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영양3 인터넷생활윤리 하기 싫은 일 하기 전략을 활용한 주체적 디지털 생활 실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영양3 인터넷생활윤리 하기 싫은 일 하기 전략을 활용한 주체적 디지털 생활 실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 1단계: 스마트폰 사용 실태 점검 및 과의존 검사
가. 최근 1주일간 스마트폰 사용 패턴 분석
나. 스마트폰 과의존 검사 실시
다. 사용 실태 분석 및 문제점 정리

■ 2단계: 하기 싫은 일 정하기 (디지털 습관 개선 목표 설정)

■ 3단계: 1주일간 실천 과정 기록 (실천 일지 작성)

■ 4단계: 실천 결과 분석 (디지털 생활 변화 기록)

3. 참고 자료

본문내용

보면 크게 줄었다는 느낌이 안 들이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YouTube 사용 시간은 15시간 27분에서 12시간 40분으로 18.02% 감소했고, Instagram은 10시간 41분에서 7시간 1분으로 34.32%가 팍 줄었고, 네이버는 9시간 55분에서 6시간 50분으로 31.09% 감소했고, 카카오 페이지는 9시간 55분에서 10시간 1분으로 1.01% 증가했지만, 전체적인 사용 시간이 줄어든 만큼 자기 전에 스마트폰을 덜 보게 되어 수면의 질이 개선됐다.
무엇보다 짧은 시간이나마 운동과 청소, 독서를 함께하면서 생활 패턴이 긍정적으로 변화했고 스마트폰을 무음 상태로 해두고 알람을 끄고 활동을 해도 불안해하지 않는 마음 상태에 이르렀다.
초반에는 운동과 청소, 독서가 귀찮았지만, 스마트폰 사용 전에 스트레칭하는 것이 익숙해졌고, 청소하고 책을 펼치는 일이 부담스럽지 않게 느껴졌다. 스마트폰을 보지 않고도 만족감을 느끼는 경험을 했다. 스마트폰의 사용이 줄어든 만큼 더 의미 있는 활동으로 삶을 채워 나갈 자신이 생겨난 것이다. 칼 뉴포트,『디지털 미니멀리즘』,어크로스, 2019
YouTube 사용 전에 10분 스트레칭을 계속 유지할 것이며 산책이던가 가벼운 맨손체조 등의 운동으로 변화를 줘서 질리지 않고 습관이 이어지도록 할 생각이며 자기 전 스마트폰을 켜는 대신 책상 정리 및 방 정돈하는 습관을 유지할 계획이다. 특히 웹소설이나 웹툰을 읽기 전에 종이로 된 책 10페이지 먼저 읽기를 계속 실천하고 싶으며 특히 스마트폰 사용 전 하기 싫은 일을 먼저 실천하는 방식을 유지할 계획이다. 하기 싫은 데 꼭 해야할 일들을 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하는 능력도 키울 수 있어서 더 좋은 것 같다.
이번에는 사용 시간은 6%밖에 줄이지 못했지만, 한 달 뒤쯤 최소 20% 이상은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때쯤이면 다시 스마트폰 과의존 검사를 해볼 생각이다.
3. 참고 자료
애나 렘키,『도파민네이션』,흐름출판사, 2022
한병철,『피로사회』,문학과지성사, 2012
칼 뉴포트,『디지털 미니멀리즘』,어크로스, 2019
안드레아스 크나프, 『스마트폰이 뇌에 미치는 영향』, 갈매나무, 2019
김봉석, 『호모 사피엔스 씨지브이』, 알마, 2018
■ 1단계: 스마트폰 사용 실태 점검 및 과의존 검사
가. <스마트폰 사용실태>
나. <스마트폰 과의존 검사>
■ 3단계: 1주일간 실천 과정 기록
<개선 1주>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3.11
  • 저작시기202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2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