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추세를 저지시켜 보려고 한 황제가 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 황제와 콘스탄티누스(306-337) 황제였다. 이들은 로마 로마제국을 동방의 중앙 집권적 전제 정치 체제로 바꿈으로써 약화의 추세를 막아 보려고 하였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황제 숭배를 강화하고 지방행정체계를 개편하여 황제를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체제를 구축하였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수도를 콘스탄티노플로 옮기고 주민의 직업과 신분의 세습을 규정하였다. 또한 그는 313년 기독교를 공인함으로써 제국의 통합을 보다 확고히 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쇠퇴 과정은 근본적으로 저저되지 못하였다. 395년에는 로마가 정식으로 동로마와 서로마로 분리되었고, 마침내 서로마제국은 476년에 게르만의 용병대장에 의해 멸망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정치문화론적 접근방법에 의한 영국의 관료
영국의 민주정치
문화사 요점 표 정리
[법]로마법상 노예의 지위와 경제적 효용성
서양문화사 - 그리스 문화와 기독교
[국제법][국내법]국제법의 기원, 국제법의 개념, 국제법의 특성, 국제법의 타당근거, 국제법...
[로마][로마 성립][로마 발전][법][건축][대표적인 건축물][서커스문화][목욕문화][멸망]로마...
그리스 문화와 기독교 - 최자영. 레포터
서양교육사 요약자료집
[영화비평] <글래디에이터 (Gladiator)>와 <1492 콜럼버스(1492: The Conquest Of Paradise)>...
[프랑스 운동][프랑스 68운동][프랑스 5월혁명][프랑스 사회운동][프랑스 노동조합운동][프랑...
프랑스 대혁명
한국의 문학사상 -『정과 개성의 문학』- 교산 허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