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1.교과:한문
2.가르치는대상:대학생
3.왜 가르치려고 하는가?
4.무엇을 가르치려고 하는가?
5.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제공하는가?
-수업시간에 할 내용
1.신문의 상용한자
2.고사성어
3.성씨 및 인명한자
6.평가지
2.가르치는대상:대학생
3.왜 가르치려고 하는가?
4.무엇을 가르치려고 하는가?
5.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제공하는가?
-수업시간에 할 내용
1.신문의 상용한자
2.고사성어
3.성씨 및 인명한자
6.평가지
본문내용
인명은 그 정도로 하고, 자신이 조사해온 자신의 가족에 대한 인명을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 가(賈)
가(賈)자는 값, 앉은 장사, 장사, 상업 등을 뜻하는데 성씨에 쓰일 때는 값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 갈(葛)
갈(葛)자는 칡, 덩굴로 쓰입니다.
▶ 감(甘)
감(甘)자는 달다, 맛이 있다라는 뜻입니다.
▶ 곽(郭)
곽(郭)자는 성, 둘레라는 뜻입니다.
▶ 구(具)
구(具)자는 갖추다, 온전하다, 설비라는 뜻입니다.
▶ 구(丘)
구(丘)자는 언덕, 무덤, 모으다라는 뜻입니다.
▶ 강(姜)
강(姜)자는 성, 굳세다라는 뜻입니다.
▶ 강(康)
(康)자는 편안하다라는 뜻입니다.
▶ 견(堅)
견(堅)자는 굳다라는 뜻입니다.
▶ 국(鞠)
국(鞠)자는 공, 궁하다라는 뜻입니다.
▶ 궁(弓)
궁(弓)자는 활, 궁술이라는 뜻입니다.
▶ 권(權)
권(權)자는 저울추, 저울이라는 뜻입니다.
▶ 견(甄)
견(甄)자는 질그릇이라는 뜻입니다.
▶ 경(景)
경(景)자는 볕, 볕이라는 뜻입니다.
▶ 계(桂)
계(桂)자는 계수나무라는 뜻입니다.
▶ 금(琴)
금(琴)자는 거문고라는 뜻입니다.
▶ 기(奇)
기(奇)자는 기이하다라는 뜻입니다.
▶ 기(箕)
기(箕)자는 키, 곡식을 까부수는 데 쓰는 기구라는 뜻입니다.
▶ 고(高)
고(高)자는 높다, 뽐내다라는 뜻입니다.
▶ 곡(曲)
곡(曲)자는 굽다, 휘다라는 뜻입니다.
▶ 공(孔)
공(孔)자는 구멍, 매우라는 뜻입니다.
▶ 길(吉)
길(吉)자는 길하다, 좋다라는 뜻입니다.
▶ 김(金)
김(金)자는 성, 돈, 황금이라는 뜻입니다.
▶ 나(羅)
나(羅)자는 새그물, 그물질하다, 비단, 늘어서다라는 뜻입니다.
▶ 남(南)
남(南)자는 남녘이라는 뜻입니다.
▶ 노(盧)
노(盧)자는 밥그릇, 화로라는 뜻입니다.
▶ 노(魯)
노(魯)자는 노둔하다라는 뜻입니다.
▶ 도(都)
도(都)자는 도읍이라는 뜻입니다.
▶ 도(陶)
도(陶)자는 질그릇이라는 뜻입니다.
▶ 동(董)
동(董)자는 동독하다라는 뜻입니다.
▶ 두(杜)
두(杜)자는 팥배나무, 막다, 닫다라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한국 성씨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제는 자신의 뿌리와 가족의 성과 인명을 발표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제가 먼저 해 온 것을 발표해 보겠습니다.
▷ 나의 성씨와 뿌리
내이름은 高英和(고영화): 高(고, 높다) 英(영, 꽃부리) 和(화, 화하다)
시조: 고을나왕
▷ 나의 가족의 성과 인명
아버지
어머니
나
여동생
남동생
고재인(高在仁)
최정희(崔貞姬)
고영화(高英和)
고미화(高美和)
고원석(高元錫)
高(고, 높다)
在(재, 있다)
仁(인, 어질다)
崔(최, 높다)
貞(정, 곧다)
姬(희, 성)
高(고, 높다)
英(영, 꽃부리)
和(화, 화하다)
高(고, 높다)
美(미, 아름답다)
和(화, 화하다)
高(고, 높다)
元(원, 으뜸)
錫(석, 주석)
4. 학습시 주의사항
① 학습자는 수업 시간에 옥편을 모두 가져오도록 한다.
② 수업 시간에 주의를 집중해서 교사의 설명을 듣도록 한다.
③ 교수자가 칠판에 한자를 쓰면 학습자들은 따라 써 보도록 한다.
④ 저번 시간에 과제로 내 준 숙제를 해 온다.
⑤ 발표를 자발적으로 한다.
⑥ 연습문제를 제공했을 때 풀어보도록 한다.
5. 학생의 예
6. 정리, 요약, 질문
지금까지 한국의 성씨 및 대법원이 인정한 인명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이 수업을 통해서 자신의 이름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족들, 그리고 더 나아가서 다른 사람들의 이름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7. 형성평가
형성평가를 유인물로 만들어 와서 학습활동이 끝난 후에 학습자에게 실시한다. 형성평가를 실시한 것을 거두고,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외워 오도록 한다.
8. 다음 학습예고
다음시간에는 지명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의 지명과 주소를 알아오도록 하세요.
9. 심화/보충 학습 안내
이 수업시간에는 한국 성씨의 종류와 인명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더 많은 보충과 심화학습을 하시고 싶은 사람은 신문이나 잡지에 나오는 사람들의 이름을 써 보고 그 뜻도 알아보도록 하세요.
6. 평가지
⇒ 수정사항을 태나무체와 음영으로 표시했다.
의견
수정의견
수정사항
고미화
▶문제를 풀면서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사성어에서 그냥 뜻을 보았을 때는 이해가 잘 가지 않았는데 유래를 듣고 나니, 많이 이해할 수 있었다.
▶문제가 너무 어려웠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 충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습자의 활동에서 한자를 쓰면서 외울 때 한자가 너무 복잡해서 쓰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한자를 쓰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이 있었으면 한다.
▶학생들에게 한자의 필순에 대한 설명과 함께 부수와 획수에 대한 설명을 첫 시간 수업이 시작하기 전에 미리 나누어주어 읽어보도록 한다.
pp6∼8, p13에 수정한 내용
이은림
▶3시간 동안 다 끝내긴 했지만, 대부분의 한자를 제대로 익히지 못해서 아쉬웠다. 몰랐던 고사성어도 배우고, 신문에 나오는 한자어를 배워서 실생활에서 도움을 준다는 취지는 좋았지만 내용이 좀 어려운 것 같다.
▶한자쓰기 연습을 하는 것도 좋지만 눈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첫 시간에 배운 상용한자는 단어의 설명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그 단어가 쓰일 수 있는 문장을 제시했으면 좋겠다.
▶고사성어를 학생들이 상황에 맞춰서 써보도록 시키면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한자를 설명하기 전에 학습자들에게 따라 읽는 시간을 준다.
pp8∼9에 수정한 내용
▶교사의 예에서 문장으로 예를 들어 설명을 한다.⇒교사의 예에서 첨가될 것이다.
pp9∼14에 수정한 내용
▶학습자의 예에서 학생들이 고사성어에 대한 문장을 완성해서 발표할 수 있게 한다.
P29에 수정한 내용
<참고도서>
안말숙(2001), 중국어 학습을 겸함 즐거운 생활한자, 부산: 동남기획
엄경흠(1996), 알기쉽게 풀어쓴 한자의 원리, 부산: 글노리
이진오(1999), 한자속에 담긴 우리문화 이야기, 서울: 청아출판사
임종욱 외 2(1999), 읽고 쓰는 생활한자, 서울 : 이회문화사
편집부(1987), 고사성어, 서울: 진화당
▶ 가(賈)
가(賈)자는 값, 앉은 장사, 장사, 상업 등을 뜻하는데 성씨에 쓰일 때는 값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 갈(葛)
갈(葛)자는 칡, 덩굴로 쓰입니다.
▶ 감(甘)
감(甘)자는 달다, 맛이 있다라는 뜻입니다.
▶ 곽(郭)
곽(郭)자는 성, 둘레라는 뜻입니다.
▶ 구(具)
구(具)자는 갖추다, 온전하다, 설비라는 뜻입니다.
▶ 구(丘)
구(丘)자는 언덕, 무덤, 모으다라는 뜻입니다.
▶ 강(姜)
강(姜)자는 성, 굳세다라는 뜻입니다.
▶ 강(康)
(康)자는 편안하다라는 뜻입니다.
▶ 견(堅)
견(堅)자는 굳다라는 뜻입니다.
▶ 국(鞠)
국(鞠)자는 공, 궁하다라는 뜻입니다.
▶ 궁(弓)
궁(弓)자는 활, 궁술이라는 뜻입니다.
▶ 권(權)
권(權)자는 저울추, 저울이라는 뜻입니다.
▶ 견(甄)
견(甄)자는 질그릇이라는 뜻입니다.
▶ 경(景)
경(景)자는 볕, 볕이라는 뜻입니다.
▶ 계(桂)
계(桂)자는 계수나무라는 뜻입니다.
▶ 금(琴)
금(琴)자는 거문고라는 뜻입니다.
▶ 기(奇)
기(奇)자는 기이하다라는 뜻입니다.
▶ 기(箕)
기(箕)자는 키, 곡식을 까부수는 데 쓰는 기구라는 뜻입니다.
▶ 고(高)
고(高)자는 높다, 뽐내다라는 뜻입니다.
▶ 곡(曲)
곡(曲)자는 굽다, 휘다라는 뜻입니다.
▶ 공(孔)
공(孔)자는 구멍, 매우라는 뜻입니다.
▶ 길(吉)
길(吉)자는 길하다, 좋다라는 뜻입니다.
▶ 김(金)
김(金)자는 성, 돈, 황금이라는 뜻입니다.
▶ 나(羅)
나(羅)자는 새그물, 그물질하다, 비단, 늘어서다라는 뜻입니다.
▶ 남(南)
남(南)자는 남녘이라는 뜻입니다.
▶ 노(盧)
노(盧)자는 밥그릇, 화로라는 뜻입니다.
▶ 노(魯)
노(魯)자는 노둔하다라는 뜻입니다.
▶ 도(都)
도(都)자는 도읍이라는 뜻입니다.
▶ 도(陶)
도(陶)자는 질그릇이라는 뜻입니다.
▶ 동(董)
동(董)자는 동독하다라는 뜻입니다.
▶ 두(杜)
두(杜)자는 팥배나무, 막다, 닫다라는 뜻입니다.
지금까지 한국 성씨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제는 자신의 뿌리와 가족의 성과 인명을 발표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제가 먼저 해 온 것을 발표해 보겠습니다.
▷ 나의 성씨와 뿌리
내이름은 高英和(고영화): 高(고, 높다) 英(영, 꽃부리) 和(화, 화하다)
시조: 고을나왕
▷ 나의 가족의 성과 인명
아버지
어머니
나
여동생
남동생
고재인(高在仁)
최정희(崔貞姬)
고영화(高英和)
고미화(高美和)
고원석(高元錫)
高(고, 높다)
在(재, 있다)
仁(인, 어질다)
崔(최, 높다)
貞(정, 곧다)
姬(희, 성)
高(고, 높다)
英(영, 꽃부리)
和(화, 화하다)
高(고, 높다)
美(미, 아름답다)
和(화, 화하다)
高(고, 높다)
元(원, 으뜸)
錫(석, 주석)
4. 학습시 주의사항
① 학습자는 수업 시간에 옥편을 모두 가져오도록 한다.
② 수업 시간에 주의를 집중해서 교사의 설명을 듣도록 한다.
③ 교수자가 칠판에 한자를 쓰면 학습자들은 따라 써 보도록 한다.
④ 저번 시간에 과제로 내 준 숙제를 해 온다.
⑤ 발표를 자발적으로 한다.
⑥ 연습문제를 제공했을 때 풀어보도록 한다.
5. 학생의 예
6. 정리, 요약, 질문
지금까지 한국의 성씨 및 대법원이 인정한 인명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이 수업을 통해서 자신의 이름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족들, 그리고 더 나아가서 다른 사람들의 이름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7. 형성평가
형성평가를 유인물로 만들어 와서 학습활동이 끝난 후에 학습자에게 실시한다. 형성평가를 실시한 것을 거두고,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외워 오도록 한다.
8. 다음 학습예고
다음시간에는 지명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의 지명과 주소를 알아오도록 하세요.
9. 심화/보충 학습 안내
이 수업시간에는 한국 성씨의 종류와 인명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더 많은 보충과 심화학습을 하시고 싶은 사람은 신문이나 잡지에 나오는 사람들의 이름을 써 보고 그 뜻도 알아보도록 하세요.
6. 평가지
⇒ 수정사항을 태나무체와 음영으로 표시했다.
의견
수정의견
수정사항
고미화
▶문제를 풀면서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사성어에서 그냥 뜻을 보았을 때는 이해가 잘 가지 않았는데 유래를 듣고 나니, 많이 이해할 수 있었다.
▶문제가 너무 어려웠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 충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습자의 활동에서 한자를 쓰면서 외울 때 한자가 너무 복잡해서 쓰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한자를 쓰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이 있었으면 한다.
▶학생들에게 한자의 필순에 대한 설명과 함께 부수와 획수에 대한 설명을 첫 시간 수업이 시작하기 전에 미리 나누어주어 읽어보도록 한다.
pp6∼8, p13에 수정한 내용
이은림
▶3시간 동안 다 끝내긴 했지만, 대부분의 한자를 제대로 익히지 못해서 아쉬웠다. 몰랐던 고사성어도 배우고, 신문에 나오는 한자어를 배워서 실생활에서 도움을 준다는 취지는 좋았지만 내용이 좀 어려운 것 같다.
▶한자쓰기 연습을 하는 것도 좋지만 눈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첫 시간에 배운 상용한자는 단어의 설명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그 단어가 쓰일 수 있는 문장을 제시했으면 좋겠다.
▶고사성어를 학생들이 상황에 맞춰서 써보도록 시키면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한자를 설명하기 전에 학습자들에게 따라 읽는 시간을 준다.
pp8∼9에 수정한 내용
▶교사의 예에서 문장으로 예를 들어 설명을 한다.⇒교사의 예에서 첨가될 것이다.
pp9∼14에 수정한 내용
▶학습자의 예에서 학생들이 고사성어에 대한 문장을 완성해서 발표할 수 있게 한다.
P29에 수정한 내용
<참고도서>
안말숙(2001), 중국어 학습을 겸함 즐거운 생활한자, 부산: 동남기획
엄경흠(1996), 알기쉽게 풀어쓴 한자의 원리, 부산: 글노리
이진오(1999), 한자속에 담긴 우리문화 이야기, 서울: 청아출판사
임종욱 외 2(1999), 읽고 쓰는 생활한자, 서울 : 이회문화사
편집부(1987), 고사성어, 서울: 진화당
추천자료
한문과 교과교육에 있어서 교과서 문제
[중학교 국어교과서][중학교 수학교과서][중학교 국사교과서][중학교 한문교과서][국어교육][...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오는 한시와 현대시 비교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오는 해학과 풍자가 담긴 작품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오는 격언과 속담
한문과교육과정(한문교육과정)의 성격, 한문과교육과정(한문교육과정)의 개정배경과 개정내용...
한문과(한문교육, 한문수업)의 성격과 목표, 한문과(한문교육, 한문수업)의 실태와 내용, 한...
한문과교육(수업, 학습)의 목적, 한문과교육(수업, 학습)의 중요성, 한문과교육(수업, 학습)...
[한문교과서][한문교육과정]한문교육과정(한문과교육과정)의 특징, 한문교육과정(한문과교육...
한문과교육(학습, 수업) 목표와 성격, 한문과교육(학습, 수업) 구성주의이론, 한문과교육(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