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문주의와 신인문주의의 정의
Ⅱ. 신인문주의의 지적·사회적 배경
1. 신인문주의의 배경
2. 고전주의의 배경과 정의
Ⅲ. 신인문주의 학파
1. 헤르더의 `인간다움` 의 개념
1) 헤르더의 인간관과 세계관
2) 헤르더가 제시하는 역사와 인간다움
① 언어. 이성. 도야. 교육
② 역사와 인간다움의 진보
2. 훔볼트( Wilhelm von Humboldt )의 교육이념
1) 훔볼트의 인간 이해 개념
2) 전인교육으로서의 인간교육
① 언어
② 역사
③ 예술
3. 제 3 인문주의와 훔볼트의 교육 이념
Ⅳ.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1. 페스탈로치의 생애
2. 페스탈로치의 교육원리
1) 자발성의 원리
2) 조화의 원리
3) 방법의 원리
4) 직관의 원리
5) 사회의 원리
3.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1) 삼육론(三育論)
2) 가정교육론
3) 인간성 삼단층론
4) 사회교육론
5) 체벌교육론
4. 페스탈로치의 교육목적
5. 페스탈로찌 교육방법의 8대 원리
6. 페스탈로치가 교육에 미친 영향
1) 교육의 수단과 방법에 미친 영향
2) 교실의 일반적 정신에 미친 영향
3) 현대교육사적 의의
7. 자연주의적 교육관
※ ≪ 참 고 자 료 ≫
Ⅱ. 신인문주의의 지적·사회적 배경
1. 신인문주의의 배경
2. 고전주의의 배경과 정의
Ⅲ. 신인문주의 학파
1. 헤르더의 `인간다움` 의 개념
1) 헤르더의 인간관과 세계관
2) 헤르더가 제시하는 역사와 인간다움
① 언어. 이성. 도야. 교육
② 역사와 인간다움의 진보
2. 훔볼트( Wilhelm von Humboldt )의 교육이념
1) 훔볼트의 인간 이해 개념
2) 전인교육으로서의 인간교육
① 언어
② 역사
③ 예술
3. 제 3 인문주의와 훔볼트의 교육 이념
Ⅳ.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1. 페스탈로치의 생애
2. 페스탈로치의 교육원리
1) 자발성의 원리
2) 조화의 원리
3) 방법의 원리
4) 직관의 원리
5) 사회의 원리
3.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1) 삼육론(三育論)
2) 가정교육론
3) 인간성 삼단층론
4) 사회교육론
5) 체벌교육론
4. 페스탈로치의 교육목적
5. 페스탈로찌 교육방법의 8대 원리
6. 페스탈로치가 교육에 미친 영향
1) 교육의 수단과 방법에 미친 영향
2) 교실의 일반적 정신에 미친 영향
3) 현대교육사적 의의
7. 자연주의적 교육관
※ ≪ 참 고 자 료 ≫
본문내용
③ 그릇된 행동교정 ④ 잘못한 자기 행동에 대한 보상. 죄책감 떨칠 수 있도록. ⑤ 아이를 고무해주기 위해서다.
4. 페스탈로치의 교육목적
① 인간의 내재된 자질과 능력 등을 교육 통해 계발 - 자아실현.
② 하느님이 각자에게 부여한 능력의 개발.
③ 여러 능력의 조화로운 계발에 의한 인격도야.
④ 각자가 하느님이 맡기신 몫을 하면서 개성을 실현하는 일.
⑤ 각자가 그 삶으로 사회의 바람직한 일꾼이 되는 일
⑥ 궁극적으로 인류의 완성을 기하여 믿음, 소망, 사랑으로 실천하는 일.
5. 페스탈로찌 교육방법의 8대 원리
① 자기창조의 원리 - 내재적 소질 스스로 발전시키도록 돕는 것. 자율성, 자발성, 흥미, 욕구의 충족이 따름.
② 교도의 원리 : 목적, 과정, 의지적 노력.
③ 도야의 원리 : 좋은 점은 서로 배우고 나쁜 점은 서로 시정, 서로가 힘을 모아 하나의 문제를 풀어나가며 나아가서 협동정신 함양.
④ 기초도야의 원리 : 기초과목은 가정교육에서부터 철저히 한다. - 조기교육.
⑤ 내면적 직관의 원리 : 플라톤의 [사고] + 코메니우스의 [외재적 경험]
⑥ 세 힘의 조화/균형의 원리 : 도덕적(윤리적)+지능적(정신적)+신체적(기능적)
⑦ 개인과 사회 협동의 원리 : 교육을 가장 강한 사회혁신 수단으로 봄.
⑧ 친근성의 원리 : 교육은 가장 가까운 생활권에서 점차로 확대되어야 함.
6. 페스탈로치가 교육에 미친 영향
1) 교육의 수단과 방법에 미친 영향
페스탈로치가 대체하려고 한 학교는 형태를 바꾼 가정이었고, 가정과 동일한 관계에 가깝고, 동일한 정신을 반영하고, 동일한 목적 즉, 아동의 도덕적, 지적 발달과 물질적 개선을 지향한 학교였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관념을 실현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2) 교실의 일반적 정신에 미친 영향
페스탈로치의 위대함이란 그의 모든 저서나 사업을 통해서 교실에 새로운 정신이 넘치게 하고 교사와 학생이 새로운 분위기 즉, 가정의 분위기에 감싸지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명시하였다.
3) 현대교육사적 의의
- 교육의 주요대상은 국민의 절대다수인, 그리고 그 주요구성원인 민중이어야 한다. 민중의 전면적 각성이 그의 교육학 이념이다.
- 내재적 소질의 조화적 발전을 추구하였다. 즉 안으로부터 움트는 교육이다.
- 교육의 비인간화 현상의 극복을 위한 단층교육을 제시하였다.
7. 자연주의적 교육관
자연의 질서와 법칙에 따른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세의 교육이 종교적·봉건적 권위나 특권에 따라 어린이의 욕구나 흥미 등을 극단적으로 억압한 데 대하여, 문예부흥을 계기로 중세의 초자연적인 권위나 특권에입각한 교육을 극복하여 어린이에 내재하는 자연성(自然性)을 신뢰하고, 그것을 조장하며 개발하는 것이 교육의 임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F.라블레는 《팡타그뤼엘:Pantagruel》에서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하여라"라는 규범을 들어 청소년의 흥미나 필요를 존중하였고, 그것을 살려 가며 학습시키는 새로운 교육을 구상하였다.
또 J.A.코메니우스는 교수의 방법을 자연계, 특히 동식물의 번식이나 성육(成育)에서 볼 수 있는 법칙적인 현상, 즉 자연의 현상에 따라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루소는 저서 《에밀:Emile》의 첫머리에서 "조물주의 손에서 나올때는 모든 것이 선(善)하였는데 사람의 손에 넘어오자 모든 것이 악하게 되었다"고 하여, 어린이는 생래적(生來的)으로 착한 존재이므로 그들의 욕구를 살리면서 지성적인 방면으로 이끌고, 그들 자신이 자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교육의 사명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어린이의 발달단계를 무시하고 성인과 같이 다루는 종전의그릇된 교육을 비난하였으며, 어린이는 어린이로서 다룰 것을 강조하였다.
페스탈로치도 또한 자연에 따르는 교육을 주장하였는데, 그는 자연교육에서 ① 사람이 생래적으로 타고난 공통된 선성(善性) 및 그 개발의 가능성, ② 타율에서 자율로 발달하며, 또 구체적이며 감각적인 것으로부터 추상적·원리적인 것으로 발전하는 자연의 진행에 따라 교수할 것을 주장하였다.
F.W.프뢰벨은 《인간교육:Die Menschenerziehung》에서 인간은, ① 자기의 내부 깊숙이 있는 정신적·신적(神的)인 것을 자기의 밖으로 조형(造形)하기 위하여, ② 이에 의해서 자기자신의 정신적·신적 본질과신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창조하는 것이라 하였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서 기계문명의 해독에 대하여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풍조가 고조됨에 따라 교육계에는 도시의 문명적 환경을 피하여 교지(校地)를 자연 속의 전원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타나게 되었다.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주지적(主知的)이며 기계적인 커리큘럼이나 획일적인 시간배당에 의한 기계적 운영을 배제하고, 자유로운 공기 속에서 자연을 즐기며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게 함으로써 기계문명과 도시생활에서 영향 받는 해독을 피하고 자유롭고 건강한 인간을 육성하려는 교육운동이 일어났다. 이것이 신교육운동의 주요한 한 분야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자연주의적 교육풍조를 학교교육에 반영시킨 대표적인 사람은 J.E.드몰랭과 H.드몰랭이다. 이 사조는 20세기에 들어와 J.듀이와 E.L.손다이크 등에 영향을 주어 흥미중심·아동중심·활동중심의 교육을 주장하는 심리주의 교육설을 낳게 되었으며, 동시에 과학적 교육학의 전제가 되기도 하였다.
※ ≪ 참 고 자 료 ≫
▶ 독일문화연구원
▶ 보이틴, 볼프강 외 (허창운 외 역) : 독일문학사, 삼영사 1988
▶ 호헨달, 페터 우베 외 (반성완 편역) : 독일문학 비평사, 민음사 1995
▶ 칸트 판단력 비판 연구, 이론과 실천 1992 (김광명)
▶ 쉴러의 미학과 문학, 서울대 출판부 1986
▶ 독일문학의 이해, 서울대 출판부 1994
▶ 독일 고전주의의 문학사적 연구, 일지사 1976 (제2쇄)
▶ 예술시대의 독일문학, 서울대 출판부 1993
▶ 독일문학 사조사, 서울대 출판부 1986
▶ 독일 문학사 - 독일 문학의 기본 배경과 양식 및 형성, 日新社 1992
▶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서강대 교육 대학원 참고 교재)
▶ 두산 동아 백과사전 - 독일 문학편
4. 페스탈로치의 교육목적
① 인간의 내재된 자질과 능력 등을 교육 통해 계발 - 자아실현.
② 하느님이 각자에게 부여한 능력의 개발.
③ 여러 능력의 조화로운 계발에 의한 인격도야.
④ 각자가 하느님이 맡기신 몫을 하면서 개성을 실현하는 일.
⑤ 각자가 그 삶으로 사회의 바람직한 일꾼이 되는 일
⑥ 궁극적으로 인류의 완성을 기하여 믿음, 소망, 사랑으로 실천하는 일.
5. 페스탈로찌 교육방법의 8대 원리
① 자기창조의 원리 - 내재적 소질 스스로 발전시키도록 돕는 것. 자율성, 자발성, 흥미, 욕구의 충족이 따름.
② 교도의 원리 : 목적, 과정, 의지적 노력.
③ 도야의 원리 : 좋은 점은 서로 배우고 나쁜 점은 서로 시정, 서로가 힘을 모아 하나의 문제를 풀어나가며 나아가서 협동정신 함양.
④ 기초도야의 원리 : 기초과목은 가정교육에서부터 철저히 한다. - 조기교육.
⑤ 내면적 직관의 원리 : 플라톤의 [사고] + 코메니우스의 [외재적 경험]
⑥ 세 힘의 조화/균형의 원리 : 도덕적(윤리적)+지능적(정신적)+신체적(기능적)
⑦ 개인과 사회 협동의 원리 : 교육을 가장 강한 사회혁신 수단으로 봄.
⑧ 친근성의 원리 : 교육은 가장 가까운 생활권에서 점차로 확대되어야 함.
6. 페스탈로치가 교육에 미친 영향
1) 교육의 수단과 방법에 미친 영향
페스탈로치가 대체하려고 한 학교는 형태를 바꾼 가정이었고, 가정과 동일한 관계에 가깝고, 동일한 정신을 반영하고, 동일한 목적 즉, 아동의 도덕적, 지적 발달과 물질적 개선을 지향한 학교였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관념을 실현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2) 교실의 일반적 정신에 미친 영향
페스탈로치의 위대함이란 그의 모든 저서나 사업을 통해서 교실에 새로운 정신이 넘치게 하고 교사와 학생이 새로운 분위기 즉, 가정의 분위기에 감싸지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명시하였다.
3) 현대교육사적 의의
- 교육의 주요대상은 국민의 절대다수인, 그리고 그 주요구성원인 민중이어야 한다. 민중의 전면적 각성이 그의 교육학 이념이다.
- 내재적 소질의 조화적 발전을 추구하였다. 즉 안으로부터 움트는 교육이다.
- 교육의 비인간화 현상의 극복을 위한 단층교육을 제시하였다.
7. 자연주의적 교육관
자연의 질서와 법칙에 따른 교육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세의 교육이 종교적·봉건적 권위나 특권에 따라 어린이의 욕구나 흥미 등을 극단적으로 억압한 데 대하여, 문예부흥을 계기로 중세의 초자연적인 권위나 특권에입각한 교육을 극복하여 어린이에 내재하는 자연성(自然性)을 신뢰하고, 그것을 조장하며 개발하는 것이 교육의 임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F.라블레는 《팡타그뤼엘:Pantagruel》에서 "네가 하고 싶은 대로 하여라"라는 규범을 들어 청소년의 흥미나 필요를 존중하였고, 그것을 살려 가며 학습시키는 새로운 교육을 구상하였다.
또 J.A.코메니우스는 교수의 방법을 자연계, 특히 동식물의 번식이나 성육(成育)에서 볼 수 있는 법칙적인 현상, 즉 자연의 현상에 따라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루소는 저서 《에밀:Emile》의 첫머리에서 "조물주의 손에서 나올때는 모든 것이 선(善)하였는데 사람의 손에 넘어오자 모든 것이 악하게 되었다"고 하여, 어린이는 생래적(生來的)으로 착한 존재이므로 그들의 욕구를 살리면서 지성적인 방면으로 이끌고, 그들 자신이 자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교육의 사명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어린이의 발달단계를 무시하고 성인과 같이 다루는 종전의그릇된 교육을 비난하였으며, 어린이는 어린이로서 다룰 것을 강조하였다.
페스탈로치도 또한 자연에 따르는 교육을 주장하였는데, 그는 자연교육에서 ① 사람이 생래적으로 타고난 공통된 선성(善性) 및 그 개발의 가능성, ② 타율에서 자율로 발달하며, 또 구체적이며 감각적인 것으로부터 추상적·원리적인 것으로 발전하는 자연의 진행에 따라 교수할 것을 주장하였다.
F.W.프뢰벨은 《인간교육:Die Menschenerziehung》에서 인간은, ① 자기의 내부 깊숙이 있는 정신적·신적(神的)인 것을 자기의 밖으로 조형(造形)하기 위하여, ② 이에 의해서 자기자신의 정신적·신적 본질과신의 본질을 알기 위하여 창조하는 것이라 하였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서 기계문명의 해독에 대하여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풍조가 고조됨에 따라 교육계에는 도시의 문명적 환경을 피하여 교지(校地)를 자연 속의 전원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타나게 되었다.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주지적(主知的)이며 기계적인 커리큘럼이나 획일적인 시간배당에 의한 기계적 운영을 배제하고, 자유로운 공기 속에서 자연을 즐기며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게 함으로써 기계문명과 도시생활에서 영향 받는 해독을 피하고 자유롭고 건강한 인간을 육성하려는 교육운동이 일어났다. 이것이 신교육운동의 주요한 한 분야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자연주의적 교육풍조를 학교교육에 반영시킨 대표적인 사람은 J.E.드몰랭과 H.드몰랭이다. 이 사조는 20세기에 들어와 J.듀이와 E.L.손다이크 등에 영향을 주어 흥미중심·아동중심·활동중심의 교육을 주장하는 심리주의 교육설을 낳게 되었으며, 동시에 과학적 교육학의 전제가 되기도 하였다.
※ ≪ 참 고 자 료 ≫
▶ 독일문화연구원
▶ 보이틴, 볼프강 외 (허창운 외 역) : 독일문학사, 삼영사 1988
▶ 호헨달, 페터 우베 외 (반성완 편역) : 독일문학 비평사, 민음사 1995
▶ 칸트 판단력 비판 연구, 이론과 실천 1992 (김광명)
▶ 쉴러의 미학과 문학, 서울대 출판부 1986
▶ 독일문학의 이해, 서울대 출판부 1994
▶ 독일 고전주의의 문학사적 연구, 일지사 1976 (제2쇄)
▶ 예술시대의 독일문학, 서울대 출판부 1993
▶ 독일문학 사조사, 서울대 출판부 1986
▶ 독일 문학사 - 독일 문학의 기본 배경과 양식 및 형성, 日新社 1992
▶ 독일 바이마르 고전주의 (서강대 교육 대학원 참고 교재)
▶ 두산 동아 백과사전 - 독일 문학편
추천자료
아동중심주의가 무엇인지 교육 철학자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현대 유아교육에서 아동중심교육...
몬테소리 교육방법과 교육내용, 우리나라 몬테소리 교육의 방향
평생교육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과 세계의 유아교육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A+추천 레...
교육이 아동중심교육이어야 하는지 교사중심교육이어야 하는지 비교, 자신의 입장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프뢰벨 프로그램의 배경, 프뢰벨 프로그램의 교육목적과 방법, ...
<<유아교육과정3>>유아교육과정 중 [아동중심교육과정]에 대하여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A형]국내외 유아교육기관의 역사를 설명하시오(국내 국외 유아교육기...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동의 정신건강을 위한 교육환경 - 유아교육기관 환경의 ...
교육의 정의 및 교육 사상가들의 교육관
[유아교육과정]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환경구성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