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데올로기
2.헤게모니
3.문화자본
4.결론
2.헤게모니
3.문화자본
4.결론
본문내용
지만, 그 '바람직한'이라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전인(全人)을 목표로 한 것일지라도, 현실에서 바람직이란 현 사회에 가장 적합한 모습을 두고 얘기를 하는 것이다. 강자·지배자는 약자·피지배자를 보다 사회에 잘 맞는 그런 바람직한 구성원으로 만들기 위해 자신들의 논리에 의한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낸다.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옛날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 일제강점기, 6.25사변 등을 겪으면서 그런것들이 우리의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문화자본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데올로기에 있어 사대주의는 과거 중국에서 현재의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의 반일, 6.25사변 이후의 반공에 관한 것들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교육은 그에 따라 자연히 친미, 반일, 반공에 관한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교육은 무릇 참다운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사회가 원하는 바람직이 아닌 전인이 최종적 목표이다. 아무리 작은 한 개인도 국가에 의해 국가 유지의 수단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교육의 목적은 도구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뒷받침을 통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교육이 진정한 교육으로써의 빛을 발하기를 바란다.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옛날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 일제강점기, 6.25사변 등을 겪으면서 그런것들이 우리의 이데올로기, 헤게모니, 문화자본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데올로기에 있어 사대주의는 과거 중국에서 현재의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의 반일, 6.25사변 이후의 반공에 관한 것들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교육은 그에 따라 자연히 친미, 반일, 반공에 관한 교육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교육은 무릇 참다운 사람을 만드는 것이다. 사회가 원하는 바람직이 아닌 전인이 최종적 목표이다. 아무리 작은 한 개인도 국가에 의해 국가 유지의 수단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교육의 목적은 도구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뒷받침을 통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교육이 진정한 교육으로써의 빛을 발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