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ASEAN의 설립경위와 배경
Ⅱ. ASEAN의 기구
Ⅲ. ASEAN 역내협력
Ⅳ. 역외와의 관계
Ⅱ. ASEAN의 기구
Ⅲ. ASEAN 역내협력
Ⅳ. 역외와의 관계
본문내용
대한 협력을 실시.
구체적으로는 과학기술협력, 무역투자촉진프로그램(TIPP), 에너지
개발협력 등을 실시.
5. 미국
·미국은 ASEAN과의 관계를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의 안전보장 및
경제면에서 중시하여 관계발전을 도모.
·미국과 ASEAN의 관계는 77년9월 '제1차ASEAN·미국대화' 개최로
부터 정식으로 시작하여, ASEAN확대외상회의(PMC, 79년부터)와
ASEAN지역포럼(ARF, 94년 설립 당초부터)에 참가. 특히 냉전 후
에는 미국의 지역안정 유지를 위한 역할이 정치, 안전보장 면에서
집중되고 있다.
·경제관계 면에서는 민간레벨에서의 경제협력 촉진에 중점을 두어,
95년까지는 'ASEAN민간투자·무역촉진프로젝트(PITO)'나 '환경개
선프로젝트(EIP)'를 통해 개발, 무역·투자 분야에의 협력이 실시.
·95년부터는 미국·아시아환경파트너십프로그램(AEP) 하에서 헤이즈
등의 환경문제에 있어 협력 실시.
6. 캐나다
·1981년 ASEAN·캐나다합동협력위원회(JCC)의 설립으로 관계 공식
화. 1994년에는 합동계획·관리위원회(JPMC)가 설립되어 계획 및
실행레벨에서 프로젝트를 관리. 캐나다는 관학기술, 인적자원개발,
정보·문화, 여성문제 등의 분야에서 기술협력을 실시.
7. 한국
·냉전 후, 다양한 대화의 윤곽을 통해 발전해 왔다. 1989년11월,
ASEAN과 한국과의 분야별 대화관계가 인도네시아 외상(당시
ASEAN상임위원회 의장)과 한국 외상과의 사이에서 교환공문에 의
해 개시되었다. 그 후, 무역, 투자, 관광의 분야에서 관계를 촉진할
목적으로 'ASEAN·한국공동분야별협력위원회(JSCC)' 설립, 90년
인도네시아, 91년 한국에서 상기 회의를 개최.
·91년7월 제24차 ASEAN외상회의(말레이시아)에서, 한국은 ASEAN
의 정식 대화국으로 승격. 협력분야는 과학기술·인재육성으로 확
대. 91년이래, 한국은 'ASEAN확대외상회의(PMC)'와 'ASEAN지역
포럼(ARF, 94년 설립 당초부터)'에도 참가. 93년부터 ASEAN·한국
대화(차관보급레벨)가 정기적으로 개최.
·97년12월 제2차 ASEAN비공식수뇌회의(쿠알라룸프) 개최 시,
'ASEAN·한국수뇌회의'를 개최하여 21세기를 향한 ASEAN과 한국
의 파트너십을 다룬 'ASEAN·한국공동성명' 발표.
8. 인도
·1993년3월 무역, 투자, 관광, 과학기술의 4개 분야에 대해 분야별 대
화 개시. 인도로부터의 협력으로는 ASEAN·인도기금이 설립되어
있어, 97년에는 그 규모가 66만 달러에 달함. 95년 제5차 수뇌회의
는 인도를 정식 대화국으로 결정, 96년7월부터 ASEAN확대외상회의
에 참가. 96년11월 합동협력위원회 제1차 회합(뉴델리)을 개최.
ASEAN과 인도는 고급사무레벨에서 정치적 대화를 개시하는 것에
합의.
9. 중국
·94년 제27차 ASEAN외상회의 시 교환공문이 이루어져, 경제·무역
협력합동위원회 및 과학기술협력합동위원회를 설치. 95년3월 과학기
술협력 합동위원회 제1차회합에서, 비용분담으로 협력프로젝트를 진
행함에 합의. 4월에는 고급사무레벨공식회합이 처음 중국에서 개최,
정치·안정보장문제에 대해 토의. 제2차회합(96년6월, 인도네시아),
제3차회합(97년4월, 중국) 개최.
·95년8월 경제·무역협력합동위원회 제1차회의에서는, 무역과 투자
촉진책에 대해 협의. 97년2월 ASEAN·중국합동협력위원회 제1차회
합(북경) 개최, ASEAN·중국협력기금운영위원회의 절차규칙이 채
택. 그 외 인적교류, 경제·무역에 관한 워크샵, 정보교환의 3가지
프로젝트 승인.
·96년7월부터는 ASEAN확대외상회의 참가.
·97년12월 제2차 ASEAN비공식수뇌회의 시, 'ASEAN·중국수뇌회
의' 개최. 21세기를 향한 친선상호신뢰 파트너십을 도모하는 '중국·
ASEAN공동성명' 채택. 98년7월 ASEAN확대외상회의 시 중국은
'동남아시아우호협력조약'에의 가입에 긍정적 자세를 표명하는 등,
ASEAN·중국관계는 근래 긴밀한 관계.
·2000년 중국·ASEAN수뇌회의에서 자유무역지역(FTA)에 관해 중
국·ASEAN합동협력위원회의 윤곽에서 전문가회합을 만들 것을 합
의.
·IT분야는 2001년4월 '중국·ASEAN정보통신기술 심포지엄' 개최.
·2001년 중국·ASEAN수뇌회의에서는, 10년 이내에 ASEAN·중국
자유무역지역의 설립을 합의
10. 러시아
·96년7월 ASEAN확대외상회의의 멤버가 되어, 97년1월에 ASEAN·
러시아합동협력위원회(JCC) 및 ASEAN·러시아합동과학기술위원회
(JSTC)의 실시요강을 채택. 97년6월 제1차 ASEAN·러시아합동협
력위원회 개최.
11.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개발계획(UNDP)은 ASEAN에 대해 97년이래, 환경, 기술이전,
인적자원개발, 사회개발, 문화·정보, 마약문제 분야의 프로젝트를
지원. 더욱이 ASEAN·UNDP서브 리저널 프로젝트(ASP)는
ASEAN의 역내협력 강화를 지원. 그 외 UNDP는 ASEAN중앙사무
국 강화, 무역·투자의 자유화, ASEAN협력유니트(ACU) 설립을 위
한 기술협력 실시. UNDP는 ASEAN의 대화기관이나 원조기관이기
도하며, ASEAN확대외상회의에는 참가하지 않았으나 01년7월에는
ASEAN측의 초대에 응해 머록 브라운 UNDP총재가 참가.
[ASEAN 옵져버]
12. 파푸아뉴기니(PNG)
·1976년이래, ASEAN외상회의에 옵져버로 참가. 97년 ASEAN외상회
의 시, 특별 옵져버에서 준멤버(Associate Member)로의 승격을 신
청. 1989년 동남아시아우호협력조약(TAC)에 가맹.
13. 파키스탄
·1997년6월 ASEAN중앙사무국장과 파키스탄 외상간의 교환공문에
의해 '분야별 대화(ASEAN-Pakistan Sectoral Dialogue)' 개최를 결
정. 대상사항은 무역, 투자, 산업, 과학기술, 관광, 마약, 인적자원개
발. 이들 분야에 있어서의 협력 방식을 검토하기 위한 '합동분야별
협력위원회(APJSCC)' 제1차회합을 97년11월 이슬라마버드에서 개
최. ASEAN 대화국 신청 중.
구체적으로는 과학기술협력, 무역투자촉진프로그램(TIPP), 에너지
개발협력 등을 실시.
5. 미국
·미국은 ASEAN과의 관계를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의 안전보장 및
경제면에서 중시하여 관계발전을 도모.
·미국과 ASEAN의 관계는 77년9월 '제1차ASEAN·미국대화' 개최로
부터 정식으로 시작하여, ASEAN확대외상회의(PMC, 79년부터)와
ASEAN지역포럼(ARF, 94년 설립 당초부터)에 참가. 특히 냉전 후
에는 미국의 지역안정 유지를 위한 역할이 정치, 안전보장 면에서
집중되고 있다.
·경제관계 면에서는 민간레벨에서의 경제협력 촉진에 중점을 두어,
95년까지는 'ASEAN민간투자·무역촉진프로젝트(PITO)'나 '환경개
선프로젝트(EIP)'를 통해 개발, 무역·투자 분야에의 협력이 실시.
·95년부터는 미국·아시아환경파트너십프로그램(AEP) 하에서 헤이즈
등의 환경문제에 있어 협력 실시.
6. 캐나다
·1981년 ASEAN·캐나다합동협력위원회(JCC)의 설립으로 관계 공식
화. 1994년에는 합동계획·관리위원회(JPMC)가 설립되어 계획 및
실행레벨에서 프로젝트를 관리. 캐나다는 관학기술, 인적자원개발,
정보·문화, 여성문제 등의 분야에서 기술협력을 실시.
7. 한국
·냉전 후, 다양한 대화의 윤곽을 통해 발전해 왔다. 1989년11월,
ASEAN과 한국과의 분야별 대화관계가 인도네시아 외상(당시
ASEAN상임위원회 의장)과 한국 외상과의 사이에서 교환공문에 의
해 개시되었다. 그 후, 무역, 투자, 관광의 분야에서 관계를 촉진할
목적으로 'ASEAN·한국공동분야별협력위원회(JSCC)' 설립, 90년
인도네시아, 91년 한국에서 상기 회의를 개최.
·91년7월 제24차 ASEAN외상회의(말레이시아)에서, 한국은 ASEAN
의 정식 대화국으로 승격. 협력분야는 과학기술·인재육성으로 확
대. 91년이래, 한국은 'ASEAN확대외상회의(PMC)'와 'ASEAN지역
포럼(ARF, 94년 설립 당초부터)'에도 참가. 93년부터 ASEAN·한국
대화(차관보급레벨)가 정기적으로 개최.
·97년12월 제2차 ASEAN비공식수뇌회의(쿠알라룸프) 개최 시,
'ASEAN·한국수뇌회의'를 개최하여 21세기를 향한 ASEAN과 한국
의 파트너십을 다룬 'ASEAN·한국공동성명' 발표.
8. 인도
·1993년3월 무역, 투자, 관광, 과학기술의 4개 분야에 대해 분야별 대
화 개시. 인도로부터의 협력으로는 ASEAN·인도기금이 설립되어
있어, 97년에는 그 규모가 66만 달러에 달함. 95년 제5차 수뇌회의
는 인도를 정식 대화국으로 결정, 96년7월부터 ASEAN확대외상회의
에 참가. 96년11월 합동협력위원회 제1차 회합(뉴델리)을 개최.
ASEAN과 인도는 고급사무레벨에서 정치적 대화를 개시하는 것에
합의.
9. 중국
·94년 제27차 ASEAN외상회의 시 교환공문이 이루어져, 경제·무역
협력합동위원회 및 과학기술협력합동위원회를 설치. 95년3월 과학기
술협력 합동위원회 제1차회합에서, 비용분담으로 협력프로젝트를 진
행함에 합의. 4월에는 고급사무레벨공식회합이 처음 중국에서 개최,
정치·안정보장문제에 대해 토의. 제2차회합(96년6월, 인도네시아),
제3차회합(97년4월, 중국) 개최.
·95년8월 경제·무역협력합동위원회 제1차회의에서는, 무역과 투자
촉진책에 대해 협의. 97년2월 ASEAN·중국합동협력위원회 제1차회
합(북경) 개최, ASEAN·중국협력기금운영위원회의 절차규칙이 채
택. 그 외 인적교류, 경제·무역에 관한 워크샵, 정보교환의 3가지
프로젝트 승인.
·96년7월부터는 ASEAN확대외상회의 참가.
·97년12월 제2차 ASEAN비공식수뇌회의 시, 'ASEAN·중국수뇌회
의' 개최. 21세기를 향한 친선상호신뢰 파트너십을 도모하는 '중국·
ASEAN공동성명' 채택. 98년7월 ASEAN확대외상회의 시 중국은
'동남아시아우호협력조약'에의 가입에 긍정적 자세를 표명하는 등,
ASEAN·중국관계는 근래 긴밀한 관계.
·2000년 중국·ASEAN수뇌회의에서 자유무역지역(FTA)에 관해 중
국·ASEAN합동협력위원회의 윤곽에서 전문가회합을 만들 것을 합
의.
·IT분야는 2001년4월 '중국·ASEAN정보통신기술 심포지엄' 개최.
·2001년 중국·ASEAN수뇌회의에서는, 10년 이내에 ASEAN·중국
자유무역지역의 설립을 합의
10. 러시아
·96년7월 ASEAN확대외상회의의 멤버가 되어, 97년1월에 ASEAN·
러시아합동협력위원회(JCC) 및 ASEAN·러시아합동과학기술위원회
(JSTC)의 실시요강을 채택. 97년6월 제1차 ASEAN·러시아합동협
력위원회 개최.
11.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개발계획(UNDP)은 ASEAN에 대해 97년이래, 환경, 기술이전,
인적자원개발, 사회개발, 문화·정보, 마약문제 분야의 프로젝트를
지원. 더욱이 ASEAN·UNDP서브 리저널 프로젝트(ASP)는
ASEAN의 역내협력 강화를 지원. 그 외 UNDP는 ASEAN중앙사무
국 강화, 무역·투자의 자유화, ASEAN협력유니트(ACU) 설립을 위
한 기술협력 실시. UNDP는 ASEAN의 대화기관이나 원조기관이기
도하며, ASEAN확대외상회의에는 참가하지 않았으나 01년7월에는
ASEAN측의 초대에 응해 머록 브라운 UNDP총재가 참가.
[ASEAN 옵져버]
12. 파푸아뉴기니(PNG)
·1976년이래, ASEAN외상회의에 옵져버로 참가. 97년 ASEAN외상회
의 시, 특별 옵져버에서 준멤버(Associate Member)로의 승격을 신
청. 1989년 동남아시아우호협력조약(TAC)에 가맹.
13. 파키스탄
·1997년6월 ASEAN중앙사무국장과 파키스탄 외상간의 교환공문에
의해 '분야별 대화(ASEAN-Pakistan Sectoral Dialogue)' 개최를 결
정. 대상사항은 무역, 투자, 산업, 과학기술, 관광, 마약, 인적자원개
발. 이들 분야에 있어서의 협력 방식을 검토하기 위한 '합동분야별
협력위원회(APJSCC)' 제1차회합을 97년11월 이슬라마버드에서 개
최. ASEAN 대화국 신청 중.
추천자료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ASEAN+3_금융협력
ASEAN의 정의 및 향후 방안
한 - 아세안 FTA
[국제무역] 『한-ASEAN FTA(개요, 의의, 내용, 대응방안 등)』에 대하여
[자유무역협정] 한·ASEAN FTA 의 모든것
동남아의 아세안화 현황과 전망
중국-아세안 경제관계의 성격과 과제
(A+ 레포트) ASEAN 및 ASEAN+3 성립배경과 현실
아세안(ASEAN) 시장의 경제위상과 잠재력, 한-아세안 통상현황과 협력방향
한국과 ASEAN의 경제관계
[일본, 경제정책, 보육정책]일본의 경제정책, 일본의 동아시아지역형성정책, 일본의 지역주의...
아시아 공동체구상에 관한 회의(EAS회의), 아시아 안보에 관한 회의(ARF, 아세아지역포럼), ...
[냉전, 냉전 정의, 냉전 기원, 냉전 형성, 냉전 대두, 냉전 촉발요인]냉전의 정의, 냉전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