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위성통신이란
1. 위성통신의 정의
2. 위성의 궤도
3. 용도별 통신 인공위성
4. 위성체의 기본 구성도
5. 다원 접속의 유형
6. 위성통신특징, 장점 및 단점
7. 지상 유선망과 위성망의 경쟁력 비교
8. 위성통신 응용분야 및 적용분야
9. 망 구성도 예
Ⅱ. 위성통신의 발전 방향
1. 위성통신의 역사
2. 우리나라 위성 계획
3. 위성 서비스의 전망
1. 위성통신의 정의
2. 위성의 궤도
3. 용도별 통신 인공위성
4. 위성체의 기본 구성도
5. 다원 접속의 유형
6. 위성통신특징, 장점 및 단점
7. 지상 유선망과 위성망의 경쟁력 비교
8. 위성통신 응용분야 및 적용분야
9. 망 구성도 예
Ⅱ. 위성통신의 발전 방향
1. 위성통신의 역사
2. 우리나라 위성 계획
3. 위성 서비스의 전망
본문내용
ⓖ 광역정보 통신망(WAN)서비스와 종합 위성 디지털 통신망(ISDN)서비스 가능
※망 구성도
제1단계(위성망 도입) : 지점 및 대리점망
시외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지점 및 대리점을 위성망으로 전환
※PSTN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자료 전송을 하려는 경우에는 모뎀을 사용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약 1800만 이상의 전화 가입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어느 전화기에서도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면 15초 이내에 1800만 여개 번호 중에서 오직 다이얼한 그 번호를 정확하게 골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단계(위성망 확장) : 주유소망 및 본지사간 통신망
시외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주유소 및 고속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직영주유소를 위성망으로 전환
본사와 각 지방 사업장을 고속의 데이터 망으로 전환
제3단계(위성망 통합) : 그룹 통신망 및 VSAT 부가통신망 사업
그룹의 통신망을 고속의 위성망으로 통합 : 고속데이터 송수신 및 그룹방송
구축된 자체 망을 바탕으로 일반 영업망을 대상으로 한 부가통신망 사업개시
우리 나라는 향후 2015년에는 세계 10위권의 선진우주국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주개발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추진방향과 함께 단계별 기술개발분야 및 전략에 대한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실천중에 있다.
위성이용 및 우주과학분야는 예측된 국내수요위성개발과 연계된 통신, 방송, 지구관측(기상 및 해양 포함) 및 우주과학분야로 세분하여 단계별 추진계획을 작성하였다. 통신방송분야는 위성방송기술의 자립과 차세대 통신기술개발, 지구관측분야는 주요 이용분야의 도출과 이용기반구축 그리고 위성탑재체의 핵심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단계별 발전 목표를 제시하였다.
위성 서비스의 전망
1. 위성 중계기의 고출력/대형화로 지구국이 소형/경량화됨
2. 위성다중 스팟 빔의 사용으로 서비스 지역이 광역화됨
3. 고주파 대역/ 사용기술의 개발로 고속데이타 및 고품질의 통신 서비
스 제공이 가능하게 됨
4. VSAT 좀전에 말씀드린 초소형 위성통신 지구국이죠 초소형 위성통신 지구국 이용한 개인 소유의 소형 지구국 및 사설망의 구축이
확산될 전망
5. 고품질의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오디오, 데이타 서비스가 가능하
게 됨
6. 이동통신의 보급이 확대될 전망이며 긍극적으로는 PCS와 PDA 등
개인통신 서비스의 기간망으로서 역활도 기대됨
※망 구성도
제1단계(위성망 도입) : 지점 및 대리점망
시외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지점 및 대리점을 위성망으로 전환
※PSTN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자료 전송을 하려는 경우에는 모뎀을 사용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약 1800만 이상의 전화 가입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어느 전화기에서도 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르면 15초 이내에 1800만 여개 번호 중에서 오직 다이얼한 그 번호를 정확하게 골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단계(위성망 확장) : 주유소망 및 본지사간 통신망
시외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주유소 및 고속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직영주유소를 위성망으로 전환
본사와 각 지방 사업장을 고속의 데이터 망으로 전환
제3단계(위성망 통합) : 그룹 통신망 및 VSAT 부가통신망 사업
그룹의 통신망을 고속의 위성망으로 통합 : 고속데이터 송수신 및 그룹방송
구축된 자체 망을 바탕으로 일반 영업망을 대상으로 한 부가통신망 사업개시
우리 나라는 향후 2015년에는 세계 10위권의 선진우주국에 진입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주개발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추진방향과 함께 단계별 기술개발분야 및 전략에 대한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실천중에 있다.
위성이용 및 우주과학분야는 예측된 국내수요위성개발과 연계된 통신, 방송, 지구관측(기상 및 해양 포함) 및 우주과학분야로 세분하여 단계별 추진계획을 작성하였다. 통신방송분야는 위성방송기술의 자립과 차세대 통신기술개발, 지구관측분야는 주요 이용분야의 도출과 이용기반구축 그리고 위성탑재체의 핵심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단계별 발전 목표를 제시하였다.
위성 서비스의 전망
1. 위성 중계기의 고출력/대형화로 지구국이 소형/경량화됨
2. 위성다중 스팟 빔의 사용으로 서비스 지역이 광역화됨
3. 고주파 대역/ 사용기술의 개발로 고속데이타 및 고품질의 통신 서비
스 제공이 가능하게 됨
4. VSAT 좀전에 말씀드린 초소형 위성통신 지구국이죠 초소형 위성통신 지구국 이용한 개인 소유의 소형 지구국 및 사설망의 구축이
확산될 전망
5. 고품질의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오디오, 데이타 서비스가 가능하
게 됨
6. 이동통신의 보급이 확대될 전망이며 긍극적으로는 PCS와 PDA 등
개인통신 서비스의 기간망으로서 역활도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