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고의 원리
① 동일률(principle of identity)
② 모순률(principle of contradiction)
③ 배중률(principle of excluded middle)
④ 충족이유률(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① 동일률(principle of identity)
② 모순률(principle of contradiction)
③ 배중률(principle of excluded middle)
④ 충족이유률(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본문내용
만한 이유가 있어서 존재한다’는 뜻이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말한다면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 존재의 충분한 이유를 가진다’라고 하는 인과률이 적용된다.
그런데 이 이유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그 하나는 근거나 논거를 의미하고, 다른 하나는 원인을 의미한다. 근거는 귀결에 대한 상대적 개념이며, 원인은 결과에 대한 상대적 개념이다.
따라서 이 법칙은, 사고에는 반드시 그 논거가 있고 존재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쇼펜하우어에 의하여 계승되어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되었다.
1.생성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자연계의 생성 변화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성의 충족이유률은 일반적으로 인과법칙이라고 부른다.
2.인식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어떠한 인식 판단이 참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3.존재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직관적인 모든 존재는 시간적 공간적인 이유로 말미암아 선후라든가 상하, 좌우 등으로 규정된다는 것이다.
4.행위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있어서 동기가 그 행위의 이유가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행위에는 반드시 행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있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말한다면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 존재의 충분한 이유를 가진다’라고 하는 인과률이 적용된다.
그런데 이 이유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그 하나는 근거나 논거를 의미하고, 다른 하나는 원인을 의미한다. 근거는 귀결에 대한 상대적 개념이며, 원인은 결과에 대한 상대적 개념이다.
따라서 이 법칙은, 사고에는 반드시 그 논거가 있고 존재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쇼펜하우어에 의하여 계승되어 네 가지 종류로 구분되었다.
1.생성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자연계의 생성 변화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성의 충족이유률은 일반적으로 인과법칙이라고 부른다.
2.인식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어떠한 인식 판단이 참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3.존재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직관적인 모든 존재는 시간적 공간적인 이유로 말미암아 선후라든가 상하, 좌우 등으로 규정된다는 것이다.
4.행위의 충족이유률
이 원리는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있어서 동기가 그 행위의 이유가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행위에는 반드시 행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