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요 개념
1) 노작 교육
2) 장인 정신
3) 장색(匠色)
4)도제(徒弟)
5) 4대정신 (四大情神)
6) 3대육 (三大育)
7) 무실역행(務實力行)
8) 정의돈수(情誼敦修)
9) Holistic
10) Holism
11) Wholeness
12) Holos
13) 실학 (實學)
14) 실용주의 (實用主義)
15) 실용학 (實用學)
16) 경세치용(經世致用)
17) 실사구시(實事求是)
18) 이용후생(利用厚生)
19) 성리학(性理學)
20) Pragmatism
2. 논의 사항
1) 실과교육에서 노작교육의 확대적용 방안
2) 지식기반사회에서 장인정신의 시사점
3)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상황에서 실학사상이 갖는 의미
4) 실학사상을 실과교육과정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
5) 프래그머티즘의 관점에서 본 실과교육의 미래
1) 노작 교육
2) 장인 정신
3) 장색(匠色)
4)도제(徒弟)
5) 4대정신 (四大情神)
6) 3대육 (三大育)
7) 무실역행(務實力行)
8) 정의돈수(情誼敦修)
9) Holistic
10) Holism
11) Wholeness
12) Holos
13) 실학 (實學)
14) 실용주의 (實用主義)
15) 실용학 (實用學)
16) 경세치용(經世致用)
17) 실사구시(實事求是)
18) 이용후생(利用厚生)
19) 성리학(性理學)
20) Pragmatism
2. 논의 사항
1) 실과교육에서 노작교육의 확대적용 방안
2) 지식기반사회에서 장인정신의 시사점
3)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상황에서 실학사상이 갖는 의미
4) 실학사상을 실과교육과정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
5) 프래그머티즘의 관점에서 본 실과교육의 미래
본문내용
있을 것이다.
4) 실학사상을 실과교육과정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
실학과 실과 이 둘의 가장 큰 공통점을 말하자면 '실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실천적인 학문이고 과목이다. 또한 타학문에 대해 포용적이라는 것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통점을 바탕으로 볼 때 실학은 이미 그 성격 때문에 어느 정도 실과교육과정에서 구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학을 나타내는 여러 사상의 면에서 바라보자면, 우선 경세치용(학문은 실제 사회에 이바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실과교육이 좀 더 현실성을 갖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사구시(실제로 있는 일에서 사실을 구함)는 실과교육의 소재가 좀 더 생활과 관련된 친숙한 것들이어야 한다는 내용을, 마지막으로 이용후생(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백성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은 앞에 말한 두 가지 조건을 갖춘 교육으로 학생들의 기능적인 면과 인성적인 면을 키워줘야 한다는 내용으로 구현할 수 있겠다.
5) 프래그머티즘의 관점에서 본 실과교육의 미래
결론부터 말하자면 프래그머티즘 관점에서 본 실과교육의 미래는 밝다. 프래그머티즘과 같이 실천성, 창의성 등을 강조하는 실과교육은 그 관점에서 볼 때 날이 갈수록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이것은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일 것이다. 교과서 중심의, 암기 중심의 교육이 우리가 후진국에서 중진국으로 도약하는데 많은 도움을 줬다면 선진국으로의 도약에는 창의력 중심의 교육이 분명 큰 몫을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교사의 역할은 지식전달 보다는 흥미를 이끌어 스스로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간과하면 안 될 사실이 있다. 바로 흑백논리, 이원론적 사고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교과중심의 암기중심의 교육을 해왔다고 해서 개혁을 통해 아동에게 거의 모든 것을 맡기는 이른바 진보주의 교육만을 추구한다면 지금 미국에서 문맹률이 높아지는 것과 같은 부작용들이 나타날 수 있다. A가 문제점이 많다고 해서 바로 B로 넘어가기 보다는 A의 장점을 잘 살리면서 B를 도입하는 것이 아마도 이상적인 방법일 것이다. 암기를 시킬 것은 암기를 철저히 시키고 실험이나 노작 등을 통해 고차원적인 교육을 한다면 아마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실과교육에서도 역시 이런 점을 적용시켜 실천성, 창의성 이전에 그 기반을 확고히 다져 놓는 과정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4) 실학사상을 실과교육과정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
실학과 실과 이 둘의 가장 큰 공통점을 말하자면 '실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실천적인 학문이고 과목이다. 또한 타학문에 대해 포용적이라는 것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통점을 바탕으로 볼 때 실학은 이미 그 성격 때문에 어느 정도 실과교육과정에서 구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학을 나타내는 여러 사상의 면에서 바라보자면, 우선 경세치용(학문은 실제 사회에 이바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실과교육이 좀 더 현실성을 갖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사구시(실제로 있는 일에서 사실을 구함)는 실과교육의 소재가 좀 더 생활과 관련된 친숙한 것들이어야 한다는 내용을, 마지막으로 이용후생(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백성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은 앞에 말한 두 가지 조건을 갖춘 교육으로 학생들의 기능적인 면과 인성적인 면을 키워줘야 한다는 내용으로 구현할 수 있겠다.
5) 프래그머티즘의 관점에서 본 실과교육의 미래
결론부터 말하자면 프래그머티즘 관점에서 본 실과교육의 미래는 밝다. 프래그머티즘과 같이 실천성, 창의성 등을 강조하는 실과교육은 그 관점에서 볼 때 날이 갈수록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또한 이것은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일 것이다. 교과서 중심의, 암기 중심의 교육이 우리가 후진국에서 중진국으로 도약하는데 많은 도움을 줬다면 선진국으로의 도약에는 창의력 중심의 교육이 분명 큰 몫을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교사의 역할은 지식전달 보다는 흥미를 이끌어 스스로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간과하면 안 될 사실이 있다. 바로 흑백논리, 이원론적 사고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교과중심의 암기중심의 교육을 해왔다고 해서 개혁을 통해 아동에게 거의 모든 것을 맡기는 이른바 진보주의 교육만을 추구한다면 지금 미국에서 문맹률이 높아지는 것과 같은 부작용들이 나타날 수 있다. A가 문제점이 많다고 해서 바로 B로 넘어가기 보다는 A의 장점을 잘 살리면서 B를 도입하는 것이 아마도 이상적인 방법일 것이다. 암기를 시킬 것은 암기를 철저히 시키고 실험이나 노작 등을 통해 고차원적인 교육을 한다면 아마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실과교육에서도 역시 이런 점을 적용시켜 실천성, 창의성 이전에 그 기반을 확고히 다져 놓는 과정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추천자료
[직업교육][직업훈련][직업교육훈련]직업교육의 역사, 직업교육의 실태와 직업교육의 문제점,...
[직업교육][외국 직업교육 사례][직업훈련][직업교육훈련][취업]직업교육의 유형, 직업교육의...
[실업계고등학교교육][실업계고교교육][실업계학교]실업계고등학교교육 개선의 필요성, 실업...
[진로교육][진로지도][초등학교교육]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중요성, 초등학교진로교육...
[진로교육]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이론과 원리,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초등학...
[인성교육][인성지도]인성교육(인성지도)의 개관, 인성교육(인성지도)의 개념, 인성교육(인성...
[미래형교육과정]미래형 교육과정(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효과 및 장점, 필요성 VS 문제...
[고등학교교육]고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고등학교 인터넷활용수업, 고등학교 프...
[기술가정과교육][기술가정과]기술가정과(기술가정교육) 특징과 목표,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초등진로교육]초등학교 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와 시대적 배경, 초등학교 진로교육(진로...
제7차교육과정의 특성,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제7차교육과정의 편성, 제7차교육과정의 ...
[제7차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편성, 제...
[다문화교육론 공통] 교육기관에서 진행된 교육프로그램이나 매체활용 강의를 선정하여 다문...
아동건강교육_만 3세를 위한 영양교육을 계획하시오(교육목표, 누리과정 내용, 교육내용, 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