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 의천의 천태사상에 의한 선교합일
1) 종밀의 「원각경소」에 의지한 회통 사상.
2) 원효의 화쟁 사상 수용
2. 지눌의 선교 통합 원리와 이념
1) 지눌
2) 정혜결사를 통한 불교개혁운동
2. 의천의 천태사상에 의한 선교합일
1) 종밀의 「원각경소」에 의지한 회통 사상.
2) 원효의 화쟁 사상 수용
2. 지눌의 선교 통합 원리와 이념
1) 지눌
2) 정혜결사를 통한 불교개혁운동
본문내용
문은 자세히 알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이통현 장 자가 지은 『화엄론』의 십신 초위에 관한 해석을 열람하게 되었다. 이에 나는 책을 놓고 길게 탄 식하면서, "세존이 입으로 말한 것은 교요, 조사가 마음으로 전한 것은 선이다. 부처와 조사의 마 음과 입은 필연 서로 상위하지 않는 것인데, 어찌 그 근원을 궁구하지 않고 각기 제가 익힌 바에 안주하여 망령되이 쟁론함으로써 헛되이 천 일을 보내겠는가?" 하였다.
지눌은 선사이다. 그러나 선교합일에 대한 태도는 의천이 교학불교(천태종)라는 테두리 안에서 선학을 가미하는 소극적 형태의 회통이었다면 지눌은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회통이라 할 수 있겠다. 참선과 지혜를 아울러 닦자는 정혜쌍수(定慧雙修)를 내세움으로써 승려들은 본연의 자세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고 예불 독경과 함께 참선 및 노동에 힘쓰자는 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개혁된 선종과 올바른 교종과의 합일을 통해서 수행에 정진하자는 것이다. 선은 중생의 자성과, 그 자성에 의한 연기 즉 성기(性起)를 바탕으로 하는 사유 형태이다. 지눌도 물론 이러한 사유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선사이다. 그러나 그는 선사로서 만족하지 못하고 화엄 교학을 공부하며, 더 나아가서 교학과 선종에 차이를 두지 않는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선적 수행을 하려는 자들에게 선 수행을 위한 지적 토대를 마련해 주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교학자들에게 선적 수행으로 들어올 수 있는 여지를 주고자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원 -예문 서원
학국의 사상사, 유명종 -서울 이문출판사
지눌은 선사이다. 그러나 선교합일에 대한 태도는 의천이 교학불교(천태종)라는 테두리 안에서 선학을 가미하는 소극적 형태의 회통이었다면 지눌은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회통이라 할 수 있겠다. 참선과 지혜를 아울러 닦자는 정혜쌍수(定慧雙修)를 내세움으로써 승려들은 본연의 자세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였고 예불 독경과 함께 참선 및 노동에 힘쓰자는 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개혁된 선종과 올바른 교종과의 합일을 통해서 수행에 정진하자는 것이다. 선은 중생의 자성과, 그 자성에 의한 연기 즉 성기(性起)를 바탕으로 하는 사유 형태이다. 지눌도 물론 이러한 사유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선사이다. 그러나 그는 선사로서 만족하지 못하고 화엄 교학을 공부하며, 더 나아가서 교학과 선종에 차이를 두지 않는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선적 수행을 하려는 자들에게 선 수행을 위한 지적 토대를 마련해 주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교학자들에게 선적 수행으로 들어올 수 있는 여지를 주고자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원 -예문 서원
학국의 사상사, 유명종 -서울 이문출판사
소개글