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탑의 기원과 의미
2. 우리 나라 탑의 발전
3. 시대별 불탑의 양식 - 백제, 신라, 통일신라, 고려
4. 부도의 발생과 불탑과의 차이점
2. 우리 나라 탑의 발전
3. 시대별 불탑의 양식 - 백제, 신라, 통일신라, 고려
4. 부도의 발생과 불탑과의 차이점
본문내용
않고 있는데 이것은 석가모니의 舍利를 모시는 塔墓로서 출발된 탑파와 승려의 墓塔인 부도와는 그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最高의 王을 뜻하는 龍車와 같은 것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둘째, 露盤에서는 옥개 정상부 위에 주로 8각의 伏蓮을 조식해 상륜을 받거나, 각호로 상륜 받침을 만들고 있음은 탑파와 다른 점이라 하겠다.
셋째, 상륜에 놓여진 순서에 있어서 覆鉢과 仰花의 순서가 바뀌고 있는 점,
넷째, 覆鉢은탑파에서 조식이 없거나 부도에서는 이러한 조식 이외에도 복발 상·하단에 앙련 또는 복련을 조식한 예가 보이고 있는 것이 다르고,
다섯째, 寶珠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金剛針과 같은 형태는 十 자형으로 동·서·남·북 4방이 한 곳으로 모여지는 四方世界 즉 十方世界와 통하는 의미로 보여진다.
둘째, 露盤에서는 옥개 정상부 위에 주로 8각의 伏蓮을 조식해 상륜을 받거나, 각호로 상륜 받침을 만들고 있음은 탑파와 다른 점이라 하겠다.
셋째, 상륜에 놓여진 순서에 있어서 覆鉢과 仰花의 순서가 바뀌고 있는 점,
넷째, 覆鉢은탑파에서 조식이 없거나 부도에서는 이러한 조식 이외에도 복발 상·하단에 앙련 또는 복련을 조식한 예가 보이고 있는 것이 다르고,
다섯째, 寶珠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金剛針과 같은 형태는 十 자형으로 동·서·남·북 4방이 한 곳으로 모여지는 四方世界 즉 十方世界와 통하는 의미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