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배경
2. 수준별 학습단계의 편성기준
3.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
4. 실제 사례에서 보여주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처방안
2. 수준별 학습단계의 편성기준
3.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
4. 실제 사례에서 보여주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처방안
본문내용
보충형 문제를 풀게 될 경우 난이도 차이로 인한 과정은 무시되고 보충형이 심화형보다 더 나은 성적을
받게 되는 문제를 초래한다고 하여 수학상반 수학하반 일률적으로 평가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김삼진(울산 대송고 교사)
2) 대처 방안
①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따라 신설과목 및 다양한 선택과목의 수요에 대응할 전공교사의 확보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② 학생들의 교과목 선택에 따른 다양한 학습 집단(예컨대 과목별 선택인원 30명, 60명, 70명인 경우)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적정선의 소요량 파악과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③ 대학입시와 관련된 인문계 고등학교의 특성상 수준별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대학 입시제도 개선 방안이 미리 예고되어야 할 것이다.
④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지원할 시,도 교육청 차원의 교육과정 전문 지원 부서 신설, 교육과정 업무 전담교사의 양성이 필요하다.
⑤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도록 교사들 간의 자생적인 연구 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관련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받게 되는 문제를 초래한다고 하여 수학상반 수학하반 일률적으로 평가를 적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김삼진(울산 대송고 교사)
2) 대처 방안
① 과목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따라 신설과목 및 다양한 선택과목의 수요에 대응할 전공교사의 확보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② 학생들의 교과목 선택에 따른 다양한 학습 집단(예컨대 과목별 선택인원 30명, 60명, 70명인 경우)을 수용할 수 있는 교육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적정선의 소요량 파악과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③ 대학입시와 관련된 인문계 고등학교의 특성상 수준별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대학 입시제도 개선 방안이 미리 예고되어야 할 것이다.
④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지원할 시,도 교육청 차원의 교육과정 전문 지원 부서 신설, 교육과정 업무 전담교사의 양성이 필요하다.
⑤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도록 교사들 간의 자생적인 연구 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관련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