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지휘소
1.개요
가. 지휘 및 통제시설 설치목적
나. 지휘소
다. 지휘소 설치권한
라. 지휘소 구분
제2절 지휘통제 본부(CCC)
1. 개요
2. 편성
3. 기능
4.지휘 통제본부의 운용
제3절 계획 및 명령
1. 개요
2. 계획
3. 명령
제4절 지휘통신체계
1. 개요
2. 지휘통신체계의 주요 기능
3. 전술통신체계
4. 전투무선망
5. 정보체계
*참모별 주요업무
제1절 인사 참모업무
제2절 정보참모 업무
※실무부대 정보 활동
※ 실무부대 작전 활동
1.개요
가. 지휘 및 통제시설 설치목적
나. 지휘소
다. 지휘소 설치권한
라. 지휘소 구분
제2절 지휘통제 본부(CCC)
1. 개요
2. 편성
3. 기능
4.지휘 통제본부의 운용
제3절 계획 및 명령
1. 개요
2. 계획
3. 명령
제4절 지휘통신체계
1. 개요
2. 지휘통신체계의 주요 기능
3. 전술통신체계
4. 전투무선망
5. 정보체계
*참모별 주요업무
제1절 인사 참모업무
제2절 정보참모 업무
※실무부대 정보 활동
※ 실무부대 작전 활동
본문내용
내 위치, 위기조치반 소집운영, 전투병력 영내 대기
4 동원 예비군 작전동원 시행, 탄약지급
2. 정규작전 : 적의 전면전 도발에 대해서 방어준비 태세를 갖추고 실시하는 작전
가. 방어준비태세란? 방어 준비단계를 상황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여 적의 도발에 효과적 으로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준비태세( 국가적 긴장상태, 국지전 및 전면전 상황 발 생시, 연습시 단계별 적용)
나, 방어준비태세 등급
1단계 - 국가적 긴장 상태, D-4, DOUBLE TAKE
2단계 - 군사적 개입 가능 상태, D-3, ROUND HOUSE
3단계 - 적 공격 징후 고조, D-2, FAST PACE
4단계 - 적대행위, 전쟁 임박 , D-1, COCKED PISTOL
3. 유사시 즉각 출동 가능 부대는?
가. 5분 전투대기부대 : 책임지역 내 침투한 불순분자나 적을 포획 및 격멸 시키기 위해 명 령수령 후 5분 이내에 즉각 전투태세를 갖추고 출동할 수 있도록 평소부터 준비된 상태에 있는 부대 ( 1/5규모 )
나. 후속 증원 부대 : 평소 임무를 수행하면서 유사시 5분 전투대기 부대에 이어 가장 신속 히 출동할 수 있도록 준비된 부대 (30분 이내, 1/3규모)
다. 기동 타격대 : 임무는 5분 전투대기부대와 같으나, 규모나 출동 시감녕에서 차이가 나 며 통상 5분 전투대기 부대의 출동과 사태의 진전을 보아가며 출동
라. 고속침투 봉쇄부대 : 적이 지상 및 공중 침투 후 아군 차량이나 전차, 장갑차나 민간 차량을 탈취, 양호한 도로를 따라 고속침투 할 것에 대비 주요 축선 상에 배치 하여 저지, 격멸하도록 임무가 부여된 부대
4 동원 예비군 작전동원 시행, 탄약지급
2. 정규작전 : 적의 전면전 도발에 대해서 방어준비 태세를 갖추고 실시하는 작전
가. 방어준비태세란? 방어 준비단계를 상황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여 적의 도발에 효과적 으로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준비태세( 국가적 긴장상태, 국지전 및 전면전 상황 발 생시, 연습시 단계별 적용)
나, 방어준비태세 등급
1단계 - 국가적 긴장 상태, D-4, DOUBLE TAKE
2단계 - 군사적 개입 가능 상태, D-3, ROUND HOUSE
3단계 - 적 공격 징후 고조, D-2, FAST PACE
4단계 - 적대행위, 전쟁 임박 , D-1, COCKED PISTOL
3. 유사시 즉각 출동 가능 부대는?
가. 5분 전투대기부대 : 책임지역 내 침투한 불순분자나 적을 포획 및 격멸 시키기 위해 명 령수령 후 5분 이내에 즉각 전투태세를 갖추고 출동할 수 있도록 평소부터 준비된 상태에 있는 부대 ( 1/5규모 )
나. 후속 증원 부대 : 평소 임무를 수행하면서 유사시 5분 전투대기 부대에 이어 가장 신속 히 출동할 수 있도록 준비된 부대 (30분 이내, 1/3규모)
다. 기동 타격대 : 임무는 5분 전투대기부대와 같으나, 규모나 출동 시감녕에서 차이가 나 며 통상 5분 전투대기 부대의 출동과 사태의 진전을 보아가며 출동
라. 고속침투 봉쇄부대 : 적이 지상 및 공중 침투 후 아군 차량이나 전차, 장갑차나 민간 차량을 탈취, 양호한 도로를 따라 고속침투 할 것에 대비 주요 축선 상에 배치 하여 저지, 격멸하도록 임무가 부여된 부대
추천자료
동아시아 근대의 전개에 있어서 군사력의 의미
(설명문) 북한의 군사조직 및 제도
박정희의 5.16 군사정변에 대한 분석과 그 영향
북한의 경제 북한의 사회 북한의 군사 북한의 정치 북한의 교육 그리고 통일교육
[역사학] 제정 이전 로마의 군사제도
고대 그리스 스파르타의 발전양식, 고대 그리스 스파르타의 정치체제, 고대 그리스 스파르타...
탄넨베르크 전투 (Team-Work의 승리, Tannenberg전투)
광명성 3호 발사에 따른 동북아 각국 움직임, 군사 움직임, 미국 주도, 이어도 분쟁, 영향, ...
[주권, 수용자주권, 시청자주권, 소비자주권]주권과 수용자주권, 주권과 시청자주권, 주권과 ...
박정희정부(제3공화국, 박정희정권)의 경제성장, 박정희정부(제3공화국, 박정희정권)의 5 16...
중국의 외교정책 (군사 정책 분야)
[의복의 역사_ 개항 이후 복식]개항초기, 일제 강점기, 해방이후, 군사 정권, 1980년대 이후-...
일본사회문화 - 축소지향의 일본이 군사대국화를 진행시키는 이유
분쟁과 평화(동아시아관계론, 걸프전쟁, 이라크전쟁, 중동평화회의, 한반도문제, 핵확산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