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치적으로는 청요직제도 등에 있다고 보고, 탕평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 폐단을 제도적으로 제거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탕평론을 제기할 수 있었던 것은 정치원칙과 행정실무를 결합시킬 수 있는 실력 있는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서유구, 이상황, 이면승 같은 신진학자들이 규장각을 통하여 정조의 깊은 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서명선, 서형수, 이승호 계열은 정치적 신념의 변화, 노론계 인물들과의 가족, 학통 관계 등으로 일찌감치 노론으로 바뀌기도 했다.
한편 소론 준론 내부에서는 주자성리학을 고수하며 강화학과 계열의 양명학을 공격하는 학통의 분열현상도 나타났다. 소론 준론계는 이러한 내부 분열 때문에 청남계열보다 많은 관료를 배출했으면서도 정조의 기대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였다.
또한 서유구, 이상황, 이면승 같은 신진학자들이 규장각을 통하여 정조의 깊은 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서명선, 서형수, 이승호 계열은 정치적 신념의 변화, 노론계 인물들과의 가족, 학통 관계 등으로 일찌감치 노론으로 바뀌기도 했다.
한편 소론 준론 내부에서는 주자성리학을 고수하며 강화학과 계열의 양명학을 공격하는 학통의 분열현상도 나타났다. 소론 준론계는 이러한 내부 분열 때문에 청남계열보다 많은 관료를 배출했으면서도 정조의 기대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