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위성방송의 원리
(2) 위성방송 수신방법
(3) 위성방송의 장점
(4) 위성방송과 유선방송의 차이
(5) 무궁화위성
1) 무궁화위성 사업의 준비
2) 무궁화 1, 2호 위성의 발사
3) 무궁화 3호 위성의 발사
4) 무궁화위성과 우리별 위성의 차이점
5) 무궁화 위성방송 기술사항
(6) 위성으로 가능한 서비스
1) 고화질 텔레비젼 방송
2) 위성 프로그램 분배망
3) 초소형 위성 지구국
4) 위성 위치 정보 시스템
5) 이동 위성 중계 시스템
(7) 위성방송 운영의 수지 전망
(8) 문 제 점
3. 결 론
2. 본 론
(1) 위성방송의 원리
(2) 위성방송 수신방법
(3) 위성방송의 장점
(4) 위성방송과 유선방송의 차이
(5) 무궁화위성
1) 무궁화위성 사업의 준비
2) 무궁화 1, 2호 위성의 발사
3) 무궁화 3호 위성의 발사
4) 무궁화위성과 우리별 위성의 차이점
5) 무궁화 위성방송 기술사항
(6) 위성으로 가능한 서비스
1) 고화질 텔레비젼 방송
2) 위성 프로그램 분배망
3) 초소형 위성 지구국
4) 위성 위치 정보 시스템
5) 이동 위성 중계 시스템
(7) 위성방송 운영의 수지 전망
(8) 문 제 점
3. 결 론
본문내용
송 시대에 진입하게 되었다.
(8)
문 제 점
우리나라 방송산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살펴보자.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방송정책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마련돼 있지 않다. 주파수 배정과 신매체의 도입, 신기술의 채용 등에 관한 중장기 정책을 위한 청서가 준비돼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 질을 제고시킬 획기적 방안이 나와야 한다. 프로그램 질은 프로듀서의 질이 좌우한다. 그러므로 제작 전문 인력의 확보와 훈련, 조사·연구에 힘쏟아야 하겠다.
셋째, 명분보다 실리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 과거 신탁모델(trustee model)은 시장모델(market model)로 바뀌어야 한다. 케이블, 위성은 물론이고 홈쇼핑 사업자에게까지 공익성, 공 공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그리고 관련산업을 진흥시킬 방안을 내놓으라고 요청하는것은 겉치레에 불과하다.
넷째, 디지털화를 앞두고 전송방식 문제와 재원조달이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미국 AT SC의 8- VSB 방식과 유럽의 COFDM 방식을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동수신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면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디지털 전환에는 2010년까지 2조 30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2002년까지 총 3800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유선TV의 디지털화에도 약 7500억원이 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섯째, 위성방송 PP들이 기존 공중파TV, 케이블TV의 방송과 차별화된 컨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이른바 킬러 컨텐츠의 확보는 위성텔레비전의 성패가 될 것이다.
값싸고 질좋은 셋탑박스의 보급, 전문인력의 확보와 더불어 유료매체이자 부유층을 타킷으로 삼는 위성TV는 국민경제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대불변이론(relative constancy theory)은 여전히 유효하다.
여섯째, 공영 공중파 방송사의 위상 재정립이 필요하다. KBS, MBC, EBS의 자리매김을 새롭게 해야 할 시점이다. 광고하는 KBS, 방황하는 MBC, 버림받은 EBS를 원위치로 되돌리는 결단이 요구된다.
일곱째, 디지털화와 위성TV의 도입은 KBS 지방국과 MBC의 지방계열사에 위기를 가져오고 있다. 지방국의 광역화를 포함한 새로운 역할 모델의 정립이 있어야하겠다.
여덟째, 한국방송광고공사와 민영 미디어렙 문제를 합리적으로 매듭지어야 한다.
아홉째, 방송의 최고 정책 및 규제기구라고 할 수 있는 방송위원회의 권능을 바로 세우는 일 역시 우리 방송계의 중요 현안이 아닐 수 없다.
열째, 경쟁의 시대이다. 다매체, 다채널 시대이다. 미디어 윤리 제고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3. 결 론
우리 방송산업에 커다란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공중파TV의 디지털화, 위성텔레비전의 개시, 중계 유선방송의 SO전환, 강원민방과 제주민방의 허가, 외국 자본의 국내 진출 그리고 방송과 통신의 융합, 인터넷의 급성장, 남북방송 교류 등 정책과 제도, 기술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방송영상산업의 진흥을 위해서 정부도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경우 방송정책은 즉흥적으로, 행정의 편의주의에 따라서 결정된 예가 많다. 남이 하니까 나도 한다는 식이 아니면 혁명기념으로, 또는 국왕생일을 축하하기 위해서 텔레비전 방송을 도입하기도 했다.
우리의 경우에도 1956년 TV 도입은 다국적 기업의 수신기 판매시장 확보를 위해서 시작되었고 61년 12월 31일 KBS 텔레비전은 당시 군사혁명정부의 정치적 목적으로 개국되었고, 81년 종교방송 허가는 대통령 선거 공약의 실천으로 이루어졌다.
이제 올바른 방송정책을 펴나가야 한다. 조사연구위원회 제도를 채용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새 제도나 매체 도입에 앞서서 장기적인 연구를 행하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회가 정책 검토를 한 뒤에 정부가 집행하는 백서- 녹서- 청서 시스템이 타산지석이 될 것이다.
▣목 차
1. 서 론
2. 본 론
(1) 위성방송의 원리
(2) 위성방송 수신방법
(3) 위성방송의 장점
(4) 위성방송과 유선방송의 차이
(5) 무궁화위성
1) 무궁화위성 사업의 준비
2) 무궁화 1, 2호 위성의 발사
3) 무궁화 3호 위성의 발사
4) 무궁화위성과 우리별 위성의 차이점
5) 무궁화 위성방송 기술사항
(6) 위성으로 가능한 서비스
1) 고화질 텔레비젼 방송
2) 위성 프로그램 분배망
3) 초소형 위성 지구국
4) 위성 위치 정보 시스템
5) 이동 위성 중계 시스템
(7) 위성방송 운영의 수지 전망
(8) 문 제 점
3. 결 론
(8)
문 제 점
우리나라 방송산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살펴보자.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방송정책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마련돼 있지 않다. 주파수 배정과 신매체의 도입, 신기술의 채용 등에 관한 중장기 정책을 위한 청서가 준비돼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 질을 제고시킬 획기적 방안이 나와야 한다. 프로그램 질은 프로듀서의 질이 좌우한다. 그러므로 제작 전문 인력의 확보와 훈련, 조사·연구에 힘쏟아야 하겠다.
셋째, 명분보다 실리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 과거 신탁모델(trustee model)은 시장모델(market model)로 바뀌어야 한다. 케이블, 위성은 물론이고 홈쇼핑 사업자에게까지 공익성, 공 공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그리고 관련산업을 진흥시킬 방안을 내놓으라고 요청하는것은 겉치레에 불과하다.
넷째, 디지털화를 앞두고 전송방식 문제와 재원조달이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미국 AT SC의 8- VSB 방식과 유럽의 COFDM 방식을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동수신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면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디지털 전환에는 2010년까지 2조 30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2002년까지 총 3800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유선TV의 디지털화에도 약 7500억원이 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섯째, 위성방송 PP들이 기존 공중파TV, 케이블TV의 방송과 차별화된 컨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이른바 킬러 컨텐츠의 확보는 위성텔레비전의 성패가 될 것이다.
값싸고 질좋은 셋탑박스의 보급, 전문인력의 확보와 더불어 유료매체이자 부유층을 타킷으로 삼는 위성TV는 국민경제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대불변이론(relative constancy theory)은 여전히 유효하다.
여섯째, 공영 공중파 방송사의 위상 재정립이 필요하다. KBS, MBC, EBS의 자리매김을 새롭게 해야 할 시점이다. 광고하는 KBS, 방황하는 MBC, 버림받은 EBS를 원위치로 되돌리는 결단이 요구된다.
일곱째, 디지털화와 위성TV의 도입은 KBS 지방국과 MBC의 지방계열사에 위기를 가져오고 있다. 지방국의 광역화를 포함한 새로운 역할 모델의 정립이 있어야하겠다.
여덟째, 한국방송광고공사와 민영 미디어렙 문제를 합리적으로 매듭지어야 한다.
아홉째, 방송의 최고 정책 및 규제기구라고 할 수 있는 방송위원회의 권능을 바로 세우는 일 역시 우리 방송계의 중요 현안이 아닐 수 없다.
열째, 경쟁의 시대이다. 다매체, 다채널 시대이다. 미디어 윤리 제고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3. 결 론
우리 방송산업에 커다란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공중파TV의 디지털화, 위성텔레비전의 개시, 중계 유선방송의 SO전환, 강원민방과 제주민방의 허가, 외국 자본의 국내 진출 그리고 방송과 통신의 융합, 인터넷의 급성장, 남북방송 교류 등 정책과 제도, 기술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방송영상산업의 진흥을 위해서 정부도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경우 방송정책은 즉흥적으로, 행정의 편의주의에 따라서 결정된 예가 많다. 남이 하니까 나도 한다는 식이 아니면 혁명기념으로, 또는 국왕생일을 축하하기 위해서 텔레비전 방송을 도입하기도 했다.
우리의 경우에도 1956년 TV 도입은 다국적 기업의 수신기 판매시장 확보를 위해서 시작되었고 61년 12월 31일 KBS 텔레비전은 당시 군사혁명정부의 정치적 목적으로 개국되었고, 81년 종교방송 허가는 대통령 선거 공약의 실천으로 이루어졌다.
이제 올바른 방송정책을 펴나가야 한다. 조사연구위원회 제도를 채용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새 제도나 매체 도입에 앞서서 장기적인 연구를 행하고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회가 정책 검토를 한 뒤에 정부가 집행하는 백서- 녹서- 청서 시스템이 타산지석이 될 것이다.
▣목 차
1. 서 론
2. 본 론
(1) 위성방송의 원리
(2) 위성방송 수신방법
(3) 위성방송의 장점
(4) 위성방송과 유선방송의 차이
(5) 무궁화위성
1) 무궁화위성 사업의 준비
2) 무궁화 1, 2호 위성의 발사
3) 무궁화 3호 위성의 발사
4) 무궁화위성과 우리별 위성의 차이점
5) 무궁화 위성방송 기술사항
(6) 위성으로 가능한 서비스
1) 고화질 텔레비젼 방송
2) 위성 프로그램 분배망
3) 초소형 위성 지구국
4) 위성 위치 정보 시스템
5) 이동 위성 중계 시스템
(7) 위성방송 운영의 수지 전망
(8) 문 제 점
3. 결 론
추천자료
정보화 사회의 위성통신
[공과대]-위성통신에 대하여
정보통신 지상 DMB와 위성 DMB의 서비스 방식의 차이와 기술의 동향 및 사업구조
DMB(위성DMB,지상파DMB)서비스에 대한 분석
지상파 DMB와 위성 DMB의 비교 분석 및 DMB의 향후 전망과 정책 방향
지상파 DMB와 위성 DMB의 사업성 분석
[소비자행동론] 위성 DMB TU에 대한 소비자 행동 분석 (A+리포트)
[정보통신]위성 DMB 의 경제 효과와 미래
GPS(위성항법장치)의 개념, GPS(위성항법장치)의 역사, GPS(위성항법장치)의 구성, GPS(위성...
[우주산업][우주개발][우주산업정책][항공우주산업][인공위성][우주]우주산업의 정의, 우주산...
[레포트]위성통신[p6]800
[레포트]위성통신[p6]800
[세미나]위성통신[p30]2000
[통신과 매체]위성 TV,디지털 TV,문자 메시지(SMS),그림 메시지(MMS,지상파 TV,브랜드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