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대배경
2. 양무운동의 중심세력
3. 양무운동의 진행
a. 청 정부에서의 개혁
b. 지방에서의 개혁
4. 양무운동의 한계점
2. 양무운동의 중심세력
3. 양무운동의 진행
a. 청 정부에서의 개혁
b. 지방에서의 개혁
4. 양무운동의 한계점
본문내용
지만, 여전히 중앙의 핵심권력은 일부 관료들을 제외하고는 서태후를 비롯한 보수세력의 손에 쥐어져 있었다. 이는 쩡궈판이나 리홍장등의 지방관료 계층이 표방한 중체서용이 궁극적으로 일체의 보수적인 요소들을 타파하기 위한 방편이 아닌 그것들을 수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꾀해졌기 때문이라 하겠다.
또한 지방의 양무운동 추진 세력들 역시 서로 분열되어 있었고, 단지 국지적으로만 전개되었기 때문에 개혁 추진의 일관성을 꾀할 수 없었다. 실제로 전임 지방관이 시행한 개혁적 사업은 후임 지방관에 의해 중단되거나, 지방관이 전임될 때 그가 설립한 기업의 설비 역시 자신의 새로운 임지로 이전되는 일들도 드물지 않았다
) 서울大學校東洋史學硏究室, p. 197
. 이러한 한계점들은 일본의 메이지유신과 대조해 볼 때 더욱 뚜렷해진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유신을 통해 유신세력들이 일체의 중앙의 권력을 차지하였고 때문에 중국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고 일관적으로 정책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王曉秋 지음, 신승하 옮김《근대 중국과 일본》(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에는 이홍장으로 대표되는 중국 개혁세력의 메이지유신에 대한 관점이 잘 요약되어 있다.
.
또한 지방의 양무운동 추진 세력들 역시 서로 분열되어 있었고, 단지 국지적으로만 전개되었기 때문에 개혁 추진의 일관성을 꾀할 수 없었다. 실제로 전임 지방관이 시행한 개혁적 사업은 후임 지방관에 의해 중단되거나, 지방관이 전임될 때 그가 설립한 기업의 설비 역시 자신의 새로운 임지로 이전되는 일들도 드물지 않았다
) 서울大學校東洋史學硏究室, p. 197
. 이러한 한계점들은 일본의 메이지유신과 대조해 볼 때 더욱 뚜렷해진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유신을 통해 유신세력들이 일체의 중앙의 권력을 차지하였고 때문에 중국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고 일관적으로 정책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王曉秋 지음, 신승하 옮김《근대 중국과 일본》(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에는 이홍장으로 대표되는 중국 개혁세력의 메이지유신에 대한 관점이 잘 요약되어 있다.
.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위협론- 중국 성장과 관련하여
21세기를 도약하는 중국의 역사
해방 이전의 근대주의의 수용과정과 그 특색 --中·日을 통한 서구 근대지식체제와의 교류를 ...
근대의 교사 양계초와 중국
청대(청나라)의 고전문학연구
[한국사A+] 청일전쟁을 통한 동아시아 세력판도의 변화
개항을 전후한 한중일 삼국의 사회경제와 대응전략의 비교
20세기 중국사 서평, 요약
부자 중국 가난한 중국인을 읽고 [독후감]
《중체서용론 분석》- 장지동 사상을 중심으로 -
개화기와 대한제국
근 현대사
[사학과] 중국 청 말 근대교육제도의 도입 {청 말 지식인들의 근대교육체제의 모색, 근대교육...
한국사韓國史개관 1894.1895 갑오·을미개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