서 스트로크는 1회가 끝난다.
(8) 출발법
경영의 출발법은 배영만이 물 속에서 출발하며 크롤, 평영, 접영은 물 밖에서 출발한다. 물 밖에서 시작하는 출발법에는 그랩 스타트(grab start)와 크라우칭 스타트(crouching start)가 있는데, 이 두가지 방법은 준비단계의 발 자세와 뛰어드는 각도의 차이에 따라 구분한다. 즉, 그랩 스타트는 양 발을 가지런히 모은 상태에서 출발하고 뛰어드는 각도는 약 45°를 유지하는데 비해 크라우칭 스타트는 단거리 달리기의 준비자세와 같이 양 발 가운데 잘쓰는 한 쪽 발을 앞으로 내딛은 상태에서 수면과 거의 수평을 이루는 각도로 뛰어 든다.
① 준비자세
출발대 위의 뒤쪽에 선다. 출발대가 없는 경우에는 준비자세에서 pool 끝의 뒤쪽으로 한 발짝 물러나 선다.
② Take your marks(차렷)
이 구령에 선수는 지체함 없이 앞쪽으로 나서서 다리를 엉덩이 넓이로 벌리고 발가락이 출발대 끝을 움켜쥘 수 있도록 한다. 일단 발을 단단하게 고정시켰으면 앞쪽으로 몸을 기울이고 출발대의 앞 끝을 움켜쥔다. 상체는 허벅지에 닿을 정도로 구부러져 있어야 한다. 머리는 무릎보다 낮거나 근처에 위치하여야 하며 특히 엉덩이 위치가 높아야 한다.
③ Take-off(도약)
머리를 들어 정면 약 45도 위를 주시하면서 순간적으로 몸의 모든 무게 중심을 앞쪽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고 손과 팔을 빠른 동작으로 출발대를 힘껏 민다.
④ Flight(비행)
일단 출발신호가 떨어지면 출발대 끝을 잡았던 손을 밀면서 공중으로 양손을 쭉 뻗은 채 솟구쳐 오른다.
도약 후 공중에서 팔을 찌르는 동작은 갑작스럽게 순간 정지하고 양손은 입수하기 위해서 입수될 지점을 향한다.
이러한 비행동작의 정지사진을 보면 일반적으로 몸의 선에서 90도에 가까운 팔의 각도를 볼 수 있다. 그 다음 물로 몸이 떨어지면서 허리는 구부리고 다리는 쭉 뻗는다.
⑤ Entry and Follow-Through(입수와 이어짐 동작)
입수 시에는 가능한 작은 물방울을 튀도록 해야 하며 글라인드 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몸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두 팔 밑에 머리가 위치하도록 하고 한쪽 손의 바닥을 다른 손의 손등에 편편하게 겹쳐준다. 손가락은 앞쪽으로 펴져 있어야 하며 다리는 발가락이 완전히 뒤로 쭉 펴지고 허벅지는 서로 붙어야 한다.
(9) 턴(turn)
경영 중의 턴은 가속도를 얻는 기회이다. 크롤의 턴에는 수중 턴, 수면 턴, 플립턴(flip turn) 등 3가지의 턴이 있는데, 이 가운데 플립 턴은 턴의 속도가 가장 빠르며 퀵 턴(quick turn)이라 불린다.
Open Turn (Free Open Turn)
이런 턴은 실제경기에서 거의 볼 수 없지만 초보자는 쉽게 배울 수 있는 턴이다.
① Approach(접근)
마지막 스트로크를 한 팔을 허벅지쪽으로 당기고 입수하는 팔과 반대쪽 어깨는 몸 중심선을 따라 수영장벽으로 접근한다.
② Touch(터치)
터치한 손으로 수영장 끝의 홈을 잡거나 수영장벽에 수직으로 손을 대기도 한다. 터치하는 팔은 접근 순간부터 아코디언처럼 팔목 팔꿈치 차례로 찌그러지는 완충작용을 하게 되고 순간적으로 선수의 운동량을 반대방향으로 바꾸어 준다. 이때 반대 팔은 물 속에서 전방을 향해서 허리높이 정도에 위치해야만 몸이 물 밖으로 너무 떠 올라 정확한 push-off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③ Mid-turn(턴의 중간)
이제 몸은 수직 축으로 운동하고 있다. 터치한 손은 벽을 떠나 push-off(밀기)를 위해서 준비하고 있는 팔과 재빨리 합쳐지고 다리가 벽에 붙기 전에 두 팔과 손은 push-off를 준비한다. 이때 호흡을 위해 얼굴은 위로 돌려진다.
④ Push-off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측면으로 몸을 민다. 또는 약간 누운 자세일 수도 있고 물 속에서 완벽하게 정면으로 몸을 만든 후 push-off 할 수 있다.
Flip Turn
실제경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턴으로 육상에서 앞쪽으로 도는 공중제비(Somersaulting)와 같은 원리다. 지렛대의 원리를 사용하여 자신의 순간 운동량과 자신의 몸을 툭 튕겨 넘겨주는 동작이다. 이 동작은 실제로 벽을 미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부가적인 동작이 필요 없다.
① Approach(접근)
벽으로 향해가는 마지막 스트로크에서 입수한 팔이 벽에 닿지 않도록 적절한 거리감각을 익힌다.
마지막 스트로크를 한 팔은 자연스럽게 내려가고 반대편 팔은 recovery를 할 필요가 없다. 머리를 가슴쪽으로 빠르게 당기면서 몸을 둥글게 말아 물 속으로 들어간다.
Pull 동작이 끝나면 두 손은 회전해서 손바닥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몸의 회전을 돕기 위해 물을 앞으로 쓸어준다. 다리는 자유형 발차기에서 하퇴의 돌핀 킥 동작으로 유도해간다.
② Mid-turn(턴의 중간)
머리와 어깨가 수면 밑에서 도는 동안 엉덩이는 수면으로 나오게 된다. 다리는 수면 위에서 머리를 지나가서 돌핀 킥을 찬다. 팔과 손은 이미 push-off를 준비하고 있다.
③ Touch(터치)
돌핀 킥을 찬 후 다리는 벽쪽으로 뻗어 무릎을 살짝 구부려 push-off를 준비한다.
④ Push-off
두 다리가 벽에 닿자 마다 push-off를 시작한다. 턴 후에 밀고 나오는 회전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앞으로 돌기자세보다는 옆으로 돌기자세가 유리하기도 하다.
(10) 골 터치
크롤의 골 터치는 마지막 되돌리기와 강한 킥을 한 후 터치하는 것이 기본이다. 마지막 되돌리기는 속도를 내면서 팔꿈치를 올려 수면 위를 재빨리 움직이며 반대쪽 팔은 강한 스트로크를 하면서 발은 힘차게 킥한다. 팔은 앞을 똑바로 뻗어 찌르는 것처럼하여 손끝으로 터치한다. 이때 얼굴은 물 속에 두고서 터치해야 저항이 적다.

키워드

  • 가격30,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5.03.18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5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