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 적에서 나타난 개체적 갈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의 기호학적 대립은 사랑, 자비, 인본주의가 이기심, 자본주의에 의해 밀리고 있다. 이것은 현재 물질 만능주의적 모습을 조규환과 그의 부모의 몸짓과 행위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조규환과 직장상사의 관계는 이윤을 추구하는 펀드 매니저 세계에서도 질서와 윤리가 있음이 증명된다. 조규환의 고객이 돈을 날려 자살을 하게 되는 데, 이것에 대해 직장상사는 도덕적 관심을 표명하나 조규환은 돈만 아는 잔인한 인물로 그려진다. 결국 '엘리트적인' 조규환은 돈 앞에서 인정 사정도 없는 비상식적인 '자본주의적 인간'으로 그려진다.
또 하나의 주목하게될 개체적 대립은 바로 강철중의 산사인 강력반장과 나이 젊은 검사와의 관계이다. 이는 개체적 대립을 넘어선 '경찰-검찰'의 조직적, 집단적 대립으로 확장된다.
인물기호 관계
몸짓기호의 대립
강력반장-젊은 검사
나이 많음: 비교적 적음, 부하직원 닥달:친구 옹호, 힘없는 경찰:힘있는 검찰
경찰 수사권에 대한 독립 문제로 '경찰 대 검찰'은 많은 갈등을 빗고 있다. 실제로 검찰은 경찰의 위에 있으며 권력의 핵심에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영화 <공공의 적>에서 등장하는 조규환의 친구인 검사는 '공공의 적'을 옹호하는 또 다른 '공공의 적'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나이 어린 검사는 강력반장보다 한참이나 어리면서도 반말을 뇌까린다. 강력반장은 이에 대한 반항으로 애꿎은 범죄자를 폭행한다. 이는 마치 검찰에 대한 경찰의 불만이 표현되는 몸짓기호인 것이다. 조규환의 범행사실을 알고 출동하면서 검찰 대 경찰의 대결 구도는 경찰의 승리로 역전된다. 위에서 제기된 개체적 대립과 집단적 대립 이외에도 '강철중-강력반장', '강철중-강철중모', '조규환-조규환처' 등의 개최적 대립이 집단적 대립으로 인해 집단 관계들의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 '강철중-강력반장'에서는 강철중을 닦달하고 그를 좌천시키지만 의리를 나타내는 직장 상사로서, '강철중-강철중모'의 관계에서는 혼자된 아들의 자식, 즉 손자들을 돌보는 할머니로 그려져 있다. 마치 이는 맞벌이하는 아들 부부 혹은 딸 부부의 자식들을 돌보는,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서민 층 할머니의 전형기호로서 나타난다. '조규환-조규환처'의 대립은 극 중 드러나 있진 않지만 엘리트의 아내로서 시댁에 무심한 점, 남편이 전혀 그럴 사람이 아니라고 믿고 있는 점, 남편의 바깥일에 전혀 관심 없고 벌어다 주는 돈으로 화려하게 사는 평범한 상류층 아주머니의 전형기호로 등장한다.
위에서 언급한 대립들은 개체적, 집단적 성격을 띄는 한편 수직적, 수평적 대립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이루고 있다. 따라서 다른 영화텍스트를 읽을 때도 이러한 다각적 안목의 기호학적 읽기가 요구된다. 아울러 <공공의 적>에서 그려진 기호의 공간은 바로 우리의 현실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기호학적 읽기에서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두시간 남짓 로딩되는 <공공의 적>이라는 텍스트 속에 우리의 현실이 투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이 현실에 비추어 추출해 낼 수 있는 것은 바로 '존재', '소유', '지위'에 대한 문제이다.
현실 문제
존재
소유
지위
기호학적 이분법
선함:악함
가짐:못 가짐
높음:낮음
논리 층위
윤리적 논리
경제적 논리
직업적 논리
영화 텍스트 <공공의 적>에서 설정된 기호학적 이분법의 갈등 중 가장 부각되어 있는 것은 바로 윤리적 논리 차원이다. 즉 '선'과 '악'의 대립이 최우선시 되고 있다. 그 다음은 소유와 지위가 자리한다. 그런데 우리 현실은 어떠한가. 혹시 소유나 지위의 문제가 존재의 문제를 우선하고 있지는 않은지. 바로 이것이 영화 텍스트 <공공의 적>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의미인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0.3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