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조의 마지막 중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대배경

2. 양무운동의 중심세력

3. 양무운동의 진행
a. 청 정부에서의 개혁
b. 지방에서의 개혁

4. 양무운동의 한계점

본문내용

지만, 여전히 중앙의 핵심권력은 일부 관료들을 제외하고는 서태후를 비롯한 보수세력의 손에 쥐어져 있었다. 이는 쩡궈판이나 리홍장등의 지방관료 계층이 표방한 중체서용이 궁극적으로 일체의 보수적인 요소들을 타파하기 위한 방편이 아닌 그것들을 수호하고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꾀해졌기 때문이라 하겠다.
또한 지방의 양무운동 추진 세력들 역시 서로 분열되어 있었고, 단지 국지적으로만 전개되었기 때문에 개혁 추진의 일관성을 꾀할 수 없었다. 실제로 전임 지방관이 시행한 개혁적 사업은 후임 지방관에 의해 중단되거나, 지방관이 전임될 때 그가 설립한 기업의 설비 역시 자신의 새로운 임지로 이전되는 일들도 드물지 않았다
) 서울大學校東洋史學硏究室, p. 197
. 이러한 한계점들은 일본의 메이지유신과 대조해 볼 때 더욱 뚜렷해진다. 일본은 1868년 메이지유신을 통해 유신세력들이 일체의 중앙의 권력을 차지하였고 때문에 중국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고 일관적으로 정책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王曉秋 지음, 신승하 옮김《근대 중국과 일본》(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에는 이홍장으로 대표되는 중국 개혁세력의 메이지유신에 대한 관점이 잘 요약되어 있다.
.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1.0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1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