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학과 서구 사학의 만남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래로 진화하여 규율적으로 발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후대 사람들이 역사의 공리에 따르고 공례대로 행한다면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양계초는 비록 구학출신이긴 하지만 신학을 받아들이어 새로운 사학의 길은 개준하여 중국의 신구사학의 분계를 이루었고 중국사학의 신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크다. 그러나 양계초의 신사학은 5·4운동 이후 점차적으로 고힐강이 주도하는 의고파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 물론 의고파의 성과가 없었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그 범위가 너무 좁고 견해가 편파적이기 때문에 그 폐단 역시 많았다. 그 뒤 마르크스주의자들이 그 폐단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도리어 지나쳤고 헛되고 막연할 뿐 실증이 결여되었다. 양계초의 학을 이어 받은 후계자라고 할 만한 학자들도 있었지만 그들도 큰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의 신사학이 발전하여 여러 갈래의 후계자가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었담녀 민족사학에 대한 공헌을 더욱 컸을 것이다.
* 참고 문헌 *
고국학, 1998 < 중국 사학사 > (오상흥, 이개석, 조병한 공역), 풀빛
탁용국, 1986 < 중국 사학사 대요 >, 탐구당
중국사학사 편집조, 1998 < 중국 사학사 >, 자작 아카데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03.07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5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