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 용어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글로벌경영

2.CALS

3.IMF

4.JIT

5.ERP

6.포디즘

7.방위산업

8.로지스틱스

9.리드타임

10.ISO
...

본문내용

tion and Review Technique. 공사의 실행계획을 짜는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어떠한 공정의 진전방법 을 쓰면 인원이나 자재의 낭비가 없이 배치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가를 해명하는 공정관리의 기법을 말한다.
복잡다기한 공사계획을 공정마다 풀어서 이것을 그물눈과 같은 관련도에 의하여 관계를 맺게 하 고 작업순서나 작업진행상황을 한 눈으로 보아서 알 수 있게 만든 것이 며 공사일정이나 납기를 산출해 내는데 안성마춤이다.
간트도
미국의과학적 관리법의 추진자 H.L.갠트가 생산관리를 위하여 고안한 관리도.
이것은 시간과 관련시켜 계획과 그 실적을 도표로 표시하려는 것이다. 계획에 따라시간의 눈금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고, 여러 가지 문제에 활용할 수도 있으므로 용도가 광범위하다. 이것은 계획도표와 통제도표를 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날짜 단위로 제품번호 15의 생산계획량이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횡선(橫線)은 숫자로 주어진 생산계획량에 대한 실적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월요일에는 80%의 달성을, 금요일에는 120%의 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실적의 누계(累計)가 계획을 밑돌 때 그 원인을 표시하는 기호(記號) 등도 기입한다.이 갠트 차트는 횡선공정표(橫線工程表)라고도 하며, 최근에 계획의 평가 검토기법인퍼트(PERT)수법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CPM
Critical Path Method의 약자. 대규모의 네트 워크형 프로젝트의 계획, 관리에 사용되는 일정계획 기법으로 비용과 시간(납기)을 고려 대상으로 한다.
DU PONT사의 M.R Walker에 의해 개발된 기법으로 프로젝트에 포함하는 각 작업에 대해서 표준 소요시간, 표준 비용, 특급 비용을 견적하고 소요시간과 비용의 사이에 직선적인 관계를 가정한다.
한편,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각 작업의 순서관계를 애로우 다이아그램으로 표시하고 각 작업의 소요시간에서 크리티칼 패스 위에 있으면서 더구나 앞에서 말한 직선의 구배(句配)인 소비구배가 최소의 작업순으로 크리티칼 패스가 다른곳에 생기기까지 소요시간의 단축을 시도한다.
그리고 새로운 크리티칼 패스가 생길 때에도 마찬가지 일을 되풀이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최종적으로는 프로젝트의 소요일수에 대한 최소비용을 표시하는 관계가 구해 진다.
학습곡선
기업의 코스트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제품의 단위당 실질 코스트는 누적 경험량(누적생산량 또는 판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 비율로 저하되는데, 누적경험량이 2배가 되면 코스트는 20%정도 떨어지는 것 이 보통이다. 그래서 누적경험량이 큰 기업은 코스트도 낮고 수익성 도 높다. 이 곡선은 기업의 경영전략을 구상하는데 기초가 된다
칸반(KANBAN)시스템
도요다식의 생산시스템의 하나인 서브시스템이다.
도요다생산방식의 기 본사상은 철저한 낭비의 배제, 즉 낭비, 무리, 불균형을 배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때에 필요한 물건을 필요한 양만큼만 만들어 결국 보다 좋게, 보다 빨리, 짧은 리드타임으로 소로트생산을 하는 정체 하지 않는 흐름방식을 취하는 것이다.
도요다식 생산시스템의 두가지 기 본적인 사고는 Just-in time 이라고 하는 적시관리와 생산의 자동화에 있다.
적시관리란 준공정이 필요한 때에 필요한 물건을 필요한 양만큼만 전공정에 가지러 가고 전공정은 가지고 간 분만큼만 보충하여 두는 방식 으로, 일정의 슈퍼마켓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낭비를 배제한 동기화 생산상식이다.
이 적시관리는 철저한 낭비의 배제를 목표로 하는데 발생 가능한 낭비는 세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생산량이 일정치 않고 변동이 있을 경우 설비, 노동, 재료가 정점에서의 능력을 갖추어야 하므로 낭비 가 발생한다.
둘째, 작업공수를 줄임으로써 생산준비 비용의 감소를 위 해 로트생산을 할 경우 과잉생산이 이루어지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재고 의 감비와 운반의 낭비를 초래한다.
셋째, 작업자의 움직임에 관한 각종 의 낭비를 들 수 있는데 기계를 감시하거나 기계치공구 조정 또는 치공 구를 찾거나 가지러 가는 것은 주작업과 동작의 낭비이다.
그러므로 낭비를 없애기 위해서는 표준화 생산과 표준작업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자동화는 사람의 지혜를 활용하여 자동화를 행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필요한 양만큼만 생산하면 저절로 설비가 정지되도록하여 너무 많이 만드는 것을 방지하며, 만약 이상이 발생하면 라인이 정지되고 원 인공정에 불이 켜지게 함으로써 쉽게 이상을 파악하게 하는 눈으로 보는 관리를 행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2.01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