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적 정보
Ⅱ. 병력
Ⅲ. 질병에 대한 고찰
Ⅳ. 신체검진
Ⅴ. 진단검사
Ⅵ. 약물
Ⅶ. 수술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Ⅱ. 병력
Ⅲ. 질병에 대한 고찰
Ⅳ. 신체검진
Ⅴ. 진단검사
Ⅵ. 약물
Ⅶ. 수술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3~4회씩 능동족 굴곡운동을 시작한다.
- 수술 후 첫째날부터 보조기구를 이용한 가벼운 체중부하를 시작하며,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만큼 증가시킨다.
- 수술 후 첫째날에는 다리를 올리고 의자에 앉는다.
- 대퇴사두근을 조절(능동적인 직하지 거상운동) 할 수 있을 때까지 수술받은 다리에 Resting knee extension splint(보조기)를 착용하도록 환자를 격려한다.
④ 통증조절
- 통증은 초기에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체위를 변경하여 조졸한다. 내성이 생기면 비마 역성 진통제로 바꾸기 위해 약물을 점진적으로 감량한다.
- 능동적 굴곡운동 전후 20~30분 동안 얼음주머니를 적용하도록 h한자를 격려한다.
- 어떤 환자에게는 통증을 저하시키기 위해 얼음을 자주 적용하도록 처방할 수 있다.
⑤ 퇴원교육
- 환자는 부분적인 체중부하 제한을 관찰하고, 퇴원 후 약 2개월 동안은 보행 보조기구를 사 용해야 한다.
- 환자는 집에서 능동적 굴곡운동과 직하지 거상운동을 계속해야 한다.
- 환자는 평생동안 수술이나 치과치료를 받기 전에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Ⅷ.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날짜
간호사정
10/21
* SD
“무릎이 아퍼서 잠을 못자.”
“잘 때 다리를 움직이질 못하겠어.”
“가만있으면 좀 덜하지. 근데 움직이면 말도 못해~.”
* OD
- 진단명 : Osteoarthritis of Right Knee
- 통증척도 1~10중 7에 해당
- 밤새 2~3회 깸, 지속적인 동통
-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서 누워계심
- 통증 때문에 다리를 움직이시지 않음
날짜
간호진단
10/21
관절퇴행과 관련된 통증
날짜
간호계획
10/21
목적설정 :
- 환자는 통증이 통증척도 5이하로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호중재 :
- 환측 관절에 온/냉요법을 적용한다.
(이론적 근거: 근육경련, 강직 및 동통을 감소시킨다.)
- 손상된 관절을 휴식한다.
(이론적 근거: 지나친 사용은 증상을 악화시키고 퇴행을 가속화한다.)
- 진통제를 사용한다.
(이론적 근거: 동통을 감소시킨다.)
- 함축되어 있는 심리적 요인 또는 정서적 요인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동통에 대한 환자의 인지와 수용을 변경시키고 동통 한계치를 감 소시킬 것이다.)
- 통증감소와 통증제거를 위해 통증조절법을 이야기한다.
(이론적 근거: 물리치료, 이완요법 등의 방법들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
날짜
간호수행
10/21
- Ice bag을 Rt. knee에 적용시켰다.
- 통증을 증가시키지 않는 관절범위 내에서의 운동과 휴식을 교육시켰다.
- Ketoprofen을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환자와 함께 통증에 대한 느낌, 통증 요인과 수술 후 통증경감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 물리치료 방법들에 대해 교육하고 권장하였다.
날짜
간호평가
10/21
- 통증이 통증척도 1~10중 5로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 통증으로 인한 수면장애가 조금 나아졌다고 말하였다.
- 진통제로 인해 편해졌다고 말하였다.
-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통증관리방법에 대해 설명을 할 수 있었다.
(2) 간호과정 #2
날짜
간호사정
10/23
HD #4
OPD #1
* SD
“나 빨리 나아야 하는데.. 예전처럼 계속 아프면 어쩌나.. 우리 손녀딸하고 놀러 도 가야 하는데..”
“손녀가 집에서 기다리고 있는데.. 여기서 빨리 가야 하는데..”
“밥도 잘 안넘어가고.. 걱정이 돼”
“수술만을 기다려왔지만.. 마음이 안정이 안돼”
“맘처럼 잘 움직일 수도 없고.. 어쩌면 이렇게 아플까”
* OD
- HD #4, OPD #1
- 불안의 정도 6~7점
- 수술 결과에 대해 불안한 마음이 있음
- 집에 있는 손녀딸 걱정을 많이 하심
- 아침식사를 거의 못하심.
- 수술 후 더 증가한 통증에 대해 걱정하심
날짜
간호진단
10/23
질병, 수술과 관련된 불안
날짜
간호계획
10/23
목적설정
- 환자는 불안에 대해 진정이 되었다고 말한다.
- 환자는 질병과 수술 후 통증이나 운동 가능성의 진행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간호중재
-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 불안의 척도(10기준)를 이용하는 것은 대상자 개인의 느끼는 불안 정도를 알 수 있다.)
-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치료의 목적을 설명해 준다.
(이론적 근거 - 정확한 정보의 제공은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 알게 됨으로써 대상 자에게 불안을 감소시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 불안 완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 적용한다.
(이론적 근거: 이완 요볍, 환경의 변화, 대화 등이 안위증진과 불안 감소에 영향을 준다.)
-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에 대해 사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이론적 근거: 유발요인을 해결함으로써 불안이 감소될 수 있다.)
날짜
간호수행
10/23
- 불안의 정도가 4~5임을 확인하였다.
- 질병과 수술에 대한 설명을 해주고 수술 후 간호와 경과에 대한 설명을 해 주었 다.
- 병실을 옮겨 가족과 함께 있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느끼는 감정에 대해 솔직하게 대화를 나누었다.
- 통증완화를 위해 ice bag을 적용하고, 손녀딸의 병원 방문을 제안했다.
날짜
간호평가
10/24
- 마음이 편해졌다고 대상자는 말하였다.
- 손녀딸이 방문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힘이 난다고 말하였다.
- 가족이 옆에 같이 있을 수 있게 되서 잠이 잘 올 것 같다고 말하였다.
- 솔직한 감정을 대상자는 털어놓았다.
Ⅸ.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3, 현문사, 김조자 외, 2003
- 성인간호학 하, 수문사, 서문자 외, 1996
- 성인간호학 하, 전시자 외, 현문사, 1996
-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현문사, 1996
-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최정신, 1997
-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수문사, 이은옥 외, 1988
- 간호진단, 현문사, 한윤복 외, 1995
- 관절염 자가관리. 김영란 외, 정담,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씨그마학회편, 현문사, 1997
- 임상간호 매뉴얼, 수문사, 한윤복 외, 1992
- 진단검사와 간호, 송경애 외, 수문사, 1998
-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현문사, 2003
- 수술 후 첫째날부터 보조기구를 이용한 가벼운 체중부하를 시작하며, 환자가 견딜 수 있는 만큼 증가시킨다.
- 수술 후 첫째날에는 다리를 올리고 의자에 앉는다.
- 대퇴사두근을 조절(능동적인 직하지 거상운동) 할 수 있을 때까지 수술받은 다리에 Resting knee extension splint(보조기)를 착용하도록 환자를 격려한다.
④ 통증조절
- 통증은 초기에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체위를 변경하여 조졸한다. 내성이 생기면 비마 역성 진통제로 바꾸기 위해 약물을 점진적으로 감량한다.
- 능동적 굴곡운동 전후 20~30분 동안 얼음주머니를 적용하도록 h한자를 격려한다.
- 어떤 환자에게는 통증을 저하시키기 위해 얼음을 자주 적용하도록 처방할 수 있다.
⑤ 퇴원교육
- 환자는 부분적인 체중부하 제한을 관찰하고, 퇴원 후 약 2개월 동안은 보행 보조기구를 사 용해야 한다.
- 환자는 집에서 능동적 굴곡운동과 직하지 거상운동을 계속해야 한다.
- 환자는 평생동안 수술이나 치과치료를 받기 전에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Ⅷ.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날짜
간호사정
10/21
* SD
“무릎이 아퍼서 잠을 못자.”
“잘 때 다리를 움직이질 못하겠어.”
“가만있으면 좀 덜하지. 근데 움직이면 말도 못해~.”
* OD
- 진단명 : Osteoarthritis of Right Knee
- 통증척도 1~10중 7에 해당
- 밤새 2~3회 깸, 지속적인 동통
- 대부분의 시간을 침대에서 누워계심
- 통증 때문에 다리를 움직이시지 않음
날짜
간호진단
10/21
관절퇴행과 관련된 통증
날짜
간호계획
10/21
목적설정 :
- 환자는 통증이 통증척도 5이하로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호중재 :
- 환측 관절에 온/냉요법을 적용한다.
(이론적 근거: 근육경련, 강직 및 동통을 감소시킨다.)
- 손상된 관절을 휴식한다.
(이론적 근거: 지나친 사용은 증상을 악화시키고 퇴행을 가속화한다.)
- 진통제를 사용한다.
(이론적 근거: 동통을 감소시킨다.)
- 함축되어 있는 심리적 요인 또는 정서적 요인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동통에 대한 환자의 인지와 수용을 변경시키고 동통 한계치를 감 소시킬 것이다.)
- 통증감소와 통증제거를 위해 통증조절법을 이야기한다.
(이론적 근거: 물리치료, 이완요법 등의 방법들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된다.)
날짜
간호수행
10/21
- Ice bag을 Rt. knee에 적용시켰다.
- 통증을 증가시키지 않는 관절범위 내에서의 운동과 휴식을 교육시켰다.
- Ketoprofen을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환자와 함께 통증에 대한 느낌, 통증 요인과 수술 후 통증경감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 물리치료 방법들에 대해 교육하고 권장하였다.
날짜
간호평가
10/21
- 통증이 통증척도 1~10중 5로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 통증으로 인한 수면장애가 조금 나아졌다고 말하였다.
- 진통제로 인해 편해졌다고 말하였다.
-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통증관리방법에 대해 설명을 할 수 있었다.
(2) 간호과정 #2
날짜
간호사정
10/23
HD #4
OPD #1
* SD
“나 빨리 나아야 하는데.. 예전처럼 계속 아프면 어쩌나.. 우리 손녀딸하고 놀러 도 가야 하는데..”
“손녀가 집에서 기다리고 있는데.. 여기서 빨리 가야 하는데..”
“밥도 잘 안넘어가고.. 걱정이 돼”
“수술만을 기다려왔지만.. 마음이 안정이 안돼”
“맘처럼 잘 움직일 수도 없고.. 어쩌면 이렇게 아플까”
* OD
- HD #4, OPD #1
- 불안의 정도 6~7점
- 수술 결과에 대해 불안한 마음이 있음
- 집에 있는 손녀딸 걱정을 많이 하심
- 아침식사를 거의 못하심.
- 수술 후 더 증가한 통증에 대해 걱정하심
날짜
간호진단
10/23
질병, 수술과 관련된 불안
날짜
간호계획
10/23
목적설정
- 환자는 불안에 대해 진정이 되었다고 말한다.
- 환자는 질병과 수술 후 통증이나 운동 가능성의 진행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간호중재
-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 불안의 척도(10기준)를 이용하는 것은 대상자 개인의 느끼는 불안 정도를 알 수 있다.)
-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치료의 목적을 설명해 준다.
(이론적 근거 - 정확한 정보의 제공은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 알게 됨으로써 대상 자에게 불안을 감소시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 불안 완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 적용한다.
(이론적 근거: 이완 요볍, 환경의 변화, 대화 등이 안위증진과 불안 감소에 영향을 준다.)
-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에 대해 사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한다.
(이론적 근거: 유발요인을 해결함으로써 불안이 감소될 수 있다.)
날짜
간호수행
10/23
- 불안의 정도가 4~5임을 확인하였다.
- 질병과 수술에 대한 설명을 해주고 수술 후 간호와 경과에 대한 설명을 해 주었 다.
- 병실을 옮겨 가족과 함께 있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느끼는 감정에 대해 솔직하게 대화를 나누었다.
- 통증완화를 위해 ice bag을 적용하고, 손녀딸의 병원 방문을 제안했다.
날짜
간호평가
10/24
- 마음이 편해졌다고 대상자는 말하였다.
- 손녀딸이 방문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힘이 난다고 말하였다.
- 가족이 옆에 같이 있을 수 있게 되서 잠이 잘 올 것 같다고 말하였다.
- 솔직한 감정을 대상자는 털어놓았다.
Ⅸ.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3, 현문사, 김조자 외, 2003
- 성인간호학 하, 수문사, 서문자 외, 1996
- 성인간호학 하, 전시자 외, 현문사, 1996
-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현문사, 1996
-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최정신, 1997
-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수문사, 이은옥 외, 1988
- 간호진단, 현문사, 한윤복 외, 1995
- 관절염 자가관리. 김영란 외, 정담,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씨그마학회편, 현문사, 1997
- 임상간호 매뉴얼, 수문사, 한윤복 외, 1992
- 진단검사와 간호, 송경애 외, 수문사, 1998
-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현문사,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