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정 래 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여는 글

2. 전반기 문학의 특질

3. 「태백산맥」 속으로

4. 「아리랑」 고개를 넘어

5. 맺음 말

본문내용

이남호,「6·25 체험의 지속성과 오래된 사진첩」,《세계의 문학》, 1982. 겨울
천이두,「비극의 다층적 점검」,《소설문학》, 1983. 1
김승옥,「한의 실타래에서 엮어낸 서사시」,《소설문학》, 1983. 5
조남현,「6·25문학의 새 지평」,《현대문학》, 1983. 6
천이두,「분단시대의 비극과 한국소설」,《현대문학》, 1983. 10
김윤식,「한국문학과 이산·분단의 체험」,『이산·분단문학 대표소설선』, 동아일보사, 1983
조남현,「사실의 재구성」,『조남현 평론집』, 이우출판사, 1984
김윤식,「6·25와 우리 소설의 내적 형식」,《한국문학》, 1985. 6
전영태,「6·25와 한국소설의 재발견」,《한국문학》, 1985. 6
김선학,「한국전쟁의 거시적 파악」,《한국문학》, 1985. 6
천이두,「집념의 문학」,『한국문학과 한』, 이우출판사, 1985
유한근,「제3 휴머니즘과 문학적 모반」,《한국문학》, 1985. 8
조남현,「해한과 결한의 순환」,『지성의 통풍을 위한 문학』, 평민사, 1985
이동하,「분단상황의 탐구와 한의 극복」,『우리시대 우리작가 16』, 동아출판사, 1986
이동하,「한국분단소설의 새로운 전진」,《현대문학》, 1986. 10
전영태,「이념적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한국문학》, 1986. 10
조남현,「이데올로기의 전경과 후경」,《문학정신》, 1986. 11
김종회,「분단시대의 삶과 화해의 지평」,《경희어문학》7, 1986
김윤식,「우리 문학의 분단 비극의 극복의식」,《문학사상》, 1986. 8
최원식,「'태백산맥' 역사적 진실성에 아쉬움」,《한국일보》, 1987. 7. 3
조정래,「자료 맹신주의는 벗어나야」,《한국일보》, 1987. 7. 4
최원식,「비평은 작품에 생명력 부여」,《한국일보》, 1987. 7. 8
조정래,「'큰 시각'으로 본 비평이라야」,《한국일보》, 1987. 7. 11
전영태,「문학적 진실의 심화와 확대」,《한국문학》, 1988. 2
임우기,「80년대 분단소설의 새로운 전개」,《문학과 사회》, 1988. 봄
한승옥,「민중, 그 가변적 속성의 본질과 실체」,《외국문학》, 1988. 5
임헌영,「변혁운동과 불교사상」,《불교문학》, 1988. 가을
박종길,「'태백산맥'에 나타난 작가의식」,《부산교대국어과교육》, 1989
김창수,「80년대 우리 문학을 완결한다」,《문학사상》, 1989. 8
권영민,「조정래 '태백산맥' 완결을 보고」,《동아일보》, 1989. 10. 24
정현기,「'태백산맥론' - 한국대하소설연구 1」,《동서문학》, 1989. 11
서경석,「'태백산맥론' - 비극적 역사의 전환을 위하여」,《창작과 비평》, 1990. 여름
권성우,「욕망, 허무주의, 그리고 '태백산맥'」,《현대소설》, 1990. 8
임규찬,「'현실주의 정신'의 실천」,《한길문학》, 1990. 10
김영혜·김은선·오세은,「태백산맥론」,《창작과 비평》, 1991. 봄
하정일,「해방 직후 변혁운동의 리얼리즘적 형상화」,《문학과 논리》, 1991. 10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0.22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7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