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예산제도의 의의
2. 성과주의 예산의 특징
3. 도서관에서 성과주의 예산의 적용
1) 지역사회 연계
2) 대학도서관의 인식 전환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예산제도의 의의
2. 성과주의 예산의 특징
3. 도서관에서 성과주의 예산의 적용
1) 지역사회 연계
2) 대학도서관의 인식 전환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제공함으로써 기관의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이를 통해 관리자들은 예산에서 예측되는 결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자원을 배분할 수 있게 된다. 즉 성과주의예산은 활용하는 자원과 달성된 성과 간의 연계를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가치 있는 진단 도구인 것이다. 그리고, 정부부문은 민간부문의 순이익과 같은 행동의 결과를 통제할 수 있는 메카니즘이 결여되어 있다. 관리자들은 성과측정을 바탕으로 훌륭한 결과에 대해서는 보상을, 나쁜 결과에 대해서는 응분의 대가를 받는다는 인식을 가직 수 있도록 인센티브라는 관리 도구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성과주의예산은 관리자들이 조직 구성원에 대한 통제력을 확대하고 관리자들에게 조직의 성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출발점을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성과주의 예산제도에 관해 논술해 보았다. 공공부문의 본질적 특징으로부터 제기되는 성과 향상의 유인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과주의예산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공공조직이 민간기업과 비교할 때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차이가 바로 시장에 대한 노출정도가 낮고 평가지표와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경쟁적인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기 위해 효율적효과적 생산의 노력을 배가하는 민간기업과는 달리, 행정관리상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의 제고와 효과성 제고를 위한 유인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제시된 성과목표에 대해 평가를 하고 이를 계산에 연계하여 성과향상의 유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성과주의예산제도에서는 정책 또는 예산 집행과정상에 자율성재량권을 부여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도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밖에 성과평가를 통해 관리자는 조직이 추진되는 사업이나 정책과 내부 관리상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관리능력 향상 및 지속적개선, 조직혁신의 토대가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공동성, 성과예산제도와 국회예산정책처의 역할, 예산 정책연구. (2012)
김귀한, 대학도서관의 예산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청주대학교교육대학원, 2004.
고영만, “대학도서관의 경제적 가치측정을 위한 시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송경진, 공공도서관의 재원조달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2010.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성과주의 예산제도에 관해 논술해 보았다. 공공부문의 본질적 특징으로부터 제기되는 성과 향상의 유인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과주의예산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공공조직이 민간기업과 비교할 때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차이가 바로 시장에 대한 노출정도가 낮고 평가지표와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경쟁적인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기 위해 효율적효과적 생산의 노력을 배가하는 민간기업과는 달리, 행정관리상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의 제고와 효과성 제고를 위한 유인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제시된 성과목표에 대해 평가를 하고 이를 계산에 연계하여 성과향상의 유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성과주의예산제도에서는 정책 또는 예산 집행과정상에 자율성재량권을 부여함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도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밖에 성과평가를 통해 관리자는 조직이 추진되는 사업이나 정책과 내부 관리상의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관리능력 향상 및 지속적개선, 조직혁신의 토대가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공동성, 성과예산제도와 국회예산정책처의 역할, 예산 정책연구. (2012)
김귀한, 대학도서관의 예산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청주대학교교육대학원, 2004.
고영만, “대학도서관의 경제적 가치측정을 위한 시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송경진, 공공도서관의 재원조달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