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 방법을 행동과학적 결과에 의해 재구성해야 한다고 했는 데,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행동의 유형에 대해 행동과학자들, 특히 심리학자들의 견해 가 일치되지 않고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3) 재건주의자들은 새로운 민주사회의 질서를 강조하면서 수업과정에서 교사는 중립적이며, 객관적인 입장을 취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실제에 있어서 교사는 어떤 원리나 자신의 신념을 이야기할 때 객관적인 입장에서 가르칠 수 없으며 그들의 신념을 학생들이 받아들이도록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재건주의자는 어느 정도의 주입식 교육이 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는 한 그것은 민주주의 원칙에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4) 오늘과 같은 다원화 사회에서 정치적 이념과 국가적 이익을 초월한 평등교육의 실천이란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재건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의 힘을 과대하게 신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5) 재건주의가 행동과학적인 지식과 방법을 강조하는데 비해서 영혼적인 면을 소홀히 하는 감이 없지 않다. 인간은 행동적 존재이고, 영혼적 존재라는 이원구조임을 이해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병성 외 8인 (1997), 「교육학총론」 양서원
김정환·강선보 공저 (1998), 「교육철학」 박영사
조경원·이기숙·오욱환·이귀윤·오은경 공저 (2001), 「교육학의이해」이화여대 출판부
권상길·김흔숙·이기영 공저 (2000), 「교육학개론」학지사
강기수 (1998), 「교육사상사」세종출판사
노상우 (1998), 「교육의 역사와 사상」교육과학사
신득렬 (2000), 「교육사상사」학지사
3) 재건주의자들은 새로운 민주사회의 질서를 강조하면서 수업과정에서 교사는 중립적이며, 객관적인 입장을 취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실제에 있어서 교사는 어떤 원리나 자신의 신념을 이야기할 때 객관적인 입장에서 가르칠 수 없으며 그들의 신념을 학생들이 받아들이도록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재건주의자는 어느 정도의 주입식 교육이 될 수밖에 없고, 이렇게 되는 한 그것은 민주주의 원칙에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4) 오늘과 같은 다원화 사회에서 정치적 이념과 국가적 이익을 초월한 평등교육의 실천이란 어디까지나 이상론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재건주의 교육철학은 교육의 힘을 과대하게 신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5) 재건주의가 행동과학적인 지식과 방법을 강조하는데 비해서 영혼적인 면을 소홀히 하는 감이 없지 않다. 인간은 행동적 존재이고, 영혼적 존재라는 이원구조임을 이해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병성 외 8인 (1997), 「교육학총론」 양서원
김정환·강선보 공저 (1998), 「교육철학」 박영사
조경원·이기숙·오욱환·이귀윤·오은경 공저 (2001), 「교육학의이해」이화여대 출판부
권상길·김흔숙·이기영 공저 (2000), 「교육학개론」학지사
강기수 (1998), 「교육사상사」세종출판사
노상우 (1998), 「교육의 역사와 사상」교육과학사
신득렬 (2000), 「교육사상사」학지사
추천자료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7차 교육과정의 10학년 사회교과서의 단원체제
[제7차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7차교육과정)법과사회
현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사회과 영역의 교과서 재구성하기
사회과 7차 교육과정 분석과 경제 교과서 분석
사회과 7차 교육과정과 모의수업 연구
7차 교육과정 시안 사회생활영역
[STS]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의 의미, 구성요소, 특징,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
표준교육과정(사회관계, 의사소통, 신체운동, 예술경험, 자연탐구, 기본생활 영역)에 의한 보...
한국 교육과정의변천 근대이전(원시사회교육제도)
교육학 개론 {교육의 이해, 교육의 역사적 기초, 교육의 철학적 기초, 교육의 심리적 기초, ...
드리븐의 규범교육과 파슨스의 사회학적 관점 그리고 잠재적 교육과정을 활용한 학교교육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