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국어 읽기 교과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 국어 읽기 교과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읽기 교과서 분석
1. 구성적 측면
1) 읽기 교과서 대단원 전개 흐름도(표로 제시)
2) 읽기 교과서 구성 체계
3) 대단원 주요 부분의 기능
2. 내용적 측면

Ⅱ. 7차 교육과정 읽기 교과서 분석의 실제
1. 대단원 교수-학습 계획
2. 무엇을 가르치는가?
3. 소단원의 특성 및 차시 지도 계획
■ 한 걸음 더
< 되돌아보기 >
< 더 나아가기 >
■ 쉼터
4. 비판점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자칫 지루해질 수 있다.
학습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각 제재마다 비슷한 형식의 학습 목표 관련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집중력이 부족한 학생일 경우 학습에 도움을 주기보다는 지루함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반복 심화의 원리를 중요시한 점은 인정하지만 같은 형식의 문장을 사용하는 점에서는 이전의 교육과정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이러한 점에 대한 대안으로는 똑같은 답을 요구하되, 다양한 형식의 문장을 사용하는 것이다.
2) 본 활동 후 보충·심화로 하는 활동의 양이 너무 많다.
단원의 끝 부분을 배울 때면 빨리 한 과를 끝마치고, 새로운 단원을 맞이하고 싶기도 하고 다른 반과 비교해 보아 진도가 더 빠르면 내심 자랑스러워 하기도 한다. 그런데 7차 읽기 교과서는 단원이 끝날 듯 끝나지 않는다. 본 활동 후 보충·심화 학습의 활동 양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때문에 빨리 단원을 끝내고자 하는 심리 때문에 아동들이 학습에 깊이를 기하기 보다는 빨리 문제를 풀어 내는 데에 초점을 맞추게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따라서 보충 활동의 양을 선수 학습들을 도입해 둘로 나누거나 차라리 본문의 내용을 조금 늘리는 식으로 하여 보충·심화 활동의 분량을 조금 줄이는 것이 좋을 듯 싶다.
3) 창의적이지 못한 교수 학습법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에 맞는 교수학습법이 개발되기 보다는 종전에 이루어지는 교수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학습자가 학습 상황에 능동적으로 참여해 언어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활동과 자신의 사상과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4) 읽기 교과서에 나오는 글이 다양하지 못하다.
읽기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글을 학생들이 접해야 하는데, 교과서에는 한정된 지면상 짧은 글을 수록하고 있다. 따라서 읽기교육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독서를 많이 하라는 막연한 지도만 하고 있다. 읽기를 위한 다양한 글을 수록한 교재를 개발하거나 읽기교과서에 많은 글을 수록하여 교사가 선택하여 가르칠 수 있는 폭을 넓히고 학생들이 다양한 글을 직접 읽도록 해야겠다.
< 참고문헌 > --------------------------------------
1. 교육인적자원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 5-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최현섭 외(1996),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3. 천경록·이재승(1997), 읽기 교육의 이해, 우리교육.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25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