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orndike의 실험과 시행착오학습
2. 학습의 3법칙
(1)효과의 법칙
(2)연습의 법칙
(3)준비의 법칙
3. Thorndike 연구의 의의
(1) 효과의 법칙
(2) 연습의 법칙
(3) 준비의 법칙
4. 교육적 적용 및 평가
2. 학습의 3법칙
(1)효과의 법칙
(2)연습의 법칙
(3)준비의 법칙
3. Thorndike 연구의 의의
(1) 효과의 법칙
(2) 연습의 법칙
(3) 준비의 법칙
4. 교육적 적용 및 평가
본문내용
수 있다고(연습의 법칙) 주장하였다. Thorndike는 또 학습지도의 개선을 위하여 학습동기의 중요성을 최초로 제기하였고 실제 생활과 관련있는 학습내용을 가르쳐야 할을 강조하였으며 그의 유사성의 법칙을 통해 학습의 전이를 소개하였다. Thorndike는 교육에 대한 그의 지대한 공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과 논쟁점도 남겼다. 문제점으로는 학습자의 정신 내적 과정을 다소 무시하였고 학습에 있어서의 목표와 흥미의 역할을 과소평가 하였으며 이해와 통찰에 의한 학습을 간과했다는 점이다.
또 현대 학습이론에 남긴 쟁점으로는 행동 다음에 오는 결과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가 과연 어떤 것이냐 하는 것이다. 이는 현대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행위 다음에 주어지는 결과가 S-R사이의 결합을 자동적이고 기계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보기 힘들다는 말이다. 현대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이에 대하여 두 가지 가설을 내놓고 있는데 그것은 연습가설과 정보가설이다. 연습가설은 행위 다음에 주어지는 결과가 학습동기 차원에서 고무가치가 클 때 연습하는 시간과 노력을 더 투자하기 때문에 학습이 증진되고 고무가치가 작을 때는 연습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이 억제된다고 보는 가설이다. 정보가설은 행위 다음에 주어지는 결과가 행위의 옳고 그름을 알려주는 정보의 역할을 하여 학습자의 학습계획과 학습과정에 도움을 준다는 가설이다.
참고문헌 ----------------------------------------------
1. 라동진(1983), 교육심리학, 서울:배영사.
2. 임승권(1993),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학지사.
또 현대 학습이론에 남긴 쟁점으로는 행동 다음에 오는 결과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가 과연 어떤 것이냐 하는 것이다. 이는 현대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행위 다음에 주어지는 결과가 S-R사이의 결합을 자동적이고 기계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보기 힘들다는 말이다. 현대 학습이론의 관점에서 이에 대하여 두 가지 가설을 내놓고 있는데 그것은 연습가설과 정보가설이다. 연습가설은 행위 다음에 주어지는 결과가 학습동기 차원에서 고무가치가 클 때 연습하는 시간과 노력을 더 투자하기 때문에 학습이 증진되고 고무가치가 작을 때는 연습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이 억제된다고 보는 가설이다. 정보가설은 행위 다음에 주어지는 결과가 행위의 옳고 그름을 알려주는 정보의 역할을 하여 학습자의 학습계획과 학습과정에 도움을 준다는 가설이다.
참고문헌 ----------------------------------------------
1. 라동진(1983), 교육심리학, 서울:배영사.
2. 임승권(1993),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