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적 사실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형태적 사실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형태적 사실기 평면표현의 발달 특징
● 대상을 사실적 관점에서 보기 시작
● 중첩으로 공간표현

2. 형태적 사실기 평면표현의 지도
● 자아중심에서 벗어나 객관적 시각 지도
● 구체적인 단서를 주는 상상화 지도
● 보이는 대로 그리도록 체계적 지도 필요

3. 맺음

본문내용

은 땅도 이상하게 생기고 나무나 꽃도 참으로 희한하게 생겼어요. 거기에 이상한 알이 하나 보였어요. 그 이상한 알이 쩍쩍 갈라지면서 그 속에서 뭐가 태어나고 있어요. 그 속에서 어떻게 생긴 우주인이 나올까요? 그 후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여러분이 마음껏 상상의 나래를 펴서 친구들과 서로 이야기한 다음, 여러분만의 상상을 그려보세요.”와 같은 구체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그래서 어린이들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것까지 상상하여 구체적이고 다양한 상상화를 그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보이는 대로 그리도록 체계적 지도 필요
체계적 지도로 관찰하여 그리는 ‘보고 나타내기’의 경우에 어린이들이 도식적으로 자신이 그 대상에 알고 있는 바를 기억에 의존하여 그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교사도 풍경화를 교실에서 그리고, 정물화도 한 자리에 앉아서 그리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고 나타내기는 말 그대로 보고 관찰하여 그리는 것이 중요하므로 그릴 대상을 자세히 관찰하여 ‘보이는 대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이는 대로 그린다는 것은 그 대상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념이나 기억으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즉 좌뇌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관찰하여 보이는 그대로 그 형태와 그 색채를 표현하는, 즉 우뇌로 그리게 하는 것을 말한다. 어린이들이 정물이 바로 앞에서 있어도 보지 않는 경우가 많고, 보더라도 사과는 빨간색으로, 바나나는 노란색으로 그냥 전체를 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과에 있는 연두색과 주황색, 바나나에 있는 연두색과 갈색의 반점들은 관찰하더라도 무시하고 그냥 머리 속에 있는 사과와 바나나를 그리는 것이다. 어린이들에게 관찰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찰한 것을 보이는 대로 그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그리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럴 때 자전거를 그리게 하면 효과적이다. 먼저 자전거를 보지 않고 기억해서 최대한 사실적으로 자세히 그리게 한다. 그렇게 하면 처음에는 자전거를 쉽게 생각하고 그리려다가 그것이 잘 그려지지 않음을 체험하게 된다. 어린이들이 그린 자전
어린이가 자전거를 보지 않고 기억으
로 그린 그림. 어른들도 대부분 굴러
갈 수 없는 자전거를 그린다.
어린이가 자전거 사진을 보고 그린 그
림. 비교적 자세하고 구조를 갖추어
나타냈다
거는 구조적으로 전혀 굴러갈 수 없는 자전거를 그리게 될 것이다. 그래서 기억에 위해 그린 자전거를 보면서 굴러갈 수 있는지 살펴보게 하고 관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확실하게 인식시킨다. 그 다음에 자전거를 직접 보고 그리게 하면 이제 그냥 관찰할 뿐만 아니라 구조를 보면서 관찰하여 그 구조와 세부까지도 보이는 대로 자세히 그리게 된다. 이런 경험이 축적되어야 어린이들이 사실기에 진입하더라도 그림에서 멀어지지 않고 계속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맺음
형태적 사실기의 어린이들은 자아중심에서 벗어나 사회 중심적으로 동료와 강한 우정을 형성하고 소속에 대한 욕구가 크며 사회성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서로 돕고 협동적인 것에 관심이 있고 계획을 분담하는 것을 좋아한다. 주변의 사건에 관심이 있고 아이디어로 가득 차서 곤충이나 자연의 사물을 통해 디자인과 만들 것을 발견한다. 기능연습과 어떤 일에서 남보다 뛰어나기를 좋아하므로 표현특질로 기억과 상상에 의한 표현의 증가로 내용의 밀도와 폭도 증가한다. 이들은 자기발산에서 자기표현의 작품을, 즉 설명이 가능한 작품을 만들려고 한다. 자기 행동이나 생각을 합리적으로 묘사하고 이지적으로 사물을 보게 된다. 전체와 부분의 비례와 부피감을 점차 파악함 또한 객관적으로 사물을 보며 표현하려는 의욕이 싹터서 대상의 양감과 특징을 제법 표현한다. 보거나 경험한 것의 형태와 특징을 기억에 의해서 재현한다. 형태적 사실기의 아이들은 분화적 상징기에서 형태적 사실기로 넘어가는 시기이므로 상징과 사실이 함께 나타나는 표현을 하게 되며, 점차 사실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시도들이 엿보이게 된다. 기저선이 위로 올라가 수평선이 되거나 아예 없어지며, 중앙 원근법적 표현, 투시적 표현, 전개도식 표현이 점차 줄어들면서 중첩표현으로 공간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중첩은 사물을 거의 같은 크기나 뒤에 있는 것을 더 크게 겹쳐서 그리는 것을 말한다. 이 시기에는 경험한 것을 그릴 때, 느낌이 살아있게 그리도록 하고, 구체적인 단서와 상황에 의해 상상화 지도를 하며, 체계적인 관찰에 의해 보이는 대로 그리도록 하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6.06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