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거래에 대해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물거래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물거래의 개요
1.1 현물거래와 선물거래
1.2 선물거래의 요건
1.3 포지션
1.4 파생상품

2. 선물거래의 성격
2.1 선물시장과 주식시장
2.2 선물거래와 선도거래
2.3 헤징과 투기

3. 선물시장의 경제적 기능
3.1 위험의 전가(Hedging)
3.2 시장의 유동성 확대
3.3 미래가격의 정보 제공
3.4 새로운 투자수단의 제공

4. 선물거래의 요소
4.1 기본요소
4.2 주문의 종류
4.3 청 산

5. 선물시장의 구성
6. 선물거래의 종류
6.1 상품선물거래
6.2 상품선물거래

주가지수 선물거래
1. 주가지수 선물거래의 의의
2. 거래제도

선물의 가격결정
1.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의 관계
2. 선물가격의 변화

선물거래의 이용
1. 거래의 유형
2. 헤징거래

본문내용

격민감도에 영향을 주게 되는 표면금리 및 채권만기의 특성을 간과하고 있다.
2) Market value naive(MVN) 모형
이 모형은 위 모형과 유사하나 현물과 선물의 액면가치가 아닌 현재 시장가치를 동등하게 한다는 면에서 양자가 다르다. 가령 액면가치가 100만달러인 회사채의 현행시장 가치가 90만 달러이고 T-Bond의 선물가격이 80-90이라면 MVN모형은 90 ÷ 80=1.125 이므로 11.25계약을 지비율로 사용한다.
同 모형은 市場價와 額面價간의 차이를 고려했기 때문에 FVN모형의 첫번째 문제점은 해결되나 두번째 문제점은 여전히 남게 된다.
3) Conversion Factor(CF) 모형
일반적인 헤지비율산정시 전환계수로 가정함으로써 헤지오차를 줄일 수 있다.
현물가격
HR = -------------------- × 전환계수
선물의 1계약 가격
4) Basis Point Value(BPV) 모형
BPV란 채권수익율의 1 b.p.(=0.01%) 변동에 따른 채권가격 변동가치를 말하며, 이 모형에 따른 헤지비율은 아래와 같다.
현물수익율 1b.p. 변화시 현물가격 변동치
HR = --------------------------------------
해당 선물의 1b.p.변화시 변동금액
5) Yield Value 1/32 (YV32) 모형
채권가격의 1/32%변동시 예상되는 수익율 변화를 나타낸다.
(CTD의 YV32) × (CTD의 CF)
HR= ----------------------------------
헤지대상 현물의 YV32
6) 회귀분석 모형
주어진 현물포지션에 대해 결합된 현·선물의 포지션의 분산을 최소화 하는 선물포지션 량 회귀분석으로 구해 가중한다.
현물과 선물의 공분산
HR= -----------------------
선물포지션의 분산
7) 가격민감도 모형
이 모형은 Duration을 이용한 것이다.
(1+기대 선물수익율)×(현물가격)×(현물채권의 duration)
HR = ------------------------------------------------------
(1+ 현물의 기대 만기수익율)×(선물가격)×(선물계약의 duration)
* 신문기사
.매일경제 ( 2001/10/03 16:11 )
[ 美 추가 금리인하배경 ] 침체지속 막기...효과 의문
<워싱턴=손현덕 특파원. 뉴욕=정진건 특파원> 미국이 올들어 9번째로 금리를 0.5% 포인트 내린 것은 미국 경제가 그만큼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는 방증이다.
대부분 전문가들이 분석하는대로 금리 인하의 효과가 6개월 이후에나 나 타나는 것을 뻔하게 아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향후 발생할 지 모를 부작용을 감수하면서까지 금리를 내린 것은 시장의 불안 심리를 누그러뜨리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그나마 금리인하 발표 직후 뉴욕 주가는 회복세를 보였다.
만약 금리인 하가 없었다면 폭락세를 면치 못했을 것이라는 게 월가 전문가들의 일치 된 견해이다. 이번 조치로 은행들 사이에 콜거래를 할 때 적용되는 연준기금 금리는 케네디 대통령 시절인 지난 62년 7월의 2.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FRB는 한 술 더 떠 추가 금리인하까지 불사하겠다는 뜻을 비쳤다.
FRB는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테러의 여파로 가뜩이나 취약했던 경제의 불확실성이 현저하게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기업과 가계의 소비가 더 위축했다"고 지적하고 "예측 가능한 장래에 경제가 더 악화할 공산이 여전 히 높다"고 밝혔다.
브루스 스타인버그 메릴린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인하폭은 예상했던 수준”이라면서 "연준이 연말까지 추가 금리인하를 단행해 기금 금리를 2.0%까지 낮출 것으로 믿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렌 허바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은 이날 상원 금융위원회에서 테러 충격으로 미국 경제 성장률이 3분기와 4분기에 크게 하락해 침체로 접어 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이날 시카고 선물시장에선 연준기금 금리 선물 11월물과 12월물은 연준의 금리인하 직후 급등해 시장 역시 추가 금리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니 크레센치 밀러 터백&컴퍼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는 연준이 1 1월 6일 공개시장위원회에서 추가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90%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공격적 금리인하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다. 연준은 테러리스트들의 공격을 부각시키면서 침체가 불가피한 것처럼 설명하고 있지만 그 이전에 이미 미국 경제는 심각하게 둔화되고 있고 이 는 금리인하 만으로 해결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손성원 웰스파고은행 수석 부행장은 "현재 경제여건을 볼 때 금리인하 몇 번으로 소비와 투자심리가 회복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면서 "다 만 금리인하는 금융시장에 제한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테러 피해 복구를 위한 재정지출 때문에 국채발행이 늘어날 것이란 예상도 금리인하의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다. 장기금리가 쉽게 내려가지 않는 데다 민간기업으로 자금이 흐르지 않는 것이다. 특히 연준이 대규모로 자금을 풀었지만 자금시장엔 신용경색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월가 전문가들은 하이테크 부문의 거품이 꺼지며 재무구조가 나쁜 기업들이 잇달아 도산하고 있기 때문에 경기회복을 상당기간 지연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 세계 주요 거래소의 모습
1. Chicago Board of Trade (CBOT) - [
http://www.cbot.com/
]
2. Chicago Mercantile Exchange (CME) - [
http://www.cme.com/
]
3. Bolsa de Mercadorias & Futuros (BM&F) - [
http://www.bmf.com.br/
]
* 참고자료
금융시장론 노트 (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재무연구실 )
선물 옵션의 이해 ( 김희호·이용환, 문영사, 2001 )
한국선물현협회 (
http://www.kofa.or.kr/
)
한국증권거래소 (
http://www.kse.or.kr/
)
한국선물거래소 (
http://www.kofex.com/
)
매경인터넷 사이트 (
http://www.mk.co.kr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3.11.17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