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지향제도의 기업동기 부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과지향제도의 기업동기 부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SK에서 성과급의 의미와 해결과제
2. 성과급 도입이 기업혁신의 주과제로 등장
3. 각사 특성에 맞는 보상시스템 재구축 필요
4. 기업의 발전과 구성원의 성장은 필요충분조건
5.구성원 보상에 한정된 성과보상 목적
6. 제반 인사 인프라의 결여
7.평가의 타당성의 결여

Ⅲ.결론
1. 성과보상의 목적에 대한 분명한 해답이 있어야 한다

본문내용

기업의 주가가 사전에 약정된 행사가격을 넘지 못하면서 이미 부여한 옵션 계약을 철회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지난해 3월까지 코스닥시장 집계에 따르면, 그동안 스톡 옵션을 부여한 적이 있는 193개 코스닥 기업 중 절반가량에 해당하는 96개 기업에서 모두 146건의 스톡 옵션 계약을 취소했다고 한다. 지표의 기본요건으로서 타당성은 스톡옵션이 아닌 여타의 성과지표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구성원의 노력여부와 무관하게 외부시장 변화에 그대로 노출되거나, 개인의 노력 보다는 관련 부서간 역학 관계에 좌우되는 경우 동기부여 목적달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지표의 통제 가능성이 구성원 관점의 타당성 이라면, 성과제고 수단으로서의 적합성은 사업 목적달성을 위한 조직 관점의 타당성이다. 가상적으로 유선통신 사업자의 예를 들어보자. 시장이 성숙한 상황에서 유선통신 사업자의 경우,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통한 이익보다도 기존 가입자의 유지를 통한 이익의 수익 기여도가 중요해진다. 만약 성과지표를 신규고객의 유치로 인한 매출 증가액으로 설정했다고 하자. 자연히 영업사원들은 자신의 성과 보상액을 늘리기 위해 신규매출 확대에 주력하게 된다. 이 경우, 성숙된 시장에서 전체 파이의 대부분을 기존 유치 고객이 차지한 상황에서 신규매출 확대의 여지는 크지 않을 것이다. 반면 기존고객의 유지활동에 소홀하게 돼 대규모 수익기여 고객이 이탈한다면 기업 전체적인 입장에서는 소탐대실의 결과를 가져올 따름이다. 지표 타당성의 문제는 대부분 중앙 집중적인 성과제도 운영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권력이 집중된 조직 구조에서는 대부분의 중요한 운영 결정이 본부에서 이뤄진다. 이런 조직에서는 종업원들에게 규정을 확실히 따르도록 요구할 뿐, 종업원들에게는 의사결정 권한이 없기 때문에 성과주의 보상 제도를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타카하시 슈운스케는 패하는 성과급제도의 여러 유형 가운데 '관료병에 기인한 중앙집중체제의 고수'를 가장 대표적인 실패원인으로 꼽고 있다. 성과급제도는 바람직한 조직 구성원의 전형을 미리 고정적으로 이미지화 하고 모든 사원이 동질화 돼가도록 하는 사고방식이 아니다. 사람이 아닌 역할, 업적중심으로 구성원 각자의 업무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보수와 연결하려는 노력이다. 현장에서 그 업무와 관련된 사람이 아니면 구체적인 업무의 가치나 성과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Ⅲ. 결론
1. 성과보상의 목적에 대한 분명한 해답이 있어야 한다.
성과보상 제도가 유행처럼 확대되고 있다. 기업의 구성원에게 보상이 주는 의미는 각별하다. 생활의 기반 재원으로서, 자신의 업무 가치를 투영하는 자긍심의 반영으로서 여타의 인사제도에 비해 제도 변경의 파급효과가 적지 않다. 성과급 제도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가?'에 대해 분명한 해답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성원 보상만족도 중요한 목적이며, 변화하는 인사 시스템에 적응하는 것도 또 다른 목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원론적이며 궁극적인 목적은 새로운 제도의 도입이 해당 기업이 지향하는 가치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에서 예로 든 록 워터社의 지표선정 프로세스는 딱딱한 보상 이론서적에서만 위세를 떨치는 탁상공론은 아니다. 새로운 보상 제도를 통해 달성할 구성원과 전체 조직관점의 목적을 확인하고, 지표 선정이나 기타의 운영단계에서 사업전략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현장에 운영의 자율권을 부여하는 등의 전문가들의 조언은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부수적인 제도 장치일 것이다.
참고자료: http://www.sk.co.kr/mag/mag0203/contents/02_specialreport/02text02.html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1.0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2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