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에 대한 무관세화의 효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언

Ⅱ.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

Ⅲ. 과세상의 문제

Ⅳ. 후생효과 분석

Ⅴ. 결어

본문내용

래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한 인프라의 구축 및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외적으로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전자상거래에 의한 국제무역질서를 형성하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우리의 현재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디지털 무형재의 거래가 이루어졌을 경우의 특징인 무수송비와 무관세를 전제로 하였으며, 거래하는 재화의 탄력성정도에 따른 소비자효용의 증가효과를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그런데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소비자효용을 증가시키는 데는 이 밖에도 여러 변수가 존재하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현실적으로 인터넷 디지털거래가 소비자효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에 있어 각 국가별로 무형재의 탄력적 재화와 비탄력적 재화를 구분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점이다. 이것은 각 국가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재화의 종류와 생산성정도, 소비자의 수요적 측면에서의 대체재나 보완재 유무에 따라 동일 재화라도 각 국가마다 탄력성 정도가 다르며 전통적 거래에서 인터넷 전자상거래로 전환하였을 경우 소비자효용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둘째, 전자상거래를 통한 무형재의 거래가 소비자효용의 증가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전자상거래에 필수적인 인터넷 사용을 위한 인프라의 정도나 개인별 인터넷 검색의 효율성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각 국가별로 이러한 전자상거래를 위한 인프라의 정도나 각 소비자별 인터넷 숙련정도가 본 연구의 소비자효용 분석에 고려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 내지 한계를 보완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인터넷 상거래의 특징을 고려한 소비자효용의 분석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김유찬·홍범교 『전자상거래 시대의 조세정책』, 한국조세연구원, 1998. 12.
정보통신부, 「전자상거래에 관한 국제적 논의 동향과 우리의 과제」, 1998. 11
한국전산원, 『EC 관련 국제협력(APEC, OECD, G7 등) 대응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1998, 6
미국 정부 전자상거래 실무 구룹 제 1차년도 보고서, 1998. 11,
http://www.doc,gov/ ecommerce
ECSG, 「OECD 오타와 각료회의 주요 쟁점 및 대응방안」, 1998. 8
BMWI(Bundesministerium fur Wirtschaft und Technologie), "Elektronischer Geschafts-verkehr", ; 電子商去來지원센타 역, 『電子商去來를 위한 독일 연방정부의 기본구상』, 1998.
Deng-Shing Huang, "Transport Cost and the Welfare Effect of Customs Union", Associate Research Fellow Institute of Economics Academia Sinica, Discussion Paper No. 9604. February 1996.
Smith, Michael D., Joseph. B and Eric. B., "Understanding Digital Markets : Review and Assessment." MIT Press, July 1999,
Soete. Luc and Bas Ter Weel, "Globalization, Tax Erosion and the Internet", MERIT, Maastricht University, October, 1998.
Canada government, "The Canadian Electronic Commerce Strategy", 1999, http://e-com.ic.gc.ca
Japan, Ministry of International of trade and Industry, "Towards the Age of the Digital Economy : For Rapid Progress in the Japanese Economy and World Economic Growth in the 21st Century" , Tokyo : MITI, May, 1997.
http://www.miti.go.jp/intro-e/a228101e.htm
United States, "A Framework for Grobal Electronic Commerce", Washington, D.C., The White House, July 1997.
OECD, "Electronic Commerce: Taxation Framework Conditions", October, 1998.
OECD, "Electronic Commerce: A Discussion Paper on Taxation Issue", September, 1998.
OECD, "Electronic Commerce: The Challenges to Tax Authorities and Taxpayers", November 1997.
OECD.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s of Electronic Commerce : Preliminary Findings and Research Agenda", DSTI/ICCP(98)15/REV2, Ottawa, Canada, 1998.
OECD, "Taxation Principle and Electronic Commerce ", 1998.
OECD, "Measuring Electronic Commerce : International Trade in software", DSTI/ICCP/IE(98)3/FINAL, 1998.
OECD, "Electronic Commerce: Price and Consumer for Three Products : Book Computer Discs, and Software", DSTI/ICCP/IE(98)4/FINAL, Paris, France, 1998.
OECD, "The Role of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s in Advancing Electronic Commerce", DSTI/ICCP/TISP(98)8/FINAL, 1999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3.12.20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