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리카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리카도의 생애

2. 리카도의 저작

3. 리카도의 이론
(1) 리카도의 비교우위설
(2) 곡물법
(3) 정치경제학과 과세의 원리

4. 평가

본문내용

4. 평가
리카도 이후 경제학의 발전과정에서는 불행하게도 리카도의 이론의 가격론적인 측면이 주로 문제되어왔다. 그리고 가치론에서 분배론으로 이어지는 논리는 비교적 경시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맬더스를 부각시킨 케인즈에 의해 리카도는 불완전고용이 존재할 수 없다는 '세이의 법칙'의 신봉자로 낙인찍힘으로써 평가 절하되어 왔다.
케인즈의 리카도 비판에는 일면의 진리가 담겨있고, 또 그것은 리카도의 역사적 한계를 지적한 것이긴 하다. 그러나 1930년대의 세계적 불황에 대처한 케인즈의 방식도 이미 그 한계가 분명해졌고, 그의 이론체계 역시 현대경제학의 주류인 신고전파이론에 왜소화된 형태로 편입되는 불운을 겪게 되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
케인즈가 리카도 체계를 거부하고 유효수요이론으로 새로운 역사적 상황에 대처하고 있는 동안, 또 한편에서는 리카도의 부흥을 통해서 똑같은 문제에 대처하려는 이론적 시도들이 있었다. 케인즈의 '일반이론'이 나온 시기에 리카도의 정치경제학체계와 마르크스의 공황론의 의의를 부각시켰으며, 스라파는 한계주의를 극복하는 수단으로서 리카도를 재음미하여 그것이 전후에는 신 리카도파라는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존 로빈스, 칼도어, 칼레키 등이 분배문제를 보는 시각이 반드시 리카도의 이론체계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면도 있지만, 이들이 현대경제문제의 분배적 측면을 사상해버린 주류(主流)경제학을 리카도의 재음미를 바탕으로 해서 비판하고 있으며, 또 그들이 현대경제문제에 대처하는 비교적 진보적 그룹에 속한다는 것만은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리카도의 경제학체계를 재음미할 경우, 그 핵심은 그의 가치론에서 가격론으로 이어지는 논리에서 찾아서는 안되며, 노동가치론을 기초로 한 분배론 체계에서 찾는 것이 당연하다. 학설사에서는 리카도 체계를 가치론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그가 노동가치론을 포기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지만, 그가 남긴 최후의 논고 '상대가치와 절대가치'는 그가 끝내 노동
가치론을 견지하려고 노력해왔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 리카도의 업적
- 고전파 경제학의 완성
- 다양한 분야로의 이론적 발전
·고전 학파적 자유시장경제론 이후의 자유주의 경제학의 기초
·투하노동가치설 마르크스 경제학의 가치론의 기초
·노동과 임금의 상충관계에 대한 인식 리카도파 사회주의 또는 마르크스 사회 주의론의 기초
·고전파적 화폐수량설 및 시장균형론 이후 Friedman류의 통화주의의 기초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23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