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문 및 현대어 풀이
2. 배경설화
3. 처용의 실체
2. 배경설화
3. 처용의 실체
본문내용
웅왕; 태백산 꼭대기의 왕(인간으로 변신) 단군 왕검 생산을 위해 평범한 남성으로 2차적 변신; 하강적 변신
♤ 곰 금기를 지킴; 금기는 변신을 위한 시련 웅녀 (환웅은 천신의 아들이므로 시련없는 변신이 가능하나 돔은 시련을 극복해야만 함)
처용가의 해석 > 자력과 타력에 의한 변신
♤ 동해용; 해신(海神) 시련을 헌강왕의 일관의 도움으로 극복; 어둠은 단군의 햇볕없는 동굴처럼 변신의 관문이며 시련 처용; 뭍의 사람으로 변신 인간; 결혼과 정치적 보좌(헌강왕의 타력에 의한 변신) 역신과의 대결에서 승(무기-노래와 춤); 자력 변신, 이차적 시련 문신(門神)
♤ 역질(천연두) 역신; 상승적 변신, 인간이라는 타력에 의한 것이므로 시련 없음 처용의 처와 잠자리를 위해 인간으로 변신 처용에게 패배 천연두
♤ 곰 금기를 지킴; 금기는 변신을 위한 시련 웅녀 (환웅은 천신의 아들이므로 시련없는 변신이 가능하나 돔은 시련을 극복해야만 함)
처용가의 해석 > 자력과 타력에 의한 변신
♤ 동해용; 해신(海神) 시련을 헌강왕의 일관의 도움으로 극복; 어둠은 단군의 햇볕없는 동굴처럼 변신의 관문이며 시련 처용; 뭍의 사람으로 변신 인간; 결혼과 정치적 보좌(헌강왕의 타력에 의한 변신) 역신과의 대결에서 승(무기-노래와 춤); 자력 변신, 이차적 시련 문신(門神)
♤ 역질(천연두) 역신; 상승적 변신, 인간이라는 타력에 의한 것이므로 시련 없음 처용의 처와 잠자리를 위해 인간으로 변신 처용에게 패배 천연두
추천자료
고전문학의 이해 제석본 풀이
고전문학총정리 완결판
미래 문화 콘텐츠로서의 고전문학
[고전문학] 경기체가· 시조· 가사의 형성
고전문학의 사상적 흐름
[고전문학] 조선후기의 문학의 대중화
고전문학의 재 해석 - 두껍전
[문학][고전주의문학][여성주의문학][페미니즘문학][이야기문학]문학의 의미, 문학과 고전주...
[감상문] 잊혀 지거나 혹은 사라진 이야기를 찾아서 「우리 고전문학을 찾아서」를 읽고
허균, 시대의 문제에 대해 홍길동전으로 답하다 -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
홍길동전, 허균, 한국고전문학, 사회소설, 임진왜란, 풍자문학, 호민론, 유재론, 허균의 생애...
‘고전소설’에 나타난 도교(道敎)의 모습 - 도교란 무엇이며,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에 영향을 ...
[서평] 「일본 고전문학의 배경과 흐름」 _ 김충영 저
[고전문학 교육론] 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소설 교육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