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II. 박물관의 개념 및 종류
III. 국립박물관의 기능
IV. 문화공간으로서의 국립박물관의 현재와 미래
VI. 맺음말
참고문헌
II. 박물관의 개념 및 종류
III. 국립박물관의 기능
IV. 문화공간으로서의 국립박물관의 현재와 미래
VI.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회, 영사회, 답사회 등을 개최한다면 자연히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게될 것이다.
또한 박물관의 안내데스크는 박물관 전시실 안내에 머물지 않고 박물관이 있는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관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박물관과 각 지역의 문화유산을 연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국립박물관은 그 지역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이 다녀가는 장소이므로 관광객들에게 국립박물관이 소재한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매우 이상적일 것이다.
국립박물관의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은 현재까지 가장 소외되어 온 부분이기는 하나 점차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박물관 관리담당자의 의식의 전환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부분이다.
박물관의 역할이 문화재의 보존과 전시에서 점차 사회교육기관,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기는 하나 박물관 운영에 대한 창의성은 완전히 인정되지 않고 있음도 사실이다. 박물관 정책과 운영은 극히 관료적이며 대중이나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보다는 자체 내에서 가능한 부분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잇다.
이는 국립박물관이 재정기반을 전적으로 국고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고 문화경제력이 창출될 수 있는 매개영역들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나은 서비스, 보다 나은 프로그램 등에 힘을 기울일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에 기인한다(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9).
우리와 달리 외국의 경우는 100% 국고지원에 의존하는 재정구조에서 탈피하여 박물관 운영기금 확보를 위해 회원제 운영, 재정조달 캠페인, 기업지원 촉구, 박물관 소장품 기증확대, 박물관 숍의 확대, 박물관 대여 등 다각도의 노력를 기울이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국립박물관은 관료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관람객을 위한 사고의 전환을 이루어야 하며, 풍족한 재정적 뒷받침을 기본으로 하여 전시내용의 충실, 서비스의 강화, 여가공간의 확충,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VI. 맺음말
국립박물관은 문화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할 뿐 만 아니라 학문적인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전시를 함으로써 사회교육적 기능을 수행하는 곳이다. 이러한 국립박물관의 역할은 사회적인 요구에 따라 문화유산의 수집과 보관이라는 일차적인 기능에서 점차적으로 전시를 토한 사회교육적인 기능의 강조로 변해왔다. 최근에는 국립박물관이 단순히 문화유산을 전시하는 공간에서 나아가 지역주민들이 여가생활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립박물관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보여주는 박물관', '찾아오게 하는 박물관'이 되기 위하여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교육기관', '휴식공간', '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은 현재 박물관 문화강좌를 중심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지금과 같이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개설된 일반성인 중심의 문화강좌 보다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교육과 연계한 박물관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지역주민들의 휴식처로서의 역할은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함으로써 박물관이 어렵고 딱딱한 공간이 아니라 쉽게 찾아가서 쉬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박물관 시설의 보완이나 효과적인 전시방법에 대한 배려 이외에 지역주민들이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행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문화유산의 전시와 병행하여 민속놀이 행사에 국한되고 있는 현재의 문화행사를 음악회, 미술전시회, 연극공연과 영화감상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한다면 박물관은 각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의 하나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역할은 현재 대구박물관과 김해박물관 등 몇몇 지방국립박물관에서 지향하는 바로, 앞으로 지방자치시대와 맞물러 더욱 활성화되리라 생각된다.
국립박물관의 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전자박물관 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앞으로는 국립박물관은 언제 누구나 쉽게 국립박물관을 통해서 문화유산의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국립박물관과 각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과를 연계시켜 국내외 관광객에게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해볼 중요한 문제이다.
앞으로 국립박물관이 이상의 세 가지 역할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둔다면 '관람객이 찾아오는 박물관'이 아니라 눈높이를 관람객에 맞추어 '찾아오도록 하는 박물관'·'지역주민과 유리되지 않은 박물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우방(1995), "국립박물관 오십년약사", 국립박물관의 역할과 위상,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2000), 국립경주박물관 년보,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1999), 개관오년사, 국립대구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2000), 1999 국립박물관 년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1998), 한국의 박물관, 통천문화사.
김혜경(역)(1996), 미술관/박물관이란 무엇인가(Daniele Giraudy·Henry Bouilhet, le musee et la vie), 화산문화.
문화관광부(1999), 전국문화공간현황, 문화관광부.
안종윤( 1989), "여가와 여가정책", 관광연구논총 1권,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안휘준(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 시공사.
양현미(1994), "전통미술의 문화경 제력 제고방안", 전통문화의 문화경제력 제고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이강승(1995), "국립박물관의 사회적 역할",국립박물과의 역할과 위상, 국립중앙박물관.
이근(1993), 신관광자원론, 학문사.
이난영(1999), (신판) 박물관학입문, 삼화출판사.
한국문화정책개발원(1999), 박물관·미술관 학예사 자격제도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竹內 順一(1995), "21세기국립박물관의 위상",국립박물과의 역할과 위상, 국립중앙박물관. 1995
倉田公裕(1998), 博物館學, 東京堂出版.
목차
Ⅰ. 서 론
II. 박물관의 개념 및 종류
III. 국립박물관의 기능
IV. 문화공간으로서의 국립박물관의 현재와 미래
VI. 맺음말
참고문헌
또한 박물관의 안내데스크는 박물관 전시실 안내에 머물지 않고 박물관이 있는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관광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박물관과 각 지역의 문화유산을 연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국립박물관은 그 지역을 방문하는 많은 관광객이 다녀가는 장소이므로 관광객들에게 국립박물관이 소재한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매우 이상적일 것이다.
국립박물관의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은 현재까지 가장 소외되어 온 부분이기는 하나 점차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박물관 관리담당자의 의식의 전환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부분이다.
박물관의 역할이 문화재의 보존과 전시에서 점차 사회교육기관,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기는 하나 박물관 운영에 대한 창의성은 완전히 인정되지 않고 있음도 사실이다. 박물관 정책과 운영은 극히 관료적이며 대중이나 지역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기 보다는 자체 내에서 가능한 부분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잇다.
이는 국립박물관이 재정기반을 전적으로 국고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고 문화경제력이 창출될 수 있는 매개영역들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나은 서비스, 보다 나은 프로그램 등에 힘을 기울일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에 기인한다(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9).
우리와 달리 외국의 경우는 100% 국고지원에 의존하는 재정구조에서 탈피하여 박물관 운영기금 확보를 위해 회원제 운영, 재정조달 캠페인, 기업지원 촉구, 박물관 소장품 기증확대, 박물관 숍의 확대, 박물관 대여 등 다각도의 노력를 기울이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국립박물관은 관료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관람객을 위한 사고의 전환을 이루어야 하며, 풍족한 재정적 뒷받침을 기본으로 하여 전시내용의 충실, 서비스의 강화, 여가공간의 확충,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VI. 맺음말
국립박물관은 문화유산을 수집하고 보존할 뿐 만 아니라 학문적인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전시를 함으로써 사회교육적 기능을 수행하는 곳이다. 이러한 국립박물관의 역할은 사회적인 요구에 따라 문화유산의 수집과 보관이라는 일차적인 기능에서 점차적으로 전시를 토한 사회교육적인 기능의 강조로 변해왔다. 최근에는 국립박물관이 단순히 문화유산을 전시하는 공간에서 나아가 지역주민들이 여가생활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국립박물관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보여주는 박물관', '찾아오게 하는 박물관'이 되기 위하여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교육기관', '휴식공간', '정보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은 현재 박물관 문화강좌를 중심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지금과 같이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개설된 일반성인 중심의 문화강좌 보다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교육과 연계한 박물관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지역주민들의 휴식처로서의 역할은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함으로써 박물관이 어렵고 딱딱한 공간이 아니라 쉽게 찾아가서 쉬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할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박물관 시설의 보완이나 효과적인 전시방법에 대한 배려 이외에 지역주민들이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문화행사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문화유산의 전시와 병행하여 민속놀이 행사에 국한되고 있는 현재의 문화행사를 음악회, 미술전시회, 연극공연과 영화감상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한다면 박물관은 각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의 하나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역할은 현재 대구박물관과 김해박물관 등 몇몇 지방국립박물관에서 지향하는 바로, 앞으로 지방자치시대와 맞물러 더욱 활성화되리라 생각된다.
국립박물관의 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전자박물관 시스템의 구축과 함께 앞으로는 국립박물관은 언제 누구나 쉽게 국립박물관을 통해서 문화유산의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국립박물관과 각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과를 연계시켜 국내외 관광객에게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해볼 중요한 문제이다.
앞으로 국립박물관이 이상의 세 가지 역할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둔다면 '관람객이 찾아오는 박물관'이 아니라 눈높이를 관람객에 맞추어 '찾아오도록 하는 박물관'·'지역주민과 유리되지 않은 박물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우방(1995), "국립박물관 오십년약사", 국립박물관의 역할과 위상,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2000), 국립경주박물관 년보,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1999), 개관오년사, 국립대구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2000), 1999 국립박물관 년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1998), 한국의 박물관, 통천문화사.
김혜경(역)(1996), 미술관/박물관이란 무엇인가(Daniele Giraudy·Henry Bouilhet, le musee et la vie), 화산문화.
문화관광부(1999), 전국문화공간현황, 문화관광부.
안종윤( 1989), "여가와 여가정책", 관광연구논총 1권,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안휘준(2000), 한국의 미술과 문화, 시공사.
양현미(1994), "전통미술의 문화경 제력 제고방안", 전통문화의 문화경제력 제고방안,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이강승(1995), "국립박물관의 사회적 역할",국립박물과의 역할과 위상, 국립중앙박물관.
이근(1993), 신관광자원론, 학문사.
이난영(1999), (신판) 박물관학입문, 삼화출판사.
한국문화정책개발원(1999), 박물관·미술관 학예사 자격제도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竹內 順一(1995), "21세기국립박물관의 위상",국립박물과의 역할과 위상, 국립중앙박물관. 1995
倉田公裕(1998), 博物館學, 東京堂出版.
목차
Ⅰ. 서 론
II. 박물관의 개념 및 종류
III. 국립박물관의 기능
IV. 문화공간으로서의 국립박물관의 현재와 미래
VI.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