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제4-6차 교육과정 시기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절차
●< 그림 > 가치 갈등의 인지적 해결 절차 (제4-6차교육과정시기)
ꊲ 제7차 교육과정 이후 도덕과 교수․학습의 방향
1. 도덕과 교과서의 구성체제
●<표> 도덕과 교과서 교재의 구성체제 --인지적 측면 위주--1차시
●<표> 도덕과 교과서 교재의 구성체제 --정의적 측면 --2차시
●<표> 도덕과 교과서 교재의 구성체제 --행동적 측면 --3차시
2. 도덕과 수업모형의 새로운 방향
● 1차시 수업 --인지적 측면 중심
● 2차시 수업 --정의적 측면 중심
● 3차시 수업 --행동적 측면 중심
ꊳ 도덕과 수업의 한계와 그 극복을 위한 유의사항
1) 도덕과 수업의 한계점
2) 도덕과 수업의 한계 극복을 위한 제언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절차
●< 그림 > 가치 갈등의 인지적 해결 절차 (제4-6차교육과정시기)
ꊲ 제7차 교육과정 이후 도덕과 교수․학습의 방향
1. 도덕과 교과서의 구성체제
●<표> 도덕과 교과서 교재의 구성체제 --인지적 측면 위주--1차시
●<표> 도덕과 교과서 교재의 구성체제 --정의적 측면 --2차시
●<표> 도덕과 교과서 교재의 구성체제 --행동적 측면 --3차시
2. 도덕과 수업모형의 새로운 방향
● 1차시 수업 --인지적 측면 중심
● 2차시 수업 --정의적 측면 중심
● 3차시 수업 --행동적 측면 중심
ꊳ 도덕과 수업의 한계와 그 극복을 위한 유의사항
1) 도덕과 수업의 한계점
2) 도덕과 수업의 한계 극복을 위한 제언
본문내용
정의 및 행동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따라서 앞으로는 도덕성의 인지적인 측면을 강화시켜 주는 교수·학습 모형 --가치분석모형, 가치명료화모형, 개념분석모형, 집단탐구모형-- 외에도 정의적인 측면과 행동적인 측면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는 역할놀이 모형, 배려 모형, 가정 연계 모형, 봉사 학습 모형, 가상 체험 모형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는 수업절차는 일반적인 것으로 몇몇 학자들이 고심하여 적어놓은 것일 뿐이다. 수업은 실험실 안의 실험처럼 예측 가능하지도 않고 몇 개의 절차로 설명될 수도 없는 일이다. 수업은 교실 안에서 교사와 학생이 만나 이루어지는 것이다. 초등학교 교실의 구체적인 상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여러 절차들 중에서 구체적인 어떤 것을 선택.적용하는 일은 교사의 자율성과 책임하에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문헌 ----------------------------------------------
1. 남궁달화, 도덕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1996
2.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
3.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둘째, 따라서 앞으로는 도덕성의 인지적인 측면을 강화시켜 주는 교수·학습 모형 --가치분석모형, 가치명료화모형, 개념분석모형, 집단탐구모형-- 외에도 정의적인 측면과 행동적인 측면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수·학습 모형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는 역할놀이 모형, 배려 모형, 가정 연계 모형, 봉사 학습 모형, 가상 체험 모형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는 수업절차는 일반적인 것으로 몇몇 학자들이 고심하여 적어놓은 것일 뿐이다. 수업은 실험실 안의 실험처럼 예측 가능하지도 않고 몇 개의 절차로 설명될 수도 없는 일이다. 수업은 교실 안에서 교사와 학생이 만나 이루어지는 것이다. 초등학교 교실의 구체적인 상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고 여러 절차들 중에서 구체적인 어떤 것을 선택.적용하는 일은 교사의 자율성과 책임하에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문헌 ----------------------------------------------
1. 남궁달화, 도덕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1996
2.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
3.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추천자료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특성, 국어(국어과)교육과정의 목적,...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의미와 이론적 배경,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특징과 수...
학교통일교육의 개념, 학교통일교육의 현황, 학교통일교육의 인식도, 학교통일교육과 도덕교...
초등6)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 5.함께 지키자 (도덕66~73 생길 64~68 (1/3)차시) : 법...
초등6)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 4. 우리학교 우리고장 (도덕57-62쪽 (2/3)차시) : 학교...
초등6)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 4. 우리학교 우리고장 (도덕 63~65쪽 ( 3/3 )차시, 생활...
초등6)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 8. 통일로 가는 길 (도덕(2/4)차시) : 통일의 필요성을 ...
5학년)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수학 96~99쪽, 익힘책 110~113쪽) 개념 형성 수업 모형>...
5학년) <(수락)과 교수-학습 과정안 (수학책 96~98쪽) 원리 탐구 수업 모형> 7. 평면도형의 ...
5학년)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45 (5-6/6)차시) 창의적 수업 모형> 5. 즐거운 상상 - ...
초등6)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93-94 ( 6/8 )차시) 기능 중심 수업 모형> 3. 경쟁활동 ...
초등6) <(영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1/6 차시) 듣기 말하기 수업 모형> 7. My Father Is a P...
초등6)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체육92쪽 (5/8)차시) 게임 수업 모형> 3. 경쟁활동 - 규...
초등4)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듣말쓰126-129 ( 3/6 )차시> 7. 넓은 세상 많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