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적 현장연구의 패러다임
2. 현장연구에 적절한 주제
3. 관찰자의 다양한 역할
4. 관찰대상과의 관계
5. 현장을 위한 준비
6. 현장연구조사에서의 표본추출
7. 질적면접
8. 관찰의 기록
9. 자료처리과정
10. 자료 분석
11. 결론의 도출: 몇가지 논리적 함정
12. 사례연구에서 질적 방법
13. 현장 연구조사의 장점과 단점
14. 연구조사 윤리
2. 현장연구에 적절한 주제
3. 관찰자의 다양한 역할
4. 관찰대상과의 관계
5. 현장을 위한 준비
6. 현장연구조사에서의 표본추출
7. 질적면접
8. 관찰의 기록
9. 자료처리과정
10. 자료 분석
11. 결론의 도출: 몇가지 논리적 함정
12. 사례연구에서 질적 방법
13. 현장 연구조사의 장점과 단점
14. 연구조사 윤리
본문내용
지 방법(예; 아동학대)
(1) 빈도;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가?
(2) 크기: 학대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3) 구조; 학대의 유형은? 그리고 유형이 특정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가?
(4) 과정; 어떤 순서가 있는가?
(5) 원인; 원인은 무엇인가?
(6) 결과; 어떤 결과를 미치는가?
* 현장연구조사의 장점
;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사이의 상호작용이 다른 연구조사방법보다 더 유연하다는 점이다.
=> 자신의 이론적 결론을 지지하는 것만을 관찰하게 될 위험이 존재
해결방안: 첫째, 양적인 관찰로 질적인 관찰을 보강할 수 있음
둘째, 과학의 규범의 하나가 간주관성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함. 다른 사람의 도움을 얻을 수 있음
셋째, 자기성찰- 연구대상의 위치에서 어떻게 느끼고 행동할 것인가를 반문
11. 결론의 도출: 몇가지 논리적 함정
; 일반적으로 많이 범하는 실수
(1) 지역주의(provincialism)
; 사람들의 행위를 자신의 관점에서 의미있게 해석할 위험이 항시 존재함
(2) 원주민화(going native)
; 자신이 관찰하고 있는 문화와 과도하게 동일시하는 것
; 보고서에서는 비판적 해석의 노력이 반영되어야 함
(3) 감정적 반응(emotional reactions)
; 팀으로 일함으로써 개인의 감정적 반응을 줄일 수 있음
(4) 성급한 결론(hasty conclusion)
(5) 의심스러운 원인(questionable cause)
(6) 보이지 않는 증거(suppressed evidence)
; 언급하지 않은 관찰 뿐 아니라 결론에서 예기하지 않은 관찰에도 주목
(7) 그릇된 문제제기(false dilemma)
; "생물학이 아니라 경제학이 남성의 지배를 설명한다"
; 다른 가능한 설명 요인에 대한 배제
13. 사례연구에서 질적 방법
; 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일사례설계를 사용하면서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결합하는 사례연구접근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증대됨.
; 양적인 결과를 지지하기 위해 질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
; 클라이언트 일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와 관련된 사건을 적는 일기
- 중요한 사건에 대한 질적 정보와 대상행위에 대한 양적 자료를 기록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
- 양적 결과자료를 수집할 때, 기초선선과 개입단계에 발생하는 관련없는 사건을 기록하는데도 유용함.
15. 현장 연구조사의 장점과 단점
1) 이해의 깊이
; 사건이나 행위에 관한 심도깊은 이해
; 유연성
; 적은 비용
단점; 대규모 모집단에 대해 정확하게 서술할 수 없음
; 대부분의 경우 결론이 확정적이라기 보다는 제안적임
2) 주관성
; 깊이는 있으나 많은 경우 매우 개인적이고 주관적임
3) 일반화 가능성(generalizability)
; 첫째, 관찰과 측정이 개인적이어서 다른 연구에 의해 재현되지 않을 수 있음
; 둘째, 연구의 포괄성으로 인해 일반화가능성이 줄어듬
; 셋째, 관찰대상인 구체적 대상 안에서조차 일반화 가능성의 문제가 있음.=>편견이 있는 표본 추출의 가능성이 높음.
16. 연구조사 윤리
(1) 빈도;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가?
(2) 크기: 학대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3) 구조; 학대의 유형은? 그리고 유형이 특정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가?
(4) 과정; 어떤 순서가 있는가?
(5) 원인; 원인은 무엇인가?
(6) 결과; 어떤 결과를 미치는가?
* 현장연구조사의 장점
;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사이의 상호작용이 다른 연구조사방법보다 더 유연하다는 점이다.
=> 자신의 이론적 결론을 지지하는 것만을 관찰하게 될 위험이 존재
해결방안: 첫째, 양적인 관찰로 질적인 관찰을 보강할 수 있음
둘째, 과학의 규범의 하나가 간주관성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함. 다른 사람의 도움을 얻을 수 있음
셋째, 자기성찰- 연구대상의 위치에서 어떻게 느끼고 행동할 것인가를 반문
11. 결론의 도출: 몇가지 논리적 함정
; 일반적으로 많이 범하는 실수
(1) 지역주의(provincialism)
; 사람들의 행위를 자신의 관점에서 의미있게 해석할 위험이 항시 존재함
(2) 원주민화(going native)
; 자신이 관찰하고 있는 문화와 과도하게 동일시하는 것
; 보고서에서는 비판적 해석의 노력이 반영되어야 함
(3) 감정적 반응(emotional reactions)
; 팀으로 일함으로써 개인의 감정적 반응을 줄일 수 있음
(4) 성급한 결론(hasty conclusion)
(5) 의심스러운 원인(questionable cause)
(6) 보이지 않는 증거(suppressed evidence)
; 언급하지 않은 관찰 뿐 아니라 결론에서 예기하지 않은 관찰에도 주목
(7) 그릇된 문제제기(false dilemma)
; "생물학이 아니라 경제학이 남성의 지배를 설명한다"
; 다른 가능한 설명 요인에 대한 배제
13. 사례연구에서 질적 방법
; 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일사례설계를 사용하면서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결합하는 사례연구접근법을 사용하는 경향이 증대됨.
; 양적인 결과를 지지하기 위해 질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
; 클라이언트 일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와 관련된 사건을 적는 일기
- 중요한 사건에 대한 질적 정보와 대상행위에 대한 양적 자료를 기록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
- 양적 결과자료를 수집할 때, 기초선선과 개입단계에 발생하는 관련없는 사건을 기록하는데도 유용함.
15. 현장 연구조사의 장점과 단점
1) 이해의 깊이
; 사건이나 행위에 관한 심도깊은 이해
; 유연성
; 적은 비용
단점; 대규모 모집단에 대해 정확하게 서술할 수 없음
; 대부분의 경우 결론이 확정적이라기 보다는 제안적임
2) 주관성
; 깊이는 있으나 많은 경우 매우 개인적이고 주관적임
3) 일반화 가능성(generalizability)
; 첫째, 관찰과 측정이 개인적이어서 다른 연구에 의해 재현되지 않을 수 있음
; 둘째, 연구의 포괄성으로 인해 일반화가능성이 줄어듬
; 셋째, 관찰대상인 구체적 대상 안에서조차 일반화 가능성의 문제가 있음.=>편견이 있는 표본 추출의 가능성이 높음.
16. 연구조사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