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야구를 선택하게 된 동기
2. 야구의 기원
1) 영국기원설
2) 미국 기원설
3. 국내의 야구역사
4. 야구의 어원
5. 야구경기의 목적
6. 야구의 특성
7. 투수가 갖추어야 할 조건과 투구폼, 투구의 종류
8. 타자의 스윙 방법
9. 결어
2. 야구의 기원
1) 영국기원설
2) 미국 기원설
3. 국내의 야구역사
4. 야구의 어원
5. 야구경기의 목적
6. 야구의 특성
7. 투수가 갖추어야 할 조건과 투구폼, 투구의 종류
8. 타자의 스윙 방법
9. 결어
본문내용
렵다. 김병현 선수가 언더핸드 스로 투수로써 앞에서 말한 속구는 업슛이라고도 불리우고 있으며, 커브, 슬라이드, 체인지업 등의 빠른 변화구로 타자들을 압도하고 있다. 그러나 언더핸드 스로 폼은 팔꿈치나 어깨에 많은 부담을 안겨주기 때문에 정통파 투수들에 비해 수명이 짧은 게 일반적이다.
3) 투수 구질의 종류
① 커브 - 볼의 중심보다 조금 오른쪽을 쥔다. 가운데손가락을 볼의 꿰멘 부분에 대고 엄지 손가락은 반대쪽의 꿰멘 부분(아래쪽)에 걸친다. 던질 때에 손목과 손가락의 힘으로 재빨리 오른쪽으로
비틀듯이 밀어 낸다.
② 싱커 - 볼은 슈트와 마찬가지로 쥐는데 슈트의 경우보다도 조금 깊게 쥔다. 던지는 순간에 손목을 위에서 덮듯이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싱커 볼은 타자의 앞에서 가라앉는다.
③ 팜볼 - 볼을 손바닥에 대고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으로 고정하도록 해서 쥔다. 손목을 단단히 해서 똑바로 밀어 내듯이 던진다. 공이 타자 앞에서 뚝 떨어진다.
④ 슬라이더 -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사이에 공을 끼워서 잡고, 엄지손가락을 아래쪽에 대어서 쥔다. 손목을 단단히 한 채로 스냅은 사용하지 않는다.
⑤ 포크 볼 -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사이에 공을 끼워서 잡고, 엄지손가락을 아래쪽에 대어서 쥔다. 던질 때에는 손목을 단단히 한 채로 스냅은 사용하지 않는다. 공이 타자 앞에서 떨어진다.
⑥ 너클 - 집게손가락, 가운데 손가락, 약지손가락을 구부리고 손가락의 관절로 누르듯이 쥔다.
⑦ 직구 - 엄지손가락 안쪽을 조금 구부리고 검지와 중지 아래에, 볼 밑의 봉제 선에 댄다. 손목의 스냅을 잘 살려서 스핀이 걸리도록 해야한다.
Ⅷ 타자의 스윙 방법
1) 스윙의 기본
① 날카롭게 휘두른다 - 공이 멀리 날아가거나 강한 타구는 공에 회전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날카로운 스윙이 필요하다.
② 콤팩트하게 휘두른다 - 스윙을 크게 휘두른다고 해서 공이 멀리 날아가는 것은 아니다. 작은 스윙이라 해도 배트를 잡은 위치에서 콤팩트하게 휘두르는 것이 중요하다.
③ 저스트 미트 - 공의 중심을 정확하게 치는 것을 저스트 미트라고 한다. 그것이 안타를 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2) 스윙방법
① 테이크 백 - 배트를 잡는 자세, 투수의 투구 모션에 맞춰 허리를 비틀면서 중심을 뒷발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배트를 뒤쪽으로 끌어오는 동작을 테이크 백이라고 하는데 공을 치기 위한 반동 자세라고 할 수 있다.
② 스텝 - 한 발을 투수 쪽으로 밈과 동시에 허리를 회전시켜서 중심을 앞으로 내민 발 쪽으로 이동시킨다.
③ 상체의 회전 - 허리의 회전과 동시에 상체를 회전시켜서 팔과 배트가 회전하여 공을 때린다.
④ 폴로 스로 - 공을 친 후 허리의 회전과 손목의 힘으로 배트를 휘두른다.
3) 스윙의 형태
① 레벨 스윙 - 이상적인 스윙이며 무리하지 않게 휘두를 뿐만 아니라 날카롭게 휘두를 수 있다.
② 다운 스윙 - 위에서 세게 내려치는 스윙으로, 배트를 잡은 곳에서 콤팩트 하게 공을 칠 수 있다.
③ 어퍼 스윙 - 아래에서 올려치듯이 하는 스윙이며, '골프스윙' 이라고도 한다. 힘이 많이 요구되는 스윙이다.
Ⅷ 결 어
지금까지 야구의 대략적인 역사, 어원, 목적, 특징 그리고 야구기술의 가장 기본이 되는 투수의 투구와 타자의 스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러한 계기롤 통해서 그동안의 '보는 것'으로만 즐기던 모습에서 야구를 진정한 레저 스포츠로 즐기는데 한 발짝 다가선 느낌이다. 야구의 세밀한 부분까지 관심을 가짐으로써 종전의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자세로 야구를 스포츠 이상의 생활속의 레저로 바라 볼 수 있게 되었다.
3) 투수 구질의 종류
① 커브 - 볼의 중심보다 조금 오른쪽을 쥔다. 가운데손가락을 볼의 꿰멘 부분에 대고 엄지 손가락은 반대쪽의 꿰멘 부분(아래쪽)에 걸친다. 던질 때에 손목과 손가락의 힘으로 재빨리 오른쪽으로
비틀듯이 밀어 낸다.
② 싱커 - 볼은 슈트와 마찬가지로 쥐는데 슈트의 경우보다도 조금 깊게 쥔다. 던지는 순간에 손목을 위에서 덮듯이 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싱커 볼은 타자의 앞에서 가라앉는다.
③ 팜볼 - 볼을 손바닥에 대고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으로 고정하도록 해서 쥔다. 손목을 단단히 해서 똑바로 밀어 내듯이 던진다. 공이 타자 앞에서 뚝 떨어진다.
④ 슬라이더 -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사이에 공을 끼워서 잡고, 엄지손가락을 아래쪽에 대어서 쥔다. 손목을 단단히 한 채로 스냅은 사용하지 않는다.
⑤ 포크 볼 -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사이에 공을 끼워서 잡고, 엄지손가락을 아래쪽에 대어서 쥔다. 던질 때에는 손목을 단단히 한 채로 스냅은 사용하지 않는다. 공이 타자 앞에서 떨어진다.
⑥ 너클 - 집게손가락, 가운데 손가락, 약지손가락을 구부리고 손가락의 관절로 누르듯이 쥔다.
⑦ 직구 - 엄지손가락 안쪽을 조금 구부리고 검지와 중지 아래에, 볼 밑의 봉제 선에 댄다. 손목의 스냅을 잘 살려서 스핀이 걸리도록 해야한다.
Ⅷ 타자의 스윙 방법
1) 스윙의 기본
① 날카롭게 휘두른다 - 공이 멀리 날아가거나 강한 타구는 공에 회전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날카로운 스윙이 필요하다.
② 콤팩트하게 휘두른다 - 스윙을 크게 휘두른다고 해서 공이 멀리 날아가는 것은 아니다. 작은 스윙이라 해도 배트를 잡은 위치에서 콤팩트하게 휘두르는 것이 중요하다.
③ 저스트 미트 - 공의 중심을 정확하게 치는 것을 저스트 미트라고 한다. 그것이 안타를 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2) 스윙방법
① 테이크 백 - 배트를 잡는 자세, 투수의 투구 모션에 맞춰 허리를 비틀면서 중심을 뒷발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배트를 뒤쪽으로 끌어오는 동작을 테이크 백이라고 하는데 공을 치기 위한 반동 자세라고 할 수 있다.
② 스텝 - 한 발을 투수 쪽으로 밈과 동시에 허리를 회전시켜서 중심을 앞으로 내민 발 쪽으로 이동시킨다.
③ 상체의 회전 - 허리의 회전과 동시에 상체를 회전시켜서 팔과 배트가 회전하여 공을 때린다.
④ 폴로 스로 - 공을 친 후 허리의 회전과 손목의 힘으로 배트를 휘두른다.
3) 스윙의 형태
① 레벨 스윙 - 이상적인 스윙이며 무리하지 않게 휘두를 뿐만 아니라 날카롭게 휘두를 수 있다.
② 다운 스윙 - 위에서 세게 내려치는 스윙으로, 배트를 잡은 곳에서 콤팩트 하게 공을 칠 수 있다.
③ 어퍼 스윙 - 아래에서 올려치듯이 하는 스윙이며, '골프스윙' 이라고도 한다. 힘이 많이 요구되는 스윙이다.
Ⅷ 결 어
지금까지 야구의 대략적인 역사, 어원, 목적, 특징 그리고 야구기술의 가장 기본이 되는 투수의 투구와 타자의 스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러한 계기롤 통해서 그동안의 '보는 것'으로만 즐기던 모습에서 야구를 진정한 레저 스포츠로 즐기는데 한 발짝 다가선 느낌이다. 야구의 세밀한 부분까지 관심을 가짐으로써 종전의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자세로 야구를 스포츠 이상의 생활속의 레저로 바라 볼 수 있게 되었다.
추천자료
LG Lady Card 마케팅전략
집단역할과 스포츠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중학교 체육교과서 문제점 분석
스포츠 마케팅을 통하여 기업이미지를 제고한 LG전자의 사례연구
스포츠 마케팅의 현황과 전망
(가정폭력) 폭력가족에 대한 이해와 대책 및 서비스 방안(가정복지방안)
[국어연구및지도법] 고등 국어 교재 재구성 방향 및 교수․학습 과정안
레포트_경영학(스포츠마케팅)
가정폭력 법적대응, 대처방법 연구
[태권도] 태권도의 세계화 방안
한,중,일의 인기스포츠들 조사분석
체육과 관련된 직업의 전망
[중소기업 경영론] (주)게임빌 (GAMEVI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