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인의 어린 시절
2. 신경림 소개
3. 신경림의 문학세계
2. 신경림 소개
3. 신경림의 문학세계
본문내용
가 비극적 삶의 종적인 면에 집착하고 있는 것은 단지 그 사실을 보여주기 위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신의 처지와 별반 차이가 없는 현실의 압력을 맞서 견디며, 보다 나은 미래로 나아가려는 삶의 추구와 전망을 독자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터득할 수 있도록 시인 자신이 용기와 격려를 줄뿐만 아니라 그 작업에 대한 굳은 확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경림 시의 시적 공간이 삶의 종적인 면을 보여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면. 작품의 구조적 측면에서는 삶의 횡적인 측면에 더욱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듯하다. 그의 시의 문제가 시종일관 민중언어에 무르녹아 있는 철학성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거기에 기초하며, 평이한 문맥, 한자 배제, 해체되지 않은 관념성을 특히 경계하여 그것을 극적 장면으로 처리하는 방법의 실천 등에서 우리는 자기가 살아가고 있는 고향의 언어로써 언문일치의 시를 성취해 가는 시인에 대한 신뢰를 느낀다.
그의 시가 나타내는 형식적 특성은 연 구분이 없는 비연시를 비교적 선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요의 보급과 민요시 운동에 적극적 관심과 활동을 펼쳐가던 시기에 이르러 정형률의 구획이 지어지는 연 구분 시를 차츰 채택하게 된다. 이때 그는 외재율의 가락을 집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형태적 간결성을 새로이 체득하게 되었고 이 간결성은 그 이후의 시작품들에서 다시 시도하고 있는 비연 형태에서 매우 중요한 힘으로 작용한다.
한 시인의 시작품과 시집이 지니는 의미야말로 우리들의 과거와 현재의 삶이 파악되는 포괄적인 범주이다. 의미는 과거를 알려주고, 가치는 현재의 시간으로 직접 이어지며, 목적은 미래의 평화, 안정, 행복 따위의 미덕들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인간의 삶은 시인의 표현을 통해서 그 흐름을 일단 멈추게 되고, 시인은 모든 관찰자로서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표현과 또 거기에 깃들어 있는 시대정신을 탐구와 성찰의 유익한 재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표현, 그것은 우리들의 삶을 새롭게 재형성하고, 빈약한 세계를 풍요롭게 만들어 간다.
우리는 신경리을 통해서 우리시대 시인들의 올곧고 참다운 시정신의 한 전형을 만날 수 있으며, 시적 진실의 올바른 좌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구중서,백낙청,염무웅, <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 비평사, 1995.
2) 이동순, <<신경림論>>, <국어국문학연구>,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제19호.
3) 한혜선, <그물코 한국문학 ④>, 도서출판 풀빛, 1995.
신경림 시의 시적 공간이 삶의 종적인 면을 보여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면. 작품의 구조적 측면에서는 삶의 횡적인 측면에 더욱 큰 비중을 두고 있는 듯하다. 그의 시의 문제가 시종일관 민중언어에 무르녹아 있는 철학성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거기에 기초하며, 평이한 문맥, 한자 배제, 해체되지 않은 관념성을 특히 경계하여 그것을 극적 장면으로 처리하는 방법의 실천 등에서 우리는 자기가 살아가고 있는 고향의 언어로써 언문일치의 시를 성취해 가는 시인에 대한 신뢰를 느낀다.
그의 시가 나타내는 형식적 특성은 연 구분이 없는 비연시를 비교적 선호하고 있다는 점이다. 민요의 보급과 민요시 운동에 적극적 관심과 활동을 펼쳐가던 시기에 이르러 정형률의 구획이 지어지는 연 구분 시를 차츰 채택하게 된다. 이때 그는 외재율의 가락을 집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형태적 간결성을 새로이 체득하게 되었고 이 간결성은 그 이후의 시작품들에서 다시 시도하고 있는 비연 형태에서 매우 중요한 힘으로 작용한다.
한 시인의 시작품과 시집이 지니는 의미야말로 우리들의 과거와 현재의 삶이 파악되는 포괄적인 범주이다. 의미는 과거를 알려주고, 가치는 현재의 시간으로 직접 이어지며, 목적은 미래의 평화, 안정, 행복 따위의 미덕들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인간의 삶은 시인의 표현을 통해서 그 흐름을 일단 멈추게 되고, 시인은 모든 관찰자로서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표현과 또 거기에 깃들어 있는 시대정신을 탐구와 성찰의 유익한 재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표현, 그것은 우리들의 삶을 새롭게 재형성하고, 빈약한 세계를 풍요롭게 만들어 간다.
우리는 신경리을 통해서 우리시대 시인들의 올곧고 참다운 시정신의 한 전형을 만날 수 있으며, 시적 진실의 올바른 좌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구중서,백낙청,염무웅, <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 비평사, 1995.
2) 이동순, <<신경림論>>, <국어국문학연구>,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제19호.
3) 한혜선, <그물코 한국문학 ④>, 도서출판 풀빛, 19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