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탄수화물이란?
2. 탄수화물의 종류와 급원
1) 단당류
2) 소당류
3) 다당류
3. 탄수화물의 체내 기능
1) 에너지 공급
2) 단백질 절약작용
3) 케톤증 예방
4) 식품에 단맛과 향미 제공
4. 운동 중 탄수화물의 이용
1) 강한 운동
2) 중정도의 지속적 운동
5. 경기 전의 식사
6. 운동 전과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1) 운동 저 탄수화물의 섭취
2)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3) 탄수화물 용액의 형태
4) 탄수화물 섭취의 중요사항
2. 탄수화물의 종류와 급원
1) 단당류
2) 소당류
3) 다당류
3. 탄수화물의 체내 기능
1) 에너지 공급
2) 단백질 절약작용
3) 케톤증 예방
4) 식품에 단맛과 향미 제공
4. 운동 중 탄수화물의 이용
1) 강한 운동
2) 중정도의 지속적 운동
5. 경기 전의 식사
6. 운동 전과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1) 운동 저 탄수화물의 섭취
2)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3) 탄수화물 용액의 형태
4) 탄수화물 섭취의 중요사항
본문내용
섭취와 흡수가 최우선적인 중요성을 갖는 열환경에서 장시간 운동시에는 글루코스용액의 섭취가 수행력을 저해할 수 있다.
탄수화물 용액은 물이나 저농도의 염화나트륨용액보다 일반적으로 더욱 느린 속도로 위에서 소화된다. 섭취 용액의 농도는 위장에서의 소화와 내장에서의 흡수속도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된다. 진한 용액은 물이나 저농도 용액보다 위장에 더 오래 머무른다.
그러므로 위에서의 용액 이동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물 100㎖당 탄수화물이 2.5g 이하로 함유된 스포츠음료가 바람직하다고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수분 보충보다는 에너지 보급이 우선적인 목적일 경우에는 2.5%의 탄수화물 용액으로는 충분한 에너지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지구성 운동수행력에 도움을 주기 위한 탄수화물 섭취량은 적어도 시간당 50g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적으로 권장되는 한가지 섭취방법을 소개하면, 운동시작 20∼30분 후에 고농도의 설탕용액(140㎖의 물에 70g의 설탕을 첨가한 용액)을 섭취한 후에 30분 이상의 간격으로 물 100㎖당 약 2.5g의 탄수화물이 함유된 보다 저농도(2.5%)의 용액을 섭취하는 것이다.
4) 탄수화물 섭취의 중요사항
① 탄수화물 용액을 경기수행 30분∼1시간 이전에 섭취하는 것은 운동수횅력을 저해한다. 반면, 장시간 운동 중 탄수화물 음료의 섭취는 근글리코겐의 고갈이나 혈당저하를 방지하고 지속적인 에너지를 보급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② 다량의 체액손실이 우려되는 열환경에서 장시간 운동할 경우와 같이 수분보충이 주된 목적일 경우에는 1∼3%의 저농도 포도당 용액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장시간 운동 중 탄수화물의 보충이 주목적일 때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5∼10% 용액이 바람직하가. 또는, 운동시작 20∼30분 후에 고농도(50∼60%)의 탄수화물 용액을 섭취하고, 그 후 약 30분 간격으로 저농도(2.5%)의 용액을 섭취하는 방법을 권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경기 전 예비연습에서 미리 사용해 보아야 한다.
④ 포도당 중합체 형태의 용액은 위에서 소장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배출시간은 용액 내 물질분자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 포도당 중합체 용액은 같은 농도의 포도당 용액과 비교해서 더 많은 분자를 함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⑤ 직접 탄수화물 용액을 만들 경우, 1ℓ의 물에 티스푼 한 개의 설탕을 타면 1∼2% 용액이 만들어지며 약 10g의 탄수화물이 공급된다. 티스푼 세 개의 설탕을 타면 5% 용액이 만들어진다. 이처럼 설탕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다.
◇ 목 차 ◇
1. 탄수화물이란?
2. 탄수화물의 종류와 급원
1) 단당류
2) 소당류
3) 다당류
3. 탄수화물의 체내 기능
1) 에너지 공급
2) 단백질 절약작용
3) 케톤증 예방
4) 식품에 단맛과 향미 제공
4. 운동 중 탄수화물의 이용
1) 강한 운동
2) 중정도의 지속적 운동
5. 경기 전의 식사
6. 운동 전과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1) 운동 저 탄수화물의 섭취
2)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3) 탄수화물 용액의 형태
4) 탄수화물 섭취의 중요사항
◇ 참고 문헌 ◇
1. Nutrition for Fitness & Sport. 1988. Melvin H. Williams.
2. 스포츠 영양학. 2001. 성동진, 송영주. (도서출판 고려의학)
3. 운동·스포츠와 영양. 1997. 백광현. (성신여대 출판부)
4. 운동과 영양. 1999. 이복환. (태근 문화사)
5. 21세기 영양학 원리. 2000. 최혜미. (교문사)
6. 영양·체중조절 그리고 운동. 1989. 이영숙, 유춘희. (금광)
탄수화물 용액은 물이나 저농도의 염화나트륨용액보다 일반적으로 더욱 느린 속도로 위에서 소화된다. 섭취 용액의 농도는 위장에서의 소화와 내장에서의 흡수속도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 된다. 진한 용액은 물이나 저농도 용액보다 위장에 더 오래 머무른다.
그러므로 위에서의 용액 이동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물 100㎖당 탄수화물이 2.5g 이하로 함유된 스포츠음료가 바람직하다고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수분 보충보다는 에너지 보급이 우선적인 목적일 경우에는 2.5%의 탄수화물 용액으로는 충분한 에너지 보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지구성 운동수행력에 도움을 주기 위한 탄수화물 섭취량은 적어도 시간당 50g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적으로 권장되는 한가지 섭취방법을 소개하면, 운동시작 20∼30분 후에 고농도의 설탕용액(140㎖의 물에 70g의 설탕을 첨가한 용액)을 섭취한 후에 30분 이상의 간격으로 물 100㎖당 약 2.5g의 탄수화물이 함유된 보다 저농도(2.5%)의 용액을 섭취하는 것이다.
4) 탄수화물 섭취의 중요사항
① 탄수화물 용액을 경기수행 30분∼1시간 이전에 섭취하는 것은 운동수횅력을 저해한다. 반면, 장시간 운동 중 탄수화물 음료의 섭취는 근글리코겐의 고갈이나 혈당저하를 방지하고 지속적인 에너지를 보급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② 다량의 체액손실이 우려되는 열환경에서 장시간 운동할 경우와 같이 수분보충이 주된 목적일 경우에는 1∼3%의 저농도 포도당 용액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장시간 운동 중 탄수화물의 보충이 주목적일 때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5∼10% 용액이 바람직하가. 또는, 운동시작 20∼30분 후에 고농도(50∼60%)의 탄수화물 용액을 섭취하고, 그 후 약 30분 간격으로 저농도(2.5%)의 용액을 섭취하는 방법을 권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경기 전 예비연습에서 미리 사용해 보아야 한다.
④ 포도당 중합체 형태의 용액은 위에서 소장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배출시간은 용액 내 물질분자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 포도당 중합체 용액은 같은 농도의 포도당 용액과 비교해서 더 많은 분자를 함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⑤ 직접 탄수화물 용액을 만들 경우, 1ℓ의 물에 티스푼 한 개의 설탕을 타면 1∼2% 용액이 만들어지며 약 10g의 탄수화물이 공급된다. 티스푼 세 개의 설탕을 타면 5% 용액이 만들어진다. 이처럼 설탕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다.
◇ 목 차 ◇
1. 탄수화물이란?
2. 탄수화물의 종류와 급원
1) 단당류
2) 소당류
3) 다당류
3. 탄수화물의 체내 기능
1) 에너지 공급
2) 단백질 절약작용
3) 케톤증 예방
4) 식품에 단맛과 향미 제공
4. 운동 중 탄수화물의 이용
1) 강한 운동
2) 중정도의 지속적 운동
5. 경기 전의 식사
6. 운동 전과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1) 운동 저 탄수화물의 섭취
2) 운동 중 탄수화물의 섭취
3) 탄수화물 용액의 형태
4) 탄수화물 섭취의 중요사항
◇ 참고 문헌 ◇
1. Nutrition for Fitness & Sport. 1988. Melvin H. Williams.
2. 스포츠 영양학. 2001. 성동진, 송영주. (도서출판 고려의학)
3. 운동·스포츠와 영양. 1997. 백광현. (성신여대 출판부)
4. 운동과 영양. 1999. 이복환. (태근 문화사)
5. 21세기 영양학 원리. 2000. 최혜미. (교문사)
6. 영양·체중조절 그리고 운동. 1989. 이영숙, 유춘희. (금광)
추천자료
당뇨병에 대한 보고서
당뇨병 사례 보고
비만에 관한 정리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Diabetes Mellitus, DM foot 당뇨병
세포호흡과 생활에너지
당뇨병 (diabetes mellitus) 환자 교육자료
[간호학] 당뇨병( Diabetes Mellitus) 대상자 CASE
[우유][우유 정의][우유 성분][우유 영양가][우유 검사][우유와 모유의 차이][롯데우유 경영 ...
당뇨병의 원인과 예방
식생활과 건강 - 다이어트의 종류와 각각의 방법에 대한 장단점
Insulin 인슐린
HBV – HCC 케이스 B형간염 바이러스 - 간세포 암종 Hepatitis B virus Hepatocellu...
[당뇨병] 당뇨병의 병리, 당뇨병의 원인(요인) - 당뇨병이 생기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