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의 특수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학교사회의 특수성
(1) 존재보장
(2) 목적(목표)성의 결여
(3) 역할의 상호의존관계 미약
(4) 구성원 간의 문화적 갈등
(5) 통제구조의 이상과 현실간의 문제
(6) 역할의 미가시성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 교사의 역할은 교과를 학생에게 가르치고 학생의 활동을 지도하는 것으로 흔히 규정하는데 이 두 역할은 교과지도와 생활지도로 표현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역할이 모두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성질이 못된다.
가) 교사의 지위와 역할
ⅰ) 사회적 지위
사회적 위치에 부여되는 기대이며 사회체제 내에서 타작업과 비교적으로 대 응되는 위치이다. 계층, 경쟁, 교육, 권력, 위신 등이 고려되고 이러한 순위 구분에 따라 교사의 사회적 지위를 말할 때는 타직업과의 상대적 위치를 뜻 한다.
ⅱ) 사회적 역할
지위에 합당한 업무를 뜻하며, 대개 한 개인의 책무인식과 주위의 기대가 합쳐져서 이루어진다. 교사 역할의 성격과 기대체계는 도덕적 훈련, 교과목 교수, 사회성 훈련, 가정생활교육, 사회 발전교육, 시민교육 등의 기본적 역 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학급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나) 학급을 효과적으로 통제 운영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Redle, Wathenberg)
① 사회의 대표자(Representative of the Society)
도덕적인 교훈을 전달한다.
② 판정자(Judge) : 점수와 석차를 정한다.
③ 자원(Resource) : 지식과 기술을 가진다.
④ 조력자(Helper) : 문제를 상담한다.
⑤ 심판(Referee) : 학생간의 분쟁을 조정한다.
⑥ 탐정(Detective) : 규칙위반자를 찾는다.
⑦ 동일시의 대상(Object of Identification)
학생이 모방할만한 특성을 지닌다.
⑧ 불안의 억제자(Limiter of anxiety) : 학생의 충동조절을 돕는다.
⑨ 집단의 지도자(Leader) : 집단의 분위기를 조성한다.
자아의 보존자(Supporter of self) : 자신감 형성을 돕는다.
부모의 대리인(Surrogate of Parents)
학생이 주목할 만한 것을 명령한다.
적대감의 표적(Target of hostility)
성인들 때문에 생긴 좌절감으로 인해 형성된 공격성의 대상이다.
친구(Friend) : 학생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다.
애정의 대상(Object of affection) : 학생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
Ⅲ. 결 론
학교라는 사회도 구성원들이 모여 상호작용하는 지속적인 관계를 갖는다는 의미에서 비록 작은 단위이기는 하지만 하나의 사회체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는 구성원이 다양한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면서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게 되는 사회, 문화적 복합성을 가지고 있다.
학교는 큰 테두리의 사회 속에 있으면서 자체적으로 하나의 독자적인 특수한 사회체계와 문화체계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사회와 같은 공통성을 갖고도 있지만 다른 사회와는 구분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학교사회만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학교사회의 성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야 하겠다.
참고 문헌
김병성(1988), 교육사회학, 서울 : 양서원
박용헌(1977), 학교사회, 서울 : 배영사
임창재(2001), 교육학, 서울 : 형설출판사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4.06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