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실학주의 교육
1. 실학주의의 의미
2. 실학주의의 구분
3. 실학주의 교육의 특징
4. 교육사상가
제2절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
1. 계몽주의 교육
2. 자연주의 교육
3. 범애파 교육
4. 교육사상가
제3절 신인문주의 교육
1. 교육의 의미
2. 교육사상가
1. 실학주의의 의미
2. 실학주의의 구분
3. 실학주의 교육의 특징
4. 교육사상가
제2절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
1. 계몽주의 교육
2. 자연주의 교육
3. 범애파 교육
4. 교육사상가
제3절 신인문주의 교육
1. 교육의 의미
2. 교육사상가
본문내용
육학을 과학적 체계를 갖춘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시키려 하였다. 그는 교육의 목적으로 도덕적 품성의 도야를 중시하고, 방법으로는 표상심리학을 기초로 하여 아동에게 확실한 관념을 형성시키고자 하였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도덕성함양에 두었으며 교육은 도덕적 이상을 의식적으로 추구하는 인간을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헤르바트는 도덕적 품성을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기본이념 즉, 내면적 자유의 이념, 완전성의 이념, 호의의 이념, 정의의 이념, 보상 또는 공정의 이념이 서로 결합되어 실현되는 성질이라고 보았다.
⑶ 프뢰벨(F. W. A. Frobel, 1782∼1852)
독일 츄링겐 출신의 프뢰벨은 이벨돈에서 페스탈로치와 만나 2년간 지도를 받았다. 유치원(Kindergarten)의 창시자로도 유명한 그는 1826년 "인간 교육론"을 집필하였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만물 속에 있는 이 신적 생명을 발전시키는데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교육의 임무는 생명내부에서의 발전을 원조하는 일이다. 그는 또한 유희가 아동의 자발적 활동으로서 교육의기초가 되어야 하며, 내적 자기를 외적으로 표현하는 힘을 발전시키는 것이 교육이며 손에 의한 창조는 최고의 표현은 아니지만, 지적, 도덕적, 정신적, 생활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힘의 기초가 된다고 하였다. 오늘날 유아교육의 모든 원리는 전부 그로부터 출발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⑷ 칸트(Kant, 1724∼1804)
철학자로도 유명한 칸트는 교육자로서도 유명한데, 그의 교육사상은 그가 대학에서 강의하기 위해 썼던 강의안을 제자 "링크"가 편집한 "교육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인간성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어린이는 현재뿐 만 아니라 미래에 있어서 가능한 보다 나은 상태에까지 인간성의 이념에까지 합치하도록 교육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다. 그는 교육의 힘을 중요시하는 교육 만능론을 주장하여 인간은 교육에 의해서만 인간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칸트는 자신의의지로 올바른 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율적 목적 선택능력의 육성을 교육의 궁극적인 과제로 보았다. 또한 교육은 인간의 도덕적 품성을 형성하는 인위적인 기술이며, 교육기술에 관한 사고를 교육학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목적은 도덕적 인간의 형성이 되며 교육방법은 이성이 행위의 도덕률이 되기 위한 인식, 판단, 실천의 과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태도의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⑶ 프뢰벨(F. W. A. Frobel, 1782∼1852)
독일 츄링겐 출신의 프뢰벨은 이벨돈에서 페스탈로치와 만나 2년간 지도를 받았다. 유치원(Kindergarten)의 창시자로도 유명한 그는 1826년 "인간 교육론"을 집필하였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만물 속에 있는 이 신적 생명을 발전시키는데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교육의 임무는 생명내부에서의 발전을 원조하는 일이다. 그는 또한 유희가 아동의 자발적 활동으로서 교육의기초가 되어야 하며, 내적 자기를 외적으로 표현하는 힘을 발전시키는 것이 교육이며 손에 의한 창조는 최고의 표현은 아니지만, 지적, 도덕적, 정신적, 생활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힘의 기초가 된다고 하였다. 오늘날 유아교육의 모든 원리는 전부 그로부터 출발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⑷ 칸트(Kant, 1724∼1804)
철학자로도 유명한 칸트는 교육자로서도 유명한데, 그의 교육사상은 그가 대학에서 강의하기 위해 썼던 강의안을 제자 "링크"가 편집한 "교육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교육의 목적을 인간성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으로 보았다. 어린이는 현재뿐 만 아니라 미래에 있어서 가능한 보다 나은 상태에까지 인간성의 이념에까지 합치하도록 교육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다. 그는 교육의 힘을 중요시하는 교육 만능론을 주장하여 인간은 교육에 의해서만 인간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칸트는 자신의의지로 올바른 목적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율적 목적 선택능력의 육성을 교육의 궁극적인 과제로 보았다. 또한 교육은 인간의 도덕적 품성을 형성하는 인위적인 기술이며, 교육기술에 관한 사고를 교육학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목적은 도덕적 인간의 형성이 되며 교육방법은 이성이 행위의 도덕률이 되기 위한 인식, 판단, 실천의 과정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태도의 훈련이라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