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교육의 확대
1)국제적경향
2)한국의 학교팽창
2. 학력상승의 원인
1)학습욕구이론
2)기술기능이론
3)마르크스이론
4)지위경쟁이론
5)국민통합론
3. 한국의 학교팽창의 원인과 특성
4. 결론
1)국제적경향
2)한국의 학교팽창
2. 학력상승의 원인
1)학습욕구이론
2)기술기능이론
3)마르크스이론
4)지위경쟁이론
5)국민통합론
3. 한국의 학교팽창의 원인과 특성
4. 결론
본문내용
의 학교팽창의 특성과 원인
①한국 학교의 특성
ⅰ)미국의 경우는 대학의 계속교육의 확대와 시간제 학생의 증가로 성인고등교육 인구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고등학교 졸업 후에 곧장 대학으로 진학하는 청년 인구가 고등교육 인구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와 비교하면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ⅱ)전통적인 정규학위를 수여하는 소위 정규대학 뿐만 아니라 공장대학 등 산업체 현장의 직업기술 훈련이 중심을 이루는 성인교육 성격의 고등교육 인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소련 등과 비교해도, 정규학위 중심의 고등교육 즉, 전통적 대학이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어서 다른 면이 있다.
ⅲ)이런 특수성은 교육팽창의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른 나라의 이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외국의 이론들을 참고할 필요는 있겠지만, 우리의 특수성을 그 이론에 맞추려는 오류는 피해야 할 것이다.
②한국이 사회 역사적 맥락에서 다른 나라들과 비슷한 점
ⅰ)제3세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지배를 받았으며, 식민통치로부터의 해방과 더불어 우리의 민족교육을 실시하려는 국가적 요구와, 제한되었던 교육을 자유롭게 받으려는 국민의 욕구가 어우러져 학교의 설립은 가장 시급한 과제로 대두
ⅱ)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하여 정치적 이념의 통합이 필요해졌고 그에 따라 국민교육을 광범위하게 실시하게 된 것
ⅲ)경제성장을 추구하여 그에 따라 훈련받은 인력이 필요해졌으므로 학교교육이 연장 확대되었다는 점
③학교팽창의 원인
ⅰ)윤정일(1997)
한국대학의 급격한 팽창의 요인으로서는 경제발전을 위한 고등교육의 수요 증가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압력이 증대했고, 이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의 적극적인 확대 정책이 실현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ⅱ)사회적 지위 획득을 위한 개인간 집단간 경쟁에 의해 학교가 팽창한다고 보는 지위경쟁이론은 한국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학력경쟁의 실상에 근접하고 있는 것 으로 보인다.
ⅲ)남북분단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
내부적으로는 이데올로기의 통합을 강화하는 한편, 남북한 상호간에는 날카로운 이데올로기 경쟁을 피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학교제도는 철저하게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이용되었으므로 남북한이 똑같이 국민교육으로서의 학교제도를 일찍부터 정비하고 확대시켰다.
ⅳ)김기석(1989)
중등교육의 팽창은 유상제에 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고 주장. 유상제 중등교육은 두 가지 방식으로 유지되었다. 수익자 부담의 원칙과 학교의 설립과 경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민간 부문에 맡기는 사학 진흥 정책
ⅴ)고등교육의 팽창은 사립대학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교운영재정의 대부분을 학생의 등록금에 의존하고 있는 사립대학은 재원확보를 위해 가능한 한 정원을 확대하려고 한다. 따라서 산업의 인력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에라도 정원을 확대하려고 하며, 교육소비자의 교육수요를 창출하기도 한다.
4. 결론
①콜린즈(Randall Collins)
그는 학교교육 확대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가운데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밝히려 하였다. 학교교육이 확대된 주원인을 지위경쟁이라고 하였다.
②로드리게(Rodrigues, 1978)
교육연수가 많은 노동자가 교육연수가 적은 노동자에 비하여 생산성이 더 높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기술기능이론의 약점을 지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급학교의 졸업장이 하급학교 졸업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보상을 확보해주기 때문에 사람들은 끊임없이 상급학교 졸업장을 따기 위하여 경쟁하는 것이다라고 함
③러빈슨과 랄프(Rubinson and Ralph, 1987)
과학기술의 진보가 학력상승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과학기술은 시차를 두고 초·중등교육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하에 10년의 시차를 두어 분석한 결과 학교확장의 초기에는 기술진보가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그 훙에는 지위경쟁 요인과 기술진보 요인이 함께 적용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④아처(M.Archer, 1982)
학교팽창은 하나의 원인으로 환원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 정치, 경제 등이 사회적 조건과 교육체제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현상이다. 학교의 제현상은 학교를 둘러싼 내외의 집단간의 경쟁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학교 팽창도 그에 관련된 제집단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⑤이혜영(1992)
1961∼1980년대에는 해방 이후 1950년대에 걸친 대학팽창에 대한 반작용으로 대학 정원의 억제가 이루어졌고(1961∼1978), 이러한 억제로 인해 발생한 문제점 때문에 대학정원이 확대되었는데(1979∼1980), 그러한 대학정원의 억제와 확대는 대학정원에 대해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학생·학부모, 대학, 산업계, 정부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밝혔다.
⑥결론
ⅰ)교육의 질관리보다는 학생 수 확보에 관심을 더 기울였다.
ⅱ)식민지 교육을 청산하지 못하였기 때문이기는 하지만 학교외 교육을 발전시키지 않고 철저한 학교 본위의 교육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그래서 국민들의 교육적 요구는 학교와 대학을 통해서 밖에는 충족시킬 수가 없었다.
ⅲ)교육은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경제적 가치에 의하여 지배될 수는 없는 것이다.
ⅳ)학교가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엄정하게 수호하고 실현시키고 있느냐 여부가 문제이며 학교의 확대와 고학력화는 그 자체로서 문제될 것이 없다.
<참고도서>
서태종지음, 새교육사회, 교육과학사, 1999
서정철 편저, 신교육사회학, 육서당, 1997
김기석. 교육사회학 탐구2, 교육과학사, 1994
한준상 외 공저, 신교육사회학, 학지사, 1996
강상철외 3공저 교육사회, 동문사, 1994
석태종, 신교육사회, 교육과학사, 1999
<인터넷자료>
http://my.netian.com/~martin93/edu/5.htm
http://hometown.weppy.com/~poodle3/report1_2.html
http://www.m2000.co.kr/week/970321/0321371.html
http://my.netian.com/~odhwan/k11.htm
①한국 학교의 특성
ⅰ)미국의 경우는 대학의 계속교육의 확대와 시간제 학생의 증가로 성인고등교육 인구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고등학교 졸업 후에 곧장 대학으로 진학하는 청년 인구가 고등교육 인구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와 비교하면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ⅱ)전통적인 정규학위를 수여하는 소위 정규대학 뿐만 아니라 공장대학 등 산업체 현장의 직업기술 훈련이 중심을 이루는 성인교육 성격의 고등교육 인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소련 등과 비교해도, 정규학위 중심의 고등교육 즉, 전통적 대학이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어서 다른 면이 있다.
ⅲ)이런 특수성은 교육팽창의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른 나라의 이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외국의 이론들을 참고할 필요는 있겠지만, 우리의 특수성을 그 이론에 맞추려는 오류는 피해야 할 것이다.
②한국이 사회 역사적 맥락에서 다른 나라들과 비슷한 점
ⅰ)제3세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지배를 받았으며, 식민통치로부터의 해방과 더불어 우리의 민족교육을 실시하려는 국가적 요구와, 제한되었던 교육을 자유롭게 받으려는 국민의 욕구가 어우러져 학교의 설립은 가장 시급한 과제로 대두
ⅱ)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하여 정치적 이념의 통합이 필요해졌고 그에 따라 국민교육을 광범위하게 실시하게 된 것
ⅲ)경제성장을 추구하여 그에 따라 훈련받은 인력이 필요해졌으므로 학교교육이 연장 확대되었다는 점
③학교팽창의 원인
ⅰ)윤정일(1997)
한국대학의 급격한 팽창의 요인으로서는 경제발전을 위한 고등교육의 수요 증가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압력이 증대했고, 이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의 적극적인 확대 정책이 실현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ⅱ)사회적 지위 획득을 위한 개인간 집단간 경쟁에 의해 학교가 팽창한다고 보는 지위경쟁이론은 한국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학력경쟁의 실상에 근접하고 있는 것 으로 보인다.
ⅲ)남북분단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상황
내부적으로는 이데올로기의 통합을 강화하는 한편, 남북한 상호간에는 날카로운 이데올로기 경쟁을 피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학교제도는 철저하게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이용되었으므로 남북한이 똑같이 국민교육으로서의 학교제도를 일찍부터 정비하고 확대시켰다.
ⅳ)김기석(1989)
중등교육의 팽창은 유상제에 의해 가능할 수 있었다고 주장. 유상제 중등교육은 두 가지 방식으로 유지되었다. 수익자 부담의 원칙과 학교의 설립과 경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민간 부문에 맡기는 사학 진흥 정책
ⅴ)고등교육의 팽창은 사립대학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학교운영재정의 대부분을 학생의 등록금에 의존하고 있는 사립대학은 재원확보를 위해 가능한 한 정원을 확대하려고 한다. 따라서 산업의 인력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에라도 정원을 확대하려고 하며, 교육소비자의 교육수요를 창출하기도 한다.
4. 결론
①콜린즈(Randall Collins)
그는 학교교육 확대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가운데 어느 쪽이 더 우수한가를 밝히려 하였다. 학교교육이 확대된 주원인을 지위경쟁이라고 하였다.
②로드리게(Rodrigues, 1978)
교육연수가 많은 노동자가 교육연수가 적은 노동자에 비하여 생산성이 더 높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기술기능이론의 약점을 지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급학교의 졸업장이 하급학교 졸업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보상을 확보해주기 때문에 사람들은 끊임없이 상급학교 졸업장을 따기 위하여 경쟁하는 것이다라고 함
③러빈슨과 랄프(Rubinson and Ralph, 1987)
과학기술의 진보가 학력상승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과학기술은 시차를 두고 초·중등교육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하에 10년의 시차를 두어 분석한 결과 학교확장의 초기에는 기술진보가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그 훙에는 지위경쟁 요인과 기술진보 요인이 함께 적용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④아처(M.Archer, 1982)
학교팽창은 하나의 원인으로 환원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 정치, 경제 등이 사회적 조건과 교육체제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로 만들어지는 현상이다. 학교의 제현상은 학교를 둘러싼 내외의 집단간의 경쟁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학교 팽창도 그에 관련된 제집단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⑤이혜영(1992)
1961∼1980년대에는 해방 이후 1950년대에 걸친 대학팽창에 대한 반작용으로 대학 정원의 억제가 이루어졌고(1961∼1978), 이러한 억제로 인해 발생한 문제점 때문에 대학정원이 확대되었는데(1979∼1980), 그러한 대학정원의 억제와 확대는 대학정원에 대해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학생·학부모, 대학, 산업계, 정부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밝혔다.
⑥결론
ⅰ)교육의 질관리보다는 학생 수 확보에 관심을 더 기울였다.
ⅱ)식민지 교육을 청산하지 못하였기 때문이기는 하지만 학교외 교육을 발전시키지 않고 철저한 학교 본위의 교육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그래서 국민들의 교육적 요구는 학교와 대학을 통해서 밖에는 충족시킬 수가 없었다.
ⅲ)교육은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경제적 가치에 의하여 지배될 수는 없는 것이다.
ⅳ)학교가 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엄정하게 수호하고 실현시키고 있느냐 여부가 문제이며 학교의 확대와 고학력화는 그 자체로서 문제될 것이 없다.
<참고도서>
서태종지음, 새교육사회, 교육과학사, 1999
서정철 편저, 신교육사회학, 육서당, 1997
김기석. 교육사회학 탐구2, 교육과학사, 1994
한준상 외 공저, 신교육사회학, 학지사, 1996
강상철외 3공저 교육사회, 동문사, 1994
석태종, 신교육사회, 교육과학사, 1999
<인터넷자료>
http://my.netian.com/~martin93/edu/5.htm
http://hometown.weppy.com/~poodle3/report1_2.html
http://www.m2000.co.kr/week/970321/0321371.html
http://my.netian.com/~odhwan/k11.htm
추천자료
자율학교와 자립형 사립학교
서머힐 학교(Summerhill School)를 통하여 알아본 대안학교 적용방안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대안학교 교육에 대한 비교 연구-서울 성지 중고등학교 중심으로-
청소년의 인성발달 및 문제예방을 위한 학교정신건강증진 방안(행복한 학교 만들기를 위한 학...
교과교실제(교과교육실, 학교특별교실)의 개념과 운영요건, 교과교실제(교과교육실, 학교특별...
고등학교 직업교육과정(직업지도)의 목적과 기본방향, 고등학교 직업교육과정(직업지도)의 교...
[대안학교]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
소규모학교 통폐합(작은학교 통폐합)의 논리와 기본방향, 소규모학교 통폐합(작은학교 통폐합...
사립학교와 사립학교법 (사학 의의)
학교사회복지 3학년 공통)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속한...
초등학교初等學校와 중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방과후학교의 운영계획서를 각 1개(총2개)를 ...
[소규모 학교 통폐합]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장단점 분석 ; 소규모 학교 통폐합의 관점과 찬반론
우리나라 학교교육과 학교사회 사업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