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2.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의 관계
3. 잠재적 교육과정의 교육사회학적 관점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기능론적 관점
2)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갈등론적 관점
3) 잠재적 교육과정의 해석학적 관점
4.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1) 학교의 생태(生態)적 특성
2) 인적 구성요소
3) 사회 환경
5.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6.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의
2.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의 관계
3. 잠재적 교육과정의 교육사회학적 관점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기능론적 관점
2)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갈등론적 관점
3) 잠재적 교육과정의 해석학적 관점
4.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1) 학교의 생태(生態)적 특성
2) 인적 구성요소
3) 사회 환경
5.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6.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의
본문내용
첫째, 교육과정이란 '제도적 교육'을 함의한다. 제도적 교육은 특정 집단 또는 사회의 공적인 활동으로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제도교육의 전형은 학교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은 근본적으로 제도에 의해서 표현되는 공적인 관심과 이익을 그 핵심적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성에 비추어 볼 때, 잠재적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이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잠재적 교육과정을 학교교육의 결과 중 공식적인 교육과정에 의한 학습결과가 아닌 것을 뜻한다고 볼 때, 그것은 교육과정에 의해서 대표되는 제도교육이 아니라 그것에서 제외된 '비제도적' 학습현상을 중요시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교육과정은 논리적으로 '교수 의도'를 함의한다. 교육과정이란 가르치는 자의 가르치려는 의도를 표현한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과정은 '가르치는 사람중심'일 수밖에 없으며, 가르치려는 사람의 가르치려는 의도와 무관한 교육과정이란 있을 수 없다.
셋째, 교육과정은 '체계성'을 포함한다. 잠재적 교육과정이 의미하는 비공식적 학습 결과는 본질상 학교 외부의 사회적 삶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비체계적 학습과 그 성격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교육 목적 및 내용과 일관된 체계 하에 학습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6.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의
잭슨에 의하여 부각되고 널리 알려지게 된 잠재적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은 표면적 교육과정과 더불어 그 의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교사와 같은 교육실천가와 교육연구가들에게 여러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이 개념은 교육의 과정과 결과(성과)에 대한 인식의 범위(지평)를 확장시켜 준다.
둘째, 교육과정은 논리적으로 '교수 의도'를 함의한다. 교육과정이란 가르치는 자의 가르치려는 의도를 표현한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과정은 '가르치는 사람중심'일 수밖에 없으며, 가르치려는 사람의 가르치려는 의도와 무관한 교육과정이란 있을 수 없다.
셋째, 교육과정은 '체계성'을 포함한다. 잠재적 교육과정이 의미하는 비공식적 학습 결과는 본질상 학교 외부의 사회적 삶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비체계적 학습과 그 성격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교육 목적 및 내용과 일관된 체계 하에 학습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6.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의
잭슨에 의하여 부각되고 널리 알려지게 된 잠재적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은 표면적 교육과정과 더불어 그 의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교사와 같은 교육실천가와 교육연구가들에게 여러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무엇보다도 이 개념은 교육의 과정과 결과(성과)에 대한 인식의 범위(지평)를 확장시켜 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