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1
1. 위의 구조와 특성1
2. 병태생리1
3. 원인2
4. 증상2
5. 진단검사2
6. 치료2
7. 간호3
Ⅱ. 사례보고서4
1. 간호정보조사지4
1) 일반정보4
2) 건강과 관련된 정보5
3) 진단검사 6
4) 임상검사8
5) 약물9
2. 간호과정11
1) 간호진단목록11
2) 간호과정11
Ⅲ. 참고문헌13
1. 위의 구조와 특성1
2. 병태생리1
3. 원인2
4. 증상2
5. 진단검사2
6. 치료2
7. 간호3
Ⅱ. 사례보고서4
1. 간호정보조사지4
1) 일반정보4
2) 건강과 관련된 정보5
3) 진단검사 6
4) 임상검사8
5) 약물9
2. 간호과정11
1) 간호진단목록11
2) 간호과정11
Ⅲ. 참고문헌13
본문내용
골반연조직염 포함), 세균성 패혈증,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 뼈 및 관절감염증, 임질, 복부 및 부인과 외과 수술 후 감염방지
빈혈, 혈소판감소, 호산구증가, 적혈구감소, 림프구증가, 단핵구증가, 아나필락시스반응, 과민증, 경련, 어지러움, 졸림, 진정, 일시적 미각변화, 두통, 설사. 구토, 위막성 급성전신 발진 농포증
유니온아미카신주
IV-qd-250mg
적응증
- 패혈증, 기관지확장증(감염 시), 폐렴, 폐농양, 중추신경계감염증(수막염 등), 골 및 관절감염증, 화상 및 수술 후 감염증, 복막염, 피부 및 연조직의 중증감염증, 중증 복합감염 및 재발성 요로감염증
눈근육 마비, 드문 설사, 구역, 구토, 드문 백혈구 감소, 호산구 증가, 과립구 감소, 급성 신부전 등의 중증 신장애, 관절통, 세균 및 진균의 중복감염, 일과성 두통, 장기간 혹은 반복투여 시 아구창, 외음부 질염
튜란트과립
PO-tid-200mg
- 이런 질환 객담배출곤란 시 :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후두염, 부비동염, 낭성섬유증
드물게 구역, 구토, 구내염, 가슴쓰림, 설사,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두통, 이명, 기관지경련, 빈맥, 고혈압
모타리움
PO-tid-
1mg/kg
- 오심, 구토 증상의 완화
졸음, 두통, 유즙분비과다 등
중외엔에스주사액
IV-qd-100ml
-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 발열, 주사부위의 감염, 국소통증 또는 반응, 정맥자극, 주사부위로부터 이르는 정맥혈전증 또는 정맥염, 혈관밖유출, 과다혈량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2.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잦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2) 간호과정
#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보호자 “어제 저녁부터 점점 열이 났어요.”
“이마가 뜨거워요.”
O : - 진단명: 급성위장염(AGE, acute gastroenteritis)
- V/S (10/8) BP: 95/57, P: 110회/분, R: 24회/분, BT: 38.4°c
- 통증척도: abdomen (LLQ) 매우 아프다 (간헐적)
- 환아가 얼굴을 찡그리는 모습을 보임.
- vomiting 2회/일 나타남.
- diarrhea 3회/일 나타남.
- WBC 14.2 ▲
- Neutrophil 83.4 ▲
- Lymphocyte 14.3 ▼
- CRP 1.45 ▲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체온이 정상 범위로 돌아온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 체온이 37.8℃ 이하로 내려간다.
2. 보호자는 2일 이내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고체온의 증상(이마 열감, 피부발적, 오한)을 사정한다.
3. 처방에 따라 해열제나 항생제를 투여한다.
4. 보호자에게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교육한다.
5. 보호자에게 환아가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야 함을 교육한다.
6.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1. 활력징후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기본적인 지표이므로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2. 체온이 상승하면 피부에 발적이 나타나고 체온조절 기전으로 인해 오한이 나타날 수 있다.
3.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통증을 해소할 수 있다.
4. 증상과 징후를 앎으로써 보호자가 불안을 줄일 수 있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5. 고체온으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6. 자극에 민감함으로 조용하고 너무 밝지 않은 환경을 만들어 주면 편안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활력 징후를 측정했다. ( 체온 위주 )
일자
시간
체온
10/8
10:20
38.4
13:00
37.8
17:00
36.8
20:00
37.9
21:00
38.2
23:00
37.6
2. 고체온의 증상(이마 열감, 피부발적, 오한)을 사정했다.
- 발적, 열감호소,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이 있는지 사정함.
호흡양상, 빈맥, 오한 등이 있는지 사정함.
3. 처방에 따라 해열제나 항생제를 투여했다.
- 이부서스펜시럽 15ml, 세토펜현탁약 15ml
썰바신주 750mg, 유니온아미카신주 250mg
4. 보호자에게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교육했다.
- 발적, 열감호소,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을 설명함.
5. 보호자에게 환아가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야 함을 교육했다.
- 고체온으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고 설명하였고 보호자 이해함.
6.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정을 취하도록 했다.
너무 밝지 않게 하였으며 조용히 하여 자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병실 문을 닫음.
평가(Evaluation)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체온이 37.8℃ 이하로 내려간다. (달성)
- (10/8 10:20) BT: 38.4℃ → (10/8 23:00) BT: 37.6℃
2. 보호자는 2일 이내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달성)
-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인 발적, 열감호소,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을 설명함.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체온이 정상 범위로 돌아온다. (달성)
(10/8 10:20) BT: 38.4℃ → (10/10 13:00) BT: 37.0℃
퇴원 시 체온이 37.0℃로 정상 범위에 있어 목표 달성함.
Ⅲ. 참고문헌
이수연 외(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수문사
2.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제2판), 현문사
3.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 1 · 2, 수문사
4. 드럭인포 (약품검색)
5. 약학정보원 (약품검색)
5.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빈혈, 혈소판감소, 호산구증가, 적혈구감소, 림프구증가, 단핵구증가, 아나필락시스반응, 과민증, 경련, 어지러움, 졸림, 진정, 일시적 미각변화, 두통, 설사. 구토, 위막성 급성전신 발진 농포증
유니온아미카신주
IV-qd-250mg
적응증
- 패혈증, 기관지확장증(감염 시), 폐렴, 폐농양, 중추신경계감염증(수막염 등), 골 및 관절감염증, 화상 및 수술 후 감염증, 복막염, 피부 및 연조직의 중증감염증, 중증 복합감염 및 재발성 요로감염증
눈근육 마비, 드문 설사, 구역, 구토, 드문 백혈구 감소, 호산구 증가, 과립구 감소, 급성 신부전 등의 중증 신장애, 관절통, 세균 및 진균의 중복감염, 일과성 두통, 장기간 혹은 반복투여 시 아구창, 외음부 질염
튜란트과립
PO-tid-200mg
- 이런 질환 객담배출곤란 시 : 급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후두염, 부비동염, 낭성섬유증
드물게 구역, 구토, 구내염, 가슴쓰림, 설사,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두통, 이명, 기관지경련, 빈맥, 고혈압
모타리움
PO-tid-
1mg/kg
- 오심, 구토 증상의 완화
졸음, 두통, 유즙분비과다 등
중외엔에스주사액
IV-qd-100ml
-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 발열, 주사부위의 감염, 국소통증 또는 반응, 정맥자극, 주사부위로부터 이르는 정맥혈전증 또는 정맥염, 혈관밖유출, 과다혈량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2.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3. 잦은 설사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2) 간호과정
#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 과정
내용
간호사정(Assessment)
S : 보호자 “어제 저녁부터 점점 열이 났어요.”
“이마가 뜨거워요.”
O : - 진단명: 급성위장염(AGE, acute gastroenteritis)
- V/S (10/8) BP: 95/57, P: 110회/분, R: 24회/분, BT: 38.4°c
- 통증척도: abdomen (LLQ) 매우 아프다 (간헐적)
- 환아가 얼굴을 찡그리는 모습을 보임.
- vomiting 2회/일 나타남.
- diarrhea 3회/일 나타남.
- WBC 14.2 ▲
- Neutrophil 83.4 ▲
- Lymphocyte 14.3 ▼
- CRP 1.45 ▲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Nursing goals)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체온이 정상 범위로 돌아온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 체온이 37.8℃ 이하로 내려간다.
2. 보호자는 2일 이내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Nursing plans)
계획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2. 고체온의 증상(이마 열감, 피부발적, 오한)을 사정한다.
3. 처방에 따라 해열제나 항생제를 투여한다.
4. 보호자에게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교육한다.
5. 보호자에게 환아가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야 함을 교육한다.
6.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1. 활력징후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알려주는 기본적인 지표이므로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2. 체온이 상승하면 피부에 발적이 나타나고 체온조절 기전으로 인해 오한이 나타날 수 있다.
3. 열을 내리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통증을 해소할 수 있다.
4. 증상과 징후를 앎으로써 보호자가 불안을 줄일 수 있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다.
5. 고체온으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6. 자극에 민감함으로 조용하고 너무 밝지 않은 환경을 만들어 주면 편안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활력 징후를 측정했다. ( 체온 위주 )
일자
시간
체온
10/8
10:20
38.4
13:00
37.8
17:00
36.8
20:00
37.9
21:00
38.2
23:00
37.6
2. 고체온의 증상(이마 열감, 피부발적, 오한)을 사정했다.
- 발적, 열감호소,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이 있는지 사정함.
호흡양상, 빈맥, 오한 등이 있는지 사정함.
3. 처방에 따라 해열제나 항생제를 투여했다.
- 이부서스펜시럽 15ml, 세토펜현탁약 15ml
썰바신주 750mg, 유니온아미카신주 250mg
4. 보호자에게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교육했다.
- 발적, 열감호소,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을 설명함.
5. 보호자에게 환아가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야 함을 교육했다.
- 고체온으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적 차원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고 설명하였고 보호자 이해함.
6.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정을 취하도록 했다.
너무 밝지 않게 하였으며 조용히 하여 자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병실 문을 닫음.
평가(Evaluation)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일 이내 체온이 37.8℃ 이하로 내려간다. (달성)
- (10/8 10:20) BT: 38.4℃ → (10/8 23:00) BT: 37.6℃
2. 보호자는 2일 이내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달성)
- 고체온의 증상과 징후인 발적, 열감호소, 안절부절못함, 불안 등을 설명함.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체온이 정상 범위로 돌아온다. (달성)
(10/8 10:20) BT: 38.4℃ → (10/10 13:00) BT: 37.0℃
퇴원 시 체온이 37.0℃로 정상 범위에 있어 목표 달성함.
Ⅲ. 참고문헌
이수연 외(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수문사
2.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제2판), 현문사
3.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 1 · 2, 수문사
4. 드럭인포 (약품검색)
5. 약학정보원 (약품검색)
5.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추천자료
[아동간호학]급성위장염(AGE), 급성인후두염(APT) case study
소아과 실습 급성 위장염(AGE), 구내염(stomatits)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급성위장염 케이스 [AGE CASE STUDY]
급성위장염(AGE)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급성 세기관지염 케이스급성 세기관지염 간호과정급성 세기관지염 간호...
(A+받음)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위장염 case study
아동실습케이스 - AGE(급성위장염) A+ 자세한 간호사정 및 병태생리, 간호진단 7개
아동간호학실습 - 급성 위장염 A+ !!!!!!!!!!!!!!!!!!!!!!!!!!!
아동간호학실습 NICU(신생아중환자실) 케이스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간호진단 5개+간호...
아동간호학실습 Case study(AGE, Acute Gastroenterit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