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의 명칭과 지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강산의 명칭과 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금강산 전체 개관
(1) 금강산이란?
(2) 금강산의 지명유래 등
1)신선사상과 금강산, 불교와 금강산
2) 금강산이 세상에 알려진 시기에 관하여
(3)구역별로 보는 금강산

2. 지질과 지형, 기후, 수문(강수량 등), 동식물 생태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추는 듯한 무봉폭포, 교향곡을 울리는듯한 교향폭포, 비단을 드리운듯한 비단폭포, 명주실같이 가느다라하게 내리는 은실폭포 그리고 2단, 3단, 5단으로 떨어지는 계단폭포, 갈라져 내리다 합쳐져 내리는 합류폭포, 여러 갈래로 내리는 폭포, 누워 내리는 누운폭포, 장마 때에만 폭포로 되는 계절폭포등 각양각색의 그고 작은 폭포들이 수없이 많다.
3) 호수와 담소
금강산에는 <관동8경>의 하나로 이름난 삼일포를 비롯하여 영랑호, 감호등 자연호수들이 있다. 또한 금강산천지로 알려진 금강 못, 선녀들이 내려와 목욕을 하였다는 상팔담과 문주담, 진주담, 비파담, 분설담 등의 내금강 팔담, 구슬을 꿰여놓은 듯한 연주담, 바리처럼 생긴 바리소, 금강산에서 제일 큰 옥류담, 송림담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담소들이 수없이 많다. 이 밖에도 금강산에는 외금강온천과 곳곳에 금로수, 감로수, 장군수, 삼록수 등 약수와 샘들이 있다.
(4) 동식물 생태
1)식물
금강산의 식물은 우리 나라 식물과 그 분포율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의를 가질 뿐 아니라 계절, 지역, 높이에 따라 경치를 더욱 아름답게 장식하여 주고 있다. 식물 분포상 중부구를 대표하는 금강산은 우리 나라 북부와 남부 계통의 식물이 바뀌는 지대에 놓여있으며 지형, 기후 등 자연지리적 조건의 특성으로 인하여 이곳에는 온대 남부계통의 식물로부터 아한대성 식물에 이르기까지 다종다양한 식물과 고유한 특산식물이 많다. 그리하여 금강산은 대자연식물원과도 같다. 금강산에는 약 2,260종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서 꽃피는 식물은 1,000여종, 특산식물은 100여종이나 된다. 금강산의 식물은 바다의 영향과 자연지리적조건의 지역적 특성으로 하여 그 분포에서 현저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금강산의 동쪽비탈면인 외금강일대에는 주로 갈참남, 굴참나무 등의 참나무 속 수종들과 일부 남방계통식물들이, 서쪽비탈면인 내금강 일대에는 소나무와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등 북부계통식물들이 주로 분포되어있다. 바닷가인 해금강 일대에는 소나무, 때쭉나무, 이대, 누리장나무 등이 분포되어있다. 여기서는 참대, 호두나무 등 남부계통의 식물들도 재배되고 있다. 금강산에는 이밖에도 목란, 진달래, 철쭉, 쪽 동백나무 등 떨기나무들과 미역취, 우산나물, 노루풀 등 초본식물들 그리고 만삼, 더덕, 도라지, 머루, 다래 등의 식물들이 자란다. 금강산의 식물분포에서는 수직대성이 뚜렷하다. 외금강과 내금강의 해발 300∼400m 아래에는 소나무가 많이 분포되어있다. 특히 온정리 일대에는 80∼90년 이상 자란 소나무가 분포되어있다. 외금강의 해발 300∼800m지역에는 갈참나무, 서어나무등 넓은 잎나무가 무성하다. 외금강의 식물분포에서 특이한 것은 북녁의 국화인 목란이 많은 것이다. 내금강의 해발 400∼700m지역에서는 전나무가 많이 자라며 장안사터 부근에는 100∼200년 자란 전나무들이 우거진 숲을 이루고 있다. 해발 800m아래의 지역에는 소나무, 신갈나무 등이 섞여있다. 해발 800∼1,000m지역에는 참나무 류, 피나무 류, 단풍나무 류와 잣나무, 전나무들이 분포되어있다.
㉠고산식물
비로봉꼭대기일대에서는 누운측백나무, 누운잣나무, 누운향나무, 들쭉나무, 고채목, 큰만병초, 산오이풀, 바위구절초, 비로과남풀, 금마타리, 바위채송화 등 아한대성 식물들이 자란다.
㉡특산식물
금강산에는 세계적으로 1속 1종인 조팝나무과에 속하는 금강국수나무가 비로봉, 차일봉을 비롯한 곳곳의 해발 400∼500m지역의 바위벼랑들에 많다. 또한 도라지과에 속하는 진귀한 조선특산식물인 금강초롱을 비롯하여 봉래꼬리풀, 참바위취, 나래사초, 그늘돌쩌귀, 선등갈퀴, 산갈매나무, 선봉피나무, 큰참나물, 금강봄맞이, 향수꽃나무, 은분취, 그늘취, 솜다리, 흰바위취 등 많은 특산식물들이 있다.
2) 동물
금강산은 남북방향으로 놓인 큰 산줄기에 놓여있어 남, 북 계통 동물들의 이동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산봉우리들, 골짜기들이 많고 산림이 울창하고 식물상이 다양할 뿐 아니라 바다, 강, 호수까지 있어 짐승류와 새 류, 어류를 비롯한 여러 가지 동물들이 살기에 적합한 곳으로서 동물상이 매우 다양하다. 금강산에는 척추동물 종수만 하여도 390종이나 된다. 그 가운데서 38종의 짐승류, 130종의 새 류, 10여종의 양서류, 9종의 파충류, 400여종의 나비 류 등이 퍼져있다. 금강산에는 사향노루, 산양, 큰곰, 노루, 흰 족제비, 날 다라미, 금강산 관코박쥐, 작은 졸망박쥐, 긴꼬리 웃수염박쥐 등 남쪽기원계통과 북쪽기원계통의 짐승 류들이 많이 살고 있다. 금강산에는 후리 새, 종달 새, 꾀꼬리, 뻐꾸기, 후투디, 알락 할미새, 칼 새, 물촉 새 등 철새들과 수리부엉이, 꿩, 저광이 등 사철 새들도 많다. 금강산의 서쪽비탈면으로 흐르는 금강천을 비롯한 내금강의 하천들에는 잉어, 붕어, 뱀장어, 메기, 열목어와 같은 희귀한 물고기들도 있다. 금강산에는 남생이, 긴 꼬리도마뱀, 도롱뇽, 참개구리 등 파충류와 양서류들도 많다. 또한 금강산에는 노랑깃 수두나비, 고리홍 그늘나비, 금강수 돌나비, 금강희롱나비 등 북쪽계통의 나비들과 깃 희롱나비, 먹그늘 나비, 알락 나비 등 남쪽계통의 나비들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곤충들이 많다. 금강산의 다종다양한 동물의 분포와 그 활동 그리고 각이한 울음소리는 명승지의 풍치를 더욱 돋구어준다.
3. 참고문헌
『(관광안내)금강산』, 조장연, 백과사전출판사, 1988.
『금강산의 력사와 문화』,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4
『조선대백과사전』, 백과사전출판사 [편], 백과사전출판사, 1995 - 2001
『금강산식물생태』, 차종환, 예문당, 2000
『금강산과 언진산의 빙하』, 김종래..[등] 저, 과학기술출판사, 1999
『금강산유람기』, 김도학 저; 고경식 해독, 경희대학과출판국, 1999
『천하명승 금강산』, 리용준 저, 사회과학출판사, 1992
『그리운금강산』: 금강산, 묘향산 편, KBS문화사업단[편], KBS문화사업단, 1999
『(보고싶은)금강산』. 상, 정인갑, 덕수출판사, 1994
월간 『산』, 산악문학, 1998, 8
  • 가격2,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3.10.0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