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노인간호학 실습_추간판탈출증_사례보고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노인간호학 실습_추간판탈출증_사례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환자 사정
1) 일반적 사항
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3) 신체사정

2. 문헌고찰
1) 추간판 탈출증 정의
2)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 및 병태 생리
3)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
4)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적 검사
5) 추간판 탈출증의 치료 및 간호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변의 양상을 사정하여 그에 따라 필요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4)
2. 식이와 수분 섭취의 양상에 따른 배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4),(5)
치료적
대상자에게 하루에 1.5L 정도의 수분섭취를 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에게 배변 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1. 수분을 섭취함으로써 변의 굳기가 부드러워지게 하여 배변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함이다.(3),(4)
2. 배변은 민감한 부분이므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함이다. (4),(5)
교육적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이와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장 마사지법 및 스트레칭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 식이와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실천에 도움을 주고 배변 활동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3),(4),(5)
2. 장 마사지를 함으로써 장운동을 촉진 시키고 스트레칭으로 배변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4)(5)
2. 부동으로 인한 성인 욕창의 위험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수행 및 이론적 근거
평가
Subjective data
(주관적 자료)
기저귀 착용 후부터 엉덩이에 땀이 차 불편하다고 호소
4.29 관장 이후 묽은 변이 지속적이라 호소
다리가 안 움직여 자세 변경이 힘들다 호소함
엉덩이가 아프다고 말함
몸에 기운이 없다고 호소
O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
- 욕창 위험도 사정(Braden Scale): 13점
(욕창 저위험군 대상자)
대변 조절이 어려워 기저귀를 착용함
좌약 사용과 관장을 시행함
Loose stool 100mg의 묽은 변을 배설함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함
다리가 안 움직임
둔부의 발적과 상처가 보임
목적(장기적)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다.
기대되는 결과(단기적)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피부의 발적과 상처가 호전된다.
대상자는 5.3일까지 추가적인 피부 손상이 없다.
진단적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피부의 발적과 상처가 호전된다. (달성)
4.28 / 5.2 상처 dressing 시 발적과 상처 부위가 많이 호전됨을 확인함
5.3 발적만 남아 있음을 확인함
2. 대상자는 5월 3일까지 기저귀 발 진이 나타나지 않는다. (달성)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다. (미달성)
퇴원 시 욕창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없음
5.3일 기저귀 교체 시 확인 결과 피부 상태가 호전됨을 확인함
매일 대상자의 욕창 발생 부위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특히 뼈 돌출부위를 주의 깊게 관철한다.
매일 대상자의 기저귀 상태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1. 피부 상태 사정으로 욕창 부위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
2. 기저귀의 습한 상태는 욕창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저귀는 압력으로 인해 피부의 상태변화를 가져와 욕창이 발생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2)
3. 적절한 영양 섭취 및 영양 상태는 상처치유를 촉진하고, 욕창 발생을 예방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2)
치료적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시행한다.
욕창이 잘 발생할 수 있는 부위(뼈 돌출부위)에 쿠션 및 담요를 적용해 압력을 줄인다.
발진 부위에 보습제(로션 등)를 발라준다.
침상 머리를 30° 이상 높이지 않는다.
1. 지속적인 체위 변경을 통해 욕창 발생의 요인인 마찰 및 응전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욕창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2)
2. 쿠션이나 담요를 적용하여 욕창이 잘 발생할 수 있는 부위의 압력을 줄이기 위함이다. (2)
3. 노인들의 건조한 피부에는 습도가 높은 환경이 건조한 피부를 관리하는데 효과적임, 보습제는 건조한 피부 증상을 조절하고 피부를 정상 상태로 유지 시킨다. (1),(3)
4. 응전력으로 인한 욕창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2)
교육적
2시간마다 체위 변경, 피부 관찰, 마사지의 중요성을 교육함
보호자에게 침구류는 건조하고 청결하게 그리고 주름살 또는 잡티가 없게 관리해야 함을 교육한다.
1. 지속적인 체위 변경을 통해 욕창 발생의 요인인 마찰 및 응전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욕창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2)
2. 침구류가 습하고 주름지면 습기와 주름으로 인해 욕창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2)
IⅤ. 참고문헌
문헌 고찰
유양숙 외 3명(2022), 성인간호학(하권), p526~545, 현문사
[병원간호사회] 경추의 구조와 기능
http://www.khna.or.kr/homecare_new/05_muscu/spinal03.php
3. [병원간호사회] 경추 추간판탈출증
http://www.khna.or.kr/homecare_new/05_muscu/spinal03.php
4. [대한정형외과학회] 목 디스크
https://www.koa.or.kr/info/index_2_1.php
사례보고서
(1) 유양숙 외 3명(2022), 성인간호학(상권), 285~289, 현문사
(2) 양선희 외 4명((2020), 기본간호학2, 383~412, 392~393, 현문사
(3) 김순옥 외 4명(2022), 노인간호학 149~`150`, 신광
(4) 유양숙 외 3명(2022), 성인간호학(하권), p396~397, 현문사
(5) [병원간호사회] 변비
http://www.khna.or.kr/homecare_new/06_diges/gastro07.php
사진 출처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8537 약학 정보원 리리카캡슐 75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061500002 약학 정보원 울트라셋이알세미서방정 325mg/37.5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1890A0146 약학 정보원 오메드정 20m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MMMMM1869 약학 정보원 하이네콜정 25mg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25.04.20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9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