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토마스의 생애
(1) 출생
(2) 성장배경
(3) 도미니꼬회 입회
(4) 활동
(5) 결론
2.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서
3. 교육 사상
(1) 중세 철학
1) 교부철학
2) 스콜라 철학
① 스콜라 철학의 기원
② 초기 스콜라 철학
③ 중기 스콜라 철학
④ 말기 스콜라 철학
(2)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1) 아리스토텔레스에 기초한 아퀴나스의 사상
① 존재론
② 인식론
가. 질료형상론
나. 인간의 영혼과 육체
다. 배움: 지식의 가능태와 현실태
③ 윤리·도덕에 관한 아퀴나스의 사상
④ 아퀴나스의 교육론
4. 비판점 및 시사점
(1) 비판점
(2) 시사점
(1) 출생
(2) 성장배경
(3) 도미니꼬회 입회
(4) 활동
(5) 결론
2.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서
3. 교육 사상
(1) 중세 철학
1) 교부철학
2) 스콜라 철학
① 스콜라 철학의 기원
② 초기 스콜라 철학
③ 중기 스콜라 철학
④ 말기 스콜라 철학
(2)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1) 아리스토텔레스에 기초한 아퀴나스의 사상
① 존재론
② 인식론
가. 질료형상론
나. 인간의 영혼과 육체
다. 배움: 지식의 가능태와 현실태
③ 윤리·도덕에 관한 아퀴나스의 사상
④ 아퀴나스의 교육론
4. 비판점 및 시사점
(1) 비판점
(2) 시사점
본문내용
게 하여 아퀴나스는 신의 존재는 이성적 탐구에 의해서도 필연적으로 존재해야만 함을 증명하였다.
② 인식론
외계는 일시적이며, 인간의 감각은 오류의 근원이라는 플라톤에게서 유래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반박하고, 아퀴나스는 외계는 실재할 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오성은 그것을 인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가. 질료형상론
토마스에 의하면, 모든 물질적 사물 또는 실체는 실체적 형상과 제일질료로 구성되어 있다. 형상과 질료는 다같이 실체의 구성원리이자 구성요소이다. 형상이란 현실의 사물에 대한 물체적 기체이며, 질료는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형상에 의해서만, 즉 어떤 형상과 결합할 때에만 존재한다.
나. 인간의 영혼과 육체
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둘은 질료와 형상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생의 원리이자 형상인 영혼과 질료인 육체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통일체라는 토마스의 견해는 그의 인식론의 기초가 된다.
다. 배움: 지식의 가능태와 현실태
배운다는 것은 가능적으로 존재하는 지성이 현실태로 옮겨지는 것이다. 이렇게 지성은 가능적인 것에서 현세적으로 나아가지만, 가능태에서 한번에 곧바로 완전한 현실태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도달한 상태는 가능태와 현실태의 중간이며, 이를 거쳐 뒤에 완전한 현실태에 이른다. 이 완전한 현실태를 완성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윤리·도덕에 관한 아퀴나스의 사상
윤리관에서 아퀴나스는 '사고와 당위의 일치' 즉 지행합일을 주장하였다. 즉 사고의 법칙의 타당성은 행위의 법칙의 타당성과 공통된다고 본 것이다. 이를 가리켜 합리적인 이상론 혹은 조화론이라고 칭한다.
그에 의하면, 지가 의지보다 귀하며, 지덕이 행덕보다 앞선다. 왜냐 하면 의지는 스스로의 자유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에 의해 결단을 내리게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퀴나스의 윤리관은 이성이 밑바탕이 되어 지에서 행으로 나아가는 주지주의, 즉 이성의 발전은 그대로 윤리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입장을 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퀴나스는 이성적인 노력에 의해 얻게 되는 지혜·용기·절제·정의의 플라톤적인 4덕은 자연적이며 불완전한 것인데 비해서, 종교에 의해 얻게 되는 신·망·애의 기독교적인 3덕은 정신적 근원인 신으로부터 계시된 영원한 덕으로서 인간을 참다운 행복으로 이끈다고 보았다.
④ 아퀴나스의 교육론
그는 방대한 스콜라 철학의 체계를 완성하였지만, 교육 방법론이나 기타 교육 전반에 관해서는 체계적인 논술을 남기고 있지 않다. 중세에는 교육학이 성립되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격적인 교육 사상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고 하겠지만, 중세의 대표적 사상가로서 일생 동안 대학에서 강의를 한 아퀴나스는 그 나름대로의 교사론을 전개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원론은 그의 교사론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지식의 증명은 오직 어린이의 마음에 진리의 빛을 비추어 주는 신의 작용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에서 보면 진정한 교사는 신뿐이며, 완전한 교육은 신에 의한 교육뿐이다.
아퀴나스에 의하면, 인간도 가르침으로써 교사라 불리울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답을 도달하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법을 사용하여 진리를 가능태의 진리와 현실태의 진리로 구분하였다. 진리는 다만 가능태로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다가 신이 절대 진리의 모상으로 인간에게 부여한 이성의 힘에 의해서 현실태로 바뀐 것이라고 본다.
지식이 가능태로부터 현실태로 넘어가는 지식습득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발견의 방법이다. 이는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이 선천적인 이성의 작용에 의해서만 진리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교수의 방법이다. 이는 선천적인 이성의 작용 이외에 외부로부터 교사가 자극과 원조를 줌으로써 진리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 때 인간이 교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까닭은 학생은 다만 가능태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서, 교사는 가르치려는 사물에 대하여 이미 현실태의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에 의한 교육만을 믿었던 데 비해서, 아퀴나스는 초자연적 진리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내적작용인 신에 의한 교육과 함께, 자연적 진리를 획득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도와 줌으로써 행해지는 외적 작용인 인간에 의한 교육도 인정하게 된 것이다.
4. 비판점 및 시사점
(1) 비판점
신학자였던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성에 의한 지적 작용을 강조하며 인간에 의한 교육을 인정하긴 했지만 이성의 세계보다 신앙의 세계를 더 우위에 둠으로써 인간에 의한 교육보다 신에 의한 교육을 강조했다. 그는 인간에 의한 진리 획득을 자연적 진리에 관한 것뿐이라고 주장했으며, 자연적 진리는 영적 진리에 비해 열등하다고 판단했다. 교육을 종교적 관점에 편중시켰다.
(2) 시사점
첫째, 그는 인간 이성과 육체를 분리하지 않음으로써 배움을 세상에서의 경험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둘째, 아퀴나스는 인간 이성에 대한 신뢰. 즉, 인간을 배움을 통하여 더 높은 지성을 함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오늘날 교사가 학습자를 대하는데 있어서의 태도에 많은 시사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다시말해 교사는 학습자를 대하는데 있어 겉으로 드러나는 결과들로만으로 평가하지 않고 그 속에 내재된 잠재적 가능성을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Ⅰ, 교육과학사, 1996
토마스아퀴나스지음, 정의체 옮김, 유와 본질에 대하여, 서광사, 1996
질송/강영계, 중세철학입문, 서광사, 1983
안쏘니 케니 지음/강연계·김익현 옮김, 토마스아퀴나스, 서광사, 1984
박덕은 편저, 쉽고 재미있는 철학이야기, 서지원, 1997
동경대학 출판회 엮음, 편집부 옮김, 철학사 강의, 한올, 1983
도널드 팔머, 서양철학사1, 자작나무, 1997
http://huniv.hongik.ac.kr/∼shozyong/리포트/토마스 아퀴나스.html
http://my.netian.com/∼tonio/Saints/Thomas/Tom.htm
② 인식론
외계는 일시적이며, 인간의 감각은 오류의 근원이라는 플라톤에게서 유래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반박하고, 아퀴나스는 외계는 실재할 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오성은 그것을 인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가. 질료형상론
토마스에 의하면, 모든 물질적 사물 또는 실체는 실체적 형상과 제일질료로 구성되어 있다. 형상과 질료는 다같이 실체의 구성원리이자 구성요소이다. 형상이란 현실의 사물에 대한 물체적 기체이며, 질료는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형상에 의해서만, 즉 어떤 형상과 결합할 때에만 존재한다.
나. 인간의 영혼과 육체
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둘은 질료와 형상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생의 원리이자 형상인 영혼과 질료인 육체로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통일체라는 토마스의 견해는 그의 인식론의 기초가 된다.
다. 배움: 지식의 가능태와 현실태
배운다는 것은 가능적으로 존재하는 지성이 현실태로 옮겨지는 것이다. 이렇게 지성은 가능적인 것에서 현세적으로 나아가지만, 가능태에서 한번에 곧바로 완전한 현실태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도달한 상태는 가능태와 현실태의 중간이며, 이를 거쳐 뒤에 완전한 현실태에 이른다. 이 완전한 현실태를 완성된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③ 윤리·도덕에 관한 아퀴나스의 사상
윤리관에서 아퀴나스는 '사고와 당위의 일치' 즉 지행합일을 주장하였다. 즉 사고의 법칙의 타당성은 행위의 법칙의 타당성과 공통된다고 본 것이다. 이를 가리켜 합리적인 이상론 혹은 조화론이라고 칭한다.
그에 의하면, 지가 의지보다 귀하며, 지덕이 행덕보다 앞선다. 왜냐 하면 의지는 스스로의 자유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에 의해 결단을 내리게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퀴나스의 윤리관은 이성이 밑바탕이 되어 지에서 행으로 나아가는 주지주의, 즉 이성의 발전은 그대로 윤리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입장을 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퀴나스는 이성적인 노력에 의해 얻게 되는 지혜·용기·절제·정의의 플라톤적인 4덕은 자연적이며 불완전한 것인데 비해서, 종교에 의해 얻게 되는 신·망·애의 기독교적인 3덕은 정신적 근원인 신으로부터 계시된 영원한 덕으로서 인간을 참다운 행복으로 이끈다고 보았다.
④ 아퀴나스의 교육론
그는 방대한 스콜라 철학의 체계를 완성하였지만, 교육 방법론이나 기타 교육 전반에 관해서는 체계적인 논술을 남기고 있지 않다. 중세에는 교육학이 성립되지 않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격적인 교육 사상사에서 그가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고 하겠지만, 중세의 대표적 사상가로서 일생 동안 대학에서 강의를 한 아퀴나스는 그 나름대로의 교사론을 전개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원론은 그의 교사론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지식의 증명은 오직 어린이의 마음에 진리의 빛을 비추어 주는 신의 작용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에서 보면 진정한 교사는 신뿐이며, 완전한 교육은 신에 의한 교육뿐이다.
아퀴나스에 의하면, 인간도 가르침으로써 교사라 불리울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답을 도달하기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법을 사용하여 진리를 가능태의 진리와 현실태의 진리로 구분하였다. 진리는 다만 가능태로 인간 내부에 잠재해 있다가 신이 절대 진리의 모상으로 인간에게 부여한 이성의 힘에 의해서 현실태로 바뀐 것이라고 본다.
지식이 가능태로부터 현실태로 넘어가는 지식습득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발견의 방법이다. 이는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이 선천적인 이성의 작용에 의해서만 진리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교수의 방법이다. 이는 선천적인 이성의 작용 이외에 외부로부터 교사가 자극과 원조를 줌으로써 진리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 때 인간이 교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까닭은 학생은 다만 가능태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서, 교사는 가르치려는 사물에 대하여 이미 현실태의 지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에 의한 교육만을 믿었던 데 비해서, 아퀴나스는 초자연적 진리를 획득할 수 있게 하는 내적작용인 신에 의한 교육과 함께, 자연적 진리를 획득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도와 줌으로써 행해지는 외적 작용인 인간에 의한 교육도 인정하게 된 것이다.
4. 비판점 및 시사점
(1) 비판점
신학자였던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성에 의한 지적 작용을 강조하며 인간에 의한 교육을 인정하긴 했지만 이성의 세계보다 신앙의 세계를 더 우위에 둠으로써 인간에 의한 교육보다 신에 의한 교육을 강조했다. 그는 인간에 의한 진리 획득을 자연적 진리에 관한 것뿐이라고 주장했으며, 자연적 진리는 영적 진리에 비해 열등하다고 판단했다. 교육을 종교적 관점에 편중시켰다.
(2) 시사점
첫째, 그는 인간 이성과 육체를 분리하지 않음으로써 배움을 세상에서의 경험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둘째, 아퀴나스는 인간 이성에 대한 신뢰. 즉, 인간을 배움을 통하여 더 높은 지성을 함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오늘날 교사가 학습자를 대하는데 있어서의 태도에 많은 시사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다시말해 교사는 학습자를 대하는데 있어 겉으로 드러나는 결과들로만으로 평가하지 않고 그 속에 내재된 잠재적 가능성을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Ⅰ, 교육과학사, 1996
토마스아퀴나스지음, 정의체 옮김, 유와 본질에 대하여, 서광사, 1996
질송/강영계, 중세철학입문, 서광사, 1983
안쏘니 케니 지음/강연계·김익현 옮김, 토마스아퀴나스, 서광사, 1984
박덕은 편저, 쉽고 재미있는 철학이야기, 서지원, 1997
동경대학 출판회 엮음, 편집부 옮김, 철학사 강의, 한올, 1983
도널드 팔머, 서양철학사1, 자작나무, 1997
http://huniv.hongik.ac.kr/∼shozyong/리포트/토마스 아퀴나스.html
http://my.netian.com/∼tonio/Saints/Thomas/Tom.htm
추천자료
토마스 하디에 대해서
토마스 울프의 `천사여, 고향을 보라` 를 읽고
과학혁명의구조-토마스s.쿤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토마스 모어는 어째서 인문주의자인가?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요약
토마스 프리드만의 세계는 평평하다를 읽고 독후감과 우리나라 정책에 적용(world is flat)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에 대한 독후감(A+서평)
<토마스 고든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12가지 걸림돌>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와 창조론, 진화론, 지적설계론
토마스 홉스와 근대 시민 사회의 태동
토마스 에디슨 리더쉽, 창의성, 비전, 영향력, 선택, 실행, 인재, 제도, 문화, 영도, 유래, ...
토마스머튼의 평화론
토마스 모어 유토피아1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