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온(Body temperature)
2. 맥박(pulse)
3. 호흡(respirations)
4. 혈압(blood pressure)
2. 맥박(pulse)
3. 호흡(respirations)
4. 혈압(blood pressure)
본문내용
클수록 혈압이 낮게 나타난다.
※표준 혈압계 cuff 넓이와 길이
·신생아 cuff 넓이 : 3㎝ cuff 길이 : 5㎝
·성인 cuff 넓이 : 13㎝ cuff 길이 : 24㎝
⑨적당한 체위(proper position)
→혈압은 팔을 심장과 평형 위치에서 측정해야 한다. 팔이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서 측정하면 실제보다 낮은 측정치가 나오고 팔이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서 측정하게 되면 실제보다 높은 측정치를 얻게 된다.
⑩호흡 주기와 혈압의 상관관계(correlation with the respiratory cycle)
→혈압이 호기시 보다 흡기시에 더 낮아지고 흡기시 수축압에 과다한 감소가 심장 탐폰 삽입(cardiac tamponade), 수축성 심내막염(constrictive pericarditis), 기흉(emphysema), 저혈성 쇼크(hypovolemic shock)과 폐색전증(pulmonary embolus)이 있는 대상자들에서 일어난다. 호기말(end expiration)에 일관되게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호흡 변화에 따른 측정치에 변화성을 줄인다.
⑪정맥울혈(venous congestion)
→정맥압의 증가는 동맥측 순환으로 다시 전이되어 동맥압이 일시적으로 상승한다.
⑫운동(exercise)
→운동을 하면 혈압이 상승한다.
⑬인종
→흑인들은 백인에 비해 혈압이 높다.
⑭열(fever)
→열이 있으면 혈압이 낮아진다.
3. 측정 부위(site)
·상박(upper extremity)
→혈압은 팔의 상박에 커프를 감고 보통 측정되며 상완동맥에서 청진법이나 촉진법을 통해 측정하며 혈압은 전박에 적당한 크기의 커프를 감아 손목 부위에 있는 요골동맥에서도 청진이나 촉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리(lower extremity)
→슬와(popliteal fossa)동맥에서 청진이나 촉진할 수 있고, 대퇴에서 측정한 수축압이 팔에서 측정한 것보다 보통 10∼40mmHg 더 높다. 후경골 동맥이나 족배동맥에서 청진이나 촉진으로 측정할 수 있다.
4. 혈압 측정
·청진법(auscultation)
→커프에 공기를 배면서 혈류가 통할 때 동맥 위의 청진기로 Korotkoff sounds를 들을 수 있는데 다섯 가지로 구별되는 음을 확인 청취할 수 있다.
Phase 1의 Korotkoff음은 수축압으로 기록되고 이완압은 성인은 phaseⅤ, 어린이는 phase Ⅳ음의 징후로 나타낸다.
5. 보편적인 혈압 측정치 오류의 근원
①실제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
·적당한 cuff크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너무 좁은 커프를 사용했을 때
·커프를 너무 느슨하게 감거나 편평하게 감지 않았을 때
·식후 즉시, 흡연하면서 혹은 방광이 팽창된 상태에서 측정치
·수은 혈압계를 수직으로 세우지 않았을 때
·팔이 심장 높이 보다 낮게 위치하면 혈압이 실제보다 높다
·측정 전에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않고 홀동한 후일 때
·통증이 있을 때
·너무 천천히 공기를 풀어줄 때
②실제 보다 낮게 측정되는 오류
·심장 높이 보다 높게 측정부위를 유지할 때 정수압의 효과가 수축압과 이완압에서 100mmHg 이상 오류를 낼 수 있다
·청진상 결함을 확인하지 못할 때
·측정자의 청력에 결함이 있을 때
·cuff가 너무 넓으면 낮게
·너무 크거나 적은 청진기나 너무 긴 줄의 청진기일 때
·약한 Korotkoff음을 듣지 못할 때
·너무 빠르게 공기를 뺄 때 수축압은 낮으나 이완압은 높다.
③실제보다 높거나 낮은 측정치의 오류
·부정확한 계기(manometer)를 사용
·기구에 결함(밸브나 연결부위)이 있을 때
·수은의 meniscus를 눈높이 수준에서 읽지 않을 때
·너무 빨리 측정하거나 집중이 덜 되었을 때
※표준 혈압계 cuff 넓이와 길이
·신생아 cuff 넓이 : 3㎝ cuff 길이 : 5㎝
·성인 cuff 넓이 : 13㎝ cuff 길이 : 24㎝
⑨적당한 체위(proper position)
→혈압은 팔을 심장과 평형 위치에서 측정해야 한다. 팔이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서 측정하면 실제보다 낮은 측정치가 나오고 팔이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서 측정하게 되면 실제보다 높은 측정치를 얻게 된다.
⑩호흡 주기와 혈압의 상관관계(correlation with the respiratory cycle)
→혈압이 호기시 보다 흡기시에 더 낮아지고 흡기시 수축압에 과다한 감소가 심장 탐폰 삽입(cardiac tamponade), 수축성 심내막염(constrictive pericarditis), 기흉(emphysema), 저혈성 쇼크(hypovolemic shock)과 폐색전증(pulmonary embolus)이 있는 대상자들에서 일어난다. 호기말(end expiration)에 일관되게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호흡 변화에 따른 측정치에 변화성을 줄인다.
⑪정맥울혈(venous congestion)
→정맥압의 증가는 동맥측 순환으로 다시 전이되어 동맥압이 일시적으로 상승한다.
⑫운동(exercise)
→운동을 하면 혈압이 상승한다.
⑬인종
→흑인들은 백인에 비해 혈압이 높다.
⑭열(fever)
→열이 있으면 혈압이 낮아진다.
3. 측정 부위(site)
·상박(upper extremity)
→혈압은 팔의 상박에 커프를 감고 보통 측정되며 상완동맥에서 청진법이나 촉진법을 통해 측정하며 혈압은 전박에 적당한 크기의 커프를 감아 손목 부위에 있는 요골동맥에서도 청진이나 촉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리(lower extremity)
→슬와(popliteal fossa)동맥에서 청진이나 촉진할 수 있고, 대퇴에서 측정한 수축압이 팔에서 측정한 것보다 보통 10∼40mmHg 더 높다. 후경골 동맥이나 족배동맥에서 청진이나 촉진으로 측정할 수 있다.
4. 혈압 측정
·청진법(auscultation)
→커프에 공기를 배면서 혈류가 통할 때 동맥 위의 청진기로 Korotkoff sounds를 들을 수 있는데 다섯 가지로 구별되는 음을 확인 청취할 수 있다.
Phase 1의 Korotkoff음은 수축압으로 기록되고 이완압은 성인은 phaseⅤ, 어린이는 phase Ⅳ음의 징후로 나타낸다.
5. 보편적인 혈압 측정치 오류의 근원
①실제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
·적당한 cuff크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너무 좁은 커프를 사용했을 때
·커프를 너무 느슨하게 감거나 편평하게 감지 않았을 때
·식후 즉시, 흡연하면서 혹은 방광이 팽창된 상태에서 측정치
·수은 혈압계를 수직으로 세우지 않았을 때
·팔이 심장 높이 보다 낮게 위치하면 혈압이 실제보다 높다
·측정 전에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않고 홀동한 후일 때
·통증이 있을 때
·너무 천천히 공기를 풀어줄 때
②실제 보다 낮게 측정되는 오류
·심장 높이 보다 높게 측정부위를 유지할 때 정수압의 효과가 수축압과 이완압에서 100mmHg 이상 오류를 낼 수 있다
·청진상 결함을 확인하지 못할 때
·측정자의 청력에 결함이 있을 때
·cuff가 너무 넓으면 낮게
·너무 크거나 적은 청진기나 너무 긴 줄의 청진기일 때
·약한 Korotkoff음을 듣지 못할 때
·너무 빠르게 공기를 뺄 때 수축압은 낮으나 이완압은 높다.
③실제보다 높거나 낮은 측정치의 오류
·부정확한 계기(manometer)를 사용
·기구에 결함(밸브나 연결부위)이 있을 때
·수은의 meniscus를 눈높이 수준에서 읽지 않을 때
·너무 빨리 측정하거나 집중이 덜 되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